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이후로 한국에는 크고 작은 시위들이 있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부터 시작해서 대운하 반대 및 이명박 정부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사영화 정책의 반대까지 확장됬던 작년의 촛불시위, 무자비한 재개발로 철거민들의 주거권을 박탈하는 것에 저항했던 용산 시위, 그리고 이명박 정부의 독주에 경고장을 내리는 이번 노동절 시위까지 말이다.

 

이러한 시위는 정치권에서 의제로 다루지 않는 사회적 갈등을 거리에서 표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정부는 이러한 갈등을 정치적으로 다루기보다는 법으로 엄단하겠다는 말만 되풀이 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정부가 사회적 갈등을 지나치게 사법적으로만 처리하는 문제를 지적해야 한다. 예를 들어 용산 참사만 봐도 정부는 "재개발 과정에서 철거민에 대한 불합리한 보상의 문제"라는 사회적 구조의 문제로 다루기 보다는,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법적 행태로 인식하고, 그에 따라 사건을 처리한다. 샤츠 슈나이더의 "갈등의 확장력을 통제하는 절차가 곧 정치체제의 양상을 결정한다"는 지적을 새겨들을 필요가 있을 듯 하다.

 

하지만 문제는 정부의 대응만이 아니다. 시위를 대하는 언론의 자세다. 신문 시장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보수언론들은 시위대의 폭력성만을 부각한다. 예를 들어 이번 노동절 시위에 대해서 조선일보는 <시위대가 망친 서울의 주말>이라고 머리 기사에 올렸고, 동아일보는 <폭력 가투 세력이 경제와 민생 흔든다>라고,  서울신문은 <시민축제 난장판 만든 촛불 폭력>이라고 한국일보는 <시민행사 무산시킨 촛불 1년 폭력시위>라는 제목의 사설을 실었다.

 

미디어오늘은 아침신문 솎아보기에서 이러한 언론들의 태도를 전두환 정권의 언론에 비유한다. "서울 도심에서 집회와 시위가 열리면 언론은 그들이 집회에 나선 이유나 전두환 정권을 반대하는 배경에 관심을 쏟기보다는 집회의 폭력성을 부각시키는 데 집중했다."

 

이런 점에서 전두환 정권의 언론과 현재의 언론의 공통점은 "배경"보다 "폭력성"에 초점을 맞추면서 결국 거리로 분출된 갈등을 "정치적 의제"로써 다루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언론의 태도는 보통 사람들은 갈수록 어려워 지고 기득권 세력의 특수이익만 보장해주는 결과를 우려가 크다.

 

시위를 대하는 진보언론의 자세에 대해서도 지적해야겠다. 진보언론은 보수언론과는 역으로 경찰의 폭력성에만 초점을 맞추는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자세는 정치권의 무책임보다 경찰의 무능력함으로 드러나기 쉽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이러한 자세도 갈등을 정치적 의제로 다루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시위를 대하는 바람직한 언론의 자세는 경찰이나 시위대의 폭력성이라는 선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시위가 왜 일어났는지 어떻게 하면 거리로 분출된 갈등이 정치적 의제로 다뤄지는 지 고민하는 것일테다

 

덧붙이는 글 | 본 글은 <한겨레신문> '왜냐면" 코너에 실린 것을 일부 수정했습니다.


태그:#촛불시위, #노동절, #6.10, #폭력, #조중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