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4일 인천 S자 녹지축 탐사 중 가장 유심히 본 구역은, 인천시가 계양산-철마산을 잇는 징매이고개 생태통로 공사 이후 난데없이 원적산-함봉산을 잇는 생태통로를 만들겠다고 한 원적산길 주변 생태-녹지대였다.

원적산길(도로)로 단절된 원적산과 함봉산
 원적산길(도로)로 단절된 원적산과 함봉산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서구 가좌동과 부평구 산곡동을 연결하는 원적산길
 서구 가좌동과 부평구 산곡동을 연결하는 원적산길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현재 인천시는 원적산길 생태통로 타당성조사와 기본 및 실시설계를 마쳤고, 내년부터 폭 80m, 길이 65m, 높이 10m 규모의 생태통로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 공사는 인천시가 단절-훼손된 S자 녹지축을 연결하겠다며 생태통로와 녹도, 보도육교 등을 2013년까지 사업비 313억8000만 원을 들이는 사업 중 하나다.

그런데 지난 2005년 인천시립대학에서 원적산길 생태통로 조성과 관련해 자연환경 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녹지축 연결대상지의 중심부가 가파르고 고도가 높고 주변에는 아파트-주택이 밀집되어 있어 원적산로 주변지역의 자연상태는 야생동물이 서식할 만한 환경이 아니라고 지적한 바 있다.

계양산-천마산 징매이고개와 달리 원적산-함봉산 코앞까지 아파트와 주택이 밀려들어와 있다.
 계양산-천마산 징매이고개와 달리 원적산-함봉산 코앞까지 아파트와 주택이 밀려들어와 있다.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절개지의 경사도 급하고 도심화로 인해 야생동식물 서식환경이 취약하다고 한다. 생태통로보다 녹지대를 복원하고 지키는 일이 우선이란 소리다.
 절개지의 경사도 급하고 도심화로 인해 야생동식물 서식환경이 취약하다고 한다. 생태통로보다 녹지대를 복원하고 지키는 일이 우선이란 소리다.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가파르고 높은 절개지에 인천시는 계획에 없다던 생태통로를 만들겠다 한다.
 가파르고 높은 절개지에 인천시는 계획에 없다던 생태통로를 만들겠다 한다.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원적산길 절개지와 맞닿은 곳부터 개발제한구역이다.
 원적산길 절개지와 맞닿은 곳부터 개발제한구역이다.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생태통로 공사보다 막개발 따른 녹지 파괴부터 멈춰야...

이 조사결과를 가지고 2007년 인천시는 '단절지에 대한 생태통로 설치사업에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등 현실적으로 제약이 있어 원적산로 단절지에 대한 생태통로 복원사업 계획은 하지 않고 있다' 했었다. 대신 주변 산림생태계가 회복되는 등 야생동물 서식환경이 호전될 경우 향후 생태통로 설치 필요성을 다각적이고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원적산길에 대한 생태통로 계획이 없다고 한 지 몇 년도 지나지 않아, 인천시는 돌연 생태통로를 만들겠다고 하고 있는 것이다. 그 사이 원적산 주변 개발과 도심화가 멈추지도 않았고, 자연생태계가 급격히 회복되었는지 알 수도 없는데 말이다.

일례로 현재 인천시는 원적산-철마산 아래 부평구 산곡동-청천동 일대의 주택재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국내 최대라는 징매이고개 생태통로 공사도 환경부의 생태통로 설치 및 관리지침(주변지역 주요 동식물, 이동경로, 특성 등 고려)을 따르지 않은 상태에서 졸속으로 공사를 시작했었고 이번달 준공 예정이다.

관련해 계획에 없다던 생태통로 공사가 벌어질 원적산길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아 전한다.

원적산-함봉산 생태통로 공사보다 녹지(그린벨트) 파괴를 중단해야 한다.
 원적산-함봉산 생태통로 공사보다 녹지(그린벨트) 파괴를 중단해야 한다.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함봉산 절개지에서 바라본 원적산과 천마산
 함봉산 절개지에서 바라본 원적산과 천마산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U포터뉴스와 블로거뉴스에도 송고합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생태통로, #녹지대, #원적산길, #인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