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에 있는 월곶(月串)포구는 육지에서 바다로 내민 모습이 마치 반달같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조선시대에는 수군 만호가 설치되었던 군사적으로 중요한 장소로, 1992년부터 갯벌 매립을 시작해 1996년 12월 말 공사를 끝낸 현재 포구와 선착장 인근에는 어시장과 횟집을 비롯한 위락시설을 조성해 놓았다.

월곶포구
 월곶포구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물빠진 월곶항
 물빠진 월곶항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갯벌위에 엉덩이을 깔고 앉은 고깃배들
 갯벌위에 엉덩이을 깔고 앉은 고깃배들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월곶동 옛 지명에는 고잔-구능뿌리-월동-궁골-별감-삼밭-샛터-우묵골-응고개-조구나리-이호정 등이 있는데, 고잔은 마을의 위치가 내륙 쪽에 있어 고지의 안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예전에는 인천을 왕래할 때 이곳에서 배를 탔다고 한다.

월동은 조선시대 때 월곶선 밑에 있는 하천의 동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월동리는 여러 마을 중 가장 먼저 취락을 형성한 큰 마을이라 한다. 조구나리는 조선시대에 배가 드나들 때 조기를 가득 실은 배가 들어 왔다 하여 조개나루라고 한 데서 비롯된 이름이다.

이렇게 바다와 갯벌 때문에 유래한 이름들을 간직한 월곶도, 갯골을 사이로 마주한 채 대규모 택지개발이 벌어진 인천 한화지구-논현지구처럼 갯벌 위에 작은 신도시로 개발해 놓았다.

갯골을 사이로 인천 소래와 경기도 시흥 월곶으로 나뉜다.
 갯골을 사이로 인천 소래와 경기도 시흥 월곶으로 나뉜다.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월곶포구에 즐비힌 횟집과 치솟은 고층아파트
 월곶포구에 즐비힌 횟집과 치솟은 고층아파트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지난 주말 자전거를 타고 월곶을 찾았을 때, 병풍처럼 늘어선 신도시 고층아파트와 맞닿은 해안도로를 따라 갯골에서 망뚱이 낚시를 즐기는 강태공들을 흔히 볼 수 있었다. 아참, 소래에서 자전거를 이용해 월곶으로 가기 위해서는 77번 국도 아래 소래대교로 오르는 육교를 이용해야 한다.

밀물과 썰물에 관계없이 24시간 배가 접안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는 포구와 선착장에는, 물이 빠지자 새벽 뱃일을 마치고 돌아온 고깃배들이 엉덩이를 맞대고 누워 달콤한 휴식을 취하고 있는 아늑한 모습도 볼 수 있다. 포구 주변에 즐비한 횟집들도 토요일 오전에는 한산해, 물빠진 갯벌에서 열심히 먹이를 찾는 물새들의 먹이활동도 느긋이 바라볼 수 있다.

월곶항 선착장과 선박수리소 인근에 몰려 있는 크고 작은 고깃배들도, 다시 뱃일을 나가기 위해 그물을 손질하는 부지런한 어부들이 소박하고 정직하게 일하는 모습도 엿볼 수 있다. 바지런히 날개짓과 부리질을 하는 물새와 투박한 손으로 그물을 잇는 어부들 모습에, '그물이 천 코면 걸릴 날이 있다'란 속담도 절로 떠오른다.

물빠진 갯벌에서 물새들이 먹이를 찾고 있다.
 물빠진 갯벌에서 물새들이 먹이를 찾고 있다.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그물을 손질하는 어부
 그물을 손질하는 어부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선착장에 옹기종이 모여있는 고깃배들
 선착장에 옹기종이 모여있는 고깃배들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U포터뉴스와 블로거뉴스에도 송고합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월곶포구, #고깃배, #어부, #월곶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