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07년 12월 31일 혹독한 추위 속에서 2008년 일출을 맞이해서 그런지 어지간한 추위엔 춥게 느껴지지 않는다.

그래서 더 빙벽이 그리워 우린 2008년 1월 5일 이른 아침 7시에 설악산 용대리로 출발을 했다. 가는 동안 차창 밖으로 보이는 풍경들은 그저 스산하기만 하다. 그런 풍경을 바라보고 차가 달리니 자연 침묵이 이어졌다.

이곳은 진부령과 미시령으로 갈라지는 삼거리에 있는 매바위다. 여름엔 시원한 폭포를 쏟아 붓다가 겨울이 되면 저렇게 얼음이 얼어 멋진 빙장이 된다.
▲ 강원도 인제군 용대리에 있는 매바위 전경 이곳은 진부령과 미시령으로 갈라지는 삼거리에 있는 매바위다. 여름엔 시원한 폭포를 쏟아 붓다가 겨울이 되면 저렇게 얼음이 얼어 멋진 빙장이 된다.
ⓒ 홍순종

관련사진보기


용대리에 있는 황토산장에 들어가니 주인장 종문이가 반갑게 맞아 준다. 황토산장은 언제가도 포근하며 꼭 시골 고향집 같다. 그런 느낌은 우리의 산악회의 상징인 깃발이 있어 더 그렇게 느낀 것 같다.

시간이 오전 10시가 넘어가고 있기 때문에 우린 점심을 해 먹고 느긋하게 빙장으로 갔다. 예전 같으면 꿈도 꾸지 못할 행동들이다. 그만큼 우리 산악회는 발전되어 서둘러 등반 할 군번은 아니라는 이야기다. 빙장의 얼음은 초라한 그 자체였다. 빙벽하는 사람들도 많지가 않았다. 

멀리보면 얼음들이 예쁘게 보이지만 얼음 가까이 가서 등반을 하려고 하면 저렇게 얼기설기 구름 모습들이다. 추위를 이기기 위해 빙벽을 하고 있는 등반자들...
▲ 빙벽 등반 모습 멀리보면 얼음들이 예쁘게 보이지만 얼음 가까이 가서 등반을 하려고 하면 저렇게 얼기설기 구름 모습들이다. 추위를 이기기 위해 빙벽을 하고 있는 등반자들...
ⓒ 홍순종

관련사진보기


선등자인 운종이 빌레이는 기훈이가, 종중이 빌레이는 내가 봤다. 그런데 빙질이 좋지 않아 낙빙이 심했다.

빙벽을 하게 되면 저런 고드름 지대가 많은데 아이스 바일을 사용해 통과하는 묘미가 솔솔하다.
▲ 고드름 지대 빙벽을 하게 되면 저런 고드름 지대가 많은데 아이스 바일을 사용해 통과하는 묘미가 솔솔하다.
ⓒ 홍순종

관련사진보기


그것은 2007년 12월 31일과 2008년 1월 1일 급속하게 언 얼음들이라 버섯 얼음이 많아서다. 우린 그런 빙질엔 아랑곳 하지 않고 신나게 빙벽 등반을 했다.

아래는 경사도가 낮지만 상단으로 올라갈수록 경사도가 심하다. 저 정도 경사를 올라갈 수 있는 사람은 빙벽 경력이 있어야 한다.
▲ 매바위 상단 모습 아래는 경사도가 낮지만 상단으로 올라갈수록 경사도가 심하다. 저 정도 경사를 올라갈 수 있는 사람은 빙벽 경력이 있어야 한다.
ⓒ 홍순종

관련사진보기


2008년 1월 6일 일요일은 어제보다 많은 사람들이 매바위 빙장에서 등반을 하고 있다. 우린 어제와 같이 난이도가 높은 코스들을 돌아가면서 신나게 빙벽 등반을 했다.

매바위 우측 상단을 빙벽을 하고 있는 사람들...
▲ 매바위 우측 상단 매바위 우측 상단을 빙벽을 하고 있는 사람들...
ⓒ 홍순종

관련사진보기


그런데 오후가 되자 얼음에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을 한다. 그것은 날씨가 봄날씨처럼 포근해서 위에 달렸던 고드름들이 자연적으로 떨어지기 시작을 하고 있다. 그런 빙장엔 사고의 위험이 높아 우리들은 빙벽을 중단했다. 그래서 걱정이 된다. 설악산이 이 정도니 더 남쪽은…? 금년 빙벽을 제대로 할 수 있겠는가를?

빙벽 등반을 마치고 매바위를 배경으로 기념 촬영
▲ 등반을 마치고 빙벽 등반을 마치고 매바위를 배경으로 기념 촬영
ⓒ 홍순종

관련사진보기



태그:#빙벽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람과 사람의 역사는 만남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저도 오마이뉴스를 통해 많은 사람들을 만나 내 삶의 역사를 만들고자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