메뉴 건너뛰기

close

민주당 비주류 의원들의 모임인 '국민과 함께하는 국회의원 모임(국민모임)'이 15일 "정세균 대표는 사조직 실체를 전면 공개하고 당원과 국민에게 즉각 사과하라"며 "그럴 자신이 없다면 대표직에서 물러나라"고 촉구했다.

 

국민모임 소속 강창일, 이종걸, 장세환, 김희철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여투쟁이 한창이던 지난 연말 은밀하게 사조직을 점검하고 가동한 사실은 도저히 있을 수 없는 부도덕 행위"라며 "사조직의 실체를 밝히지 않는다면 다음 주 국민모임이 조사한 바를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사조직' 의혹은 지난 14일 국민모임이 주최한 '민주당,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에서 문학진 의원이 처음 제기했다.

 

당시 문 의원은 "정 대표가 지난 연말 (당내) 중요한 직책의 사람을 모아 사조직을 결성했다"며 "사조직의 목적은 7월 전당대회에서 정 대표가 연임을 하고 2012년 대선에서 민주당의 대통령 후보가 돼야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강 의원 등은 "정 대표가 만난 사람들은 지방선거 출마를 준비하는 후보자들로 알고 있다"며 "사조직을 관리하더라도 때와 장소를 가려야지 의원들이 농성을 하는 판에 당의 얼굴이 그럴 수 있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DY 배후설' 발끈한 국민모임 "사태 본질 왜곡·호도하는 후안무치한 당 지도부"

 

이들은 이어, "지난 14일 국민모임이 주최했던 토론회는 이러한 민주당의 현 주소를 살핀 뒤 서로 머리를 맞대고 지방선거 필승전략을 마련하자는 마당이었다"며 "그런데도 당 지도부는 특정 정치지도자와 관계를 운운하면서 사태의 본질을 왜곡·호도하는 등 후안무치한 행태를 보였다"고 비판했다.

 

앞서 우상호 민주당 대변인이 전날 토론회와 관련, "토론회에 참석한 다수 의원이 특정 정치지도자와 관련된 분으로 알고 있다"며 '정동영 배후설'을 제기한 것에 대한 반발이었다.

 

당시 우 대변인은 "이분의 복당을 환영하고 받아들여 내부의 반발의견을 설득하고 있는 당 대표를 향해 근거없는 비난과 비판을 전개해 다소 유감스럽다"며 "건설적인 의견은 상대방에 대한 예의와 예절을 갖춰서 했으면 좋겠다는 조언을 드리고자 한다"고 밝혔다.

 

국민모임은 이와 관련해 "민주주의 수호와 지방선거 승리를 위한 민주당의 발전을 위해 노력할 뿐, 특정 정치세력이나 당권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며 "당 대표는 지방선거 필승전략과 비전을 즉각 제시하고 우당 충정에 가득 찬 당 소속 의원들을 음해하는 졸렬한 정치를 포기하라"고 촉구했다.

 

또한 이들은 "당 대표가 느닷없는 지방선거 공천권 확보를 위해 당헌 개정을 무리하게 추진하고 있다"며 당 통합·혁신위가 추진 중인 '시민공천배심원제'에 반대한다는 뜻도 천명했다.

 

국민모임은 "사실상 국민경선제를 통해 국민들에게 준 공천권을 당 지도부가 행사하려는 것"이라며 내주 중 이와 관련해 구체적인 비판을 하겠다고 밝혔다.

 

정세균 "정치특강 요청 받고 나간 것... 지도부 흔들기 옳지 않아"

 

한편, 민주당은 즉각 현안브리핑을 통해 국민모임의 성명에 대한 유감을 표명했다.

 

노영민 대변인은 "일부 발제자의 토론 내용은 사실 확인도 제대로 안 된 측면이 많았고 편협성과 주관적 판단에 의한 비난 수준이어서 바람직한 정당 내의 토론으로는 그 도가 지나쳤다는 생각"이라며 국민모임의 정정과 사과를 요구했다.

 

또 "그럼에도 (국민모임의 비판은) 당은 '남의 산의 쓸모없는 돌이라도 내 산의 옥을 가는 데 도움이 된다'는 타산지석의 심정으로 받아들일 것"이라며 "모두 충정과 애당심의 발로에서 진행되는 일이길 진정으로 바란다"고 덧붙였다.

 

노 대변인은 "정 대표는 사조직 논란에 대해 '당시 시국에 대한 정치특강 요청이 있어 나갔고 당시 모여 있던 사람이 누구인지는 모른다'고 설명했다"며 "정 대표가 당내 최고위원 중 사조직이 없는 유일한 정치인인데 일부 의원들이 정파적 관점에서 당 지도부를 흔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태그:#민주당, #국민모임, #정세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