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동서대로, 일명 월평공원 관통도로 건설을 반대하면서 단식 농성을 벌여온 주민대책위가 15일 만에 농성을 풀었다.

 

이는 시민사회 원로들이 대전시와 주민대책위에 내놓은 '중재안'을 양측이 수용하면서 극적인 합의가 이뤄졌기 때문.

 

지난 7일 대전시에 '시민사회 협의기구 구성'을 제안했던 김조년 한남대 교수를 비롯한 대전 지역 7명의 종교·시민사회, 학계 원로들은 8일 오전 박성효 대전시장을 만났다.

 

이 자리에서 원로들은 "우선은 주민들의 단식 농성을 푸는 게 중요하다"며 "도로 개설 여부는 논의단계가 지난 만큼 '시민사회 협의체 구성'을 통해 월평공원의 생태·환경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자"고 대전시에 제안했다.

 

이에 대해 박 시장은 "1년 6개월여 동안 공청회, 토론회, 여론조사 등의 과정을 거쳤고, 이를 통해 동서관통도로를 내는 게 옳다는 결정을 내렸다"며 "다만, 비용이 더 들더라도 월평공원과 갑천의 생태·환경을 최대한 보존하는 것도 옳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박 시장은 "도로건설의 논의를 원점으로 되돌리지 않는다는 조건 아래, 협의체를 구성해 환경보전 문제 등에 대한 의견수렴과 모니터링을 폭넓게 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이같은 원로들의 중재안을 대전시가 받아들이면서 공은 주민대책위로 넘어갔다. 시청 북문 앞에서 단식농성을 벌이고 있던 주민대책위는 대전시와 원로들이 합의한 내용에 대해 수용여부를 놓고 치열한 논쟁을 벌였다.

 

결국, 주민대책위는 만족할 만한 수준의 내용은 아니지만, 원로들의 진심어린 노력과 대전시의 전향적인 태도를 높게 평가해 이를 받아들이고, 농성을 끝내기로 했다.

 

이로써 월평공원 관통도로를 놓고 지난 2년 동안 끌어온 대전시와 주민 및 환경단체와의 갈등이 일단락되게 됐으며, 예정대로 내년 상반기 착공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해 주민대책위 조세종 대표는 "원로들과 대전시의 합의 내용은 '월평공원 도로개설'을 전제로 한 협의기구 구성이기에 알맹이가 쏙 빠진 형식적인 것에 불과하다"며 "아쉽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원로들의 헌신적인 노력에 부응하기 위해 농성을 풀기로 했다"며 "앞으로 협의기구를 통해 월평공원과 갑천의 환경보전 방안이 더욱 진전되기를 바라며, 아울러 시민들의 목소리가 시정에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상시적인 협의기구가 운영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박월훈 대전시 도시주택국장은 "생태경관보호지역 및 습지보전구역 지정 타당성 조사 학술용역 발주, 공사 진행 중 생태환경모니터링 실시, 수질오염 방지대책 및 동식물 보호대책 수립 등 금강유역환경청이 조건부 승인한 사전환경성 검토를 충실히 이행해 친환경적으로 공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오후 대전시 실무부서와 주민대책위, 환경단체 관계자 등은 실무협의를 통해 '시민사회 협의 기구 구성'을 구체적으로 합의했다. 이에 따르면, 협의기구는 대전시 측 5인과 주민 및 환경단체 측 5인 등 모두 10명으로 구성하고, 도로 개설은 현실로 받아들이되 월평공원의 생태·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만드는 데 논의를 집중키로 했다.

 

또한, 도로 개설을 위한 사실상의 최종 행정절차인 '도시계획위원회'가 열리기 전 2회 이상의 회의를 열고, 여기에서 나오는 내용을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적극 반영키로 합의했다.


태그:#월평공원관통도로, #대전시, #박성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