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하늟에서 본 여서도
 하늟에서 본 여서도
ⓒ 완도신문

관련사진보기


패총은 해안가에 살았던 사람들이 먹고 버린 어패류와 각종 생활 쓰레기가 오랫동안 쌓여 만들어진 유적이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패총은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쓰레기 매립장이다. 

조개껍질의 석회질에서 나온 탄산칼슘은 산성토양에 취약한 어패류와 동물의 뼈 등 다양한 유기물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무수한 세월동안 켜켜이 쌓은 쓰레기 더미에서 선사시대 고대인의 역사와 문화, 그들이 살았던 시대 자연환경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 패총을 타입 캡슐로 부른다.

우리나라에서는 패총이 600여 곳에 발견됐으며, 어패류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유지한 서남해안과 섬 지역에서 주로 조사됐다. 대량의 조개껍질로 이루어진 패총은 그 자체가 갖는 특수한 환경 때문에 선사시대 고대인의 생활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지난 2008년 목포대학교박물관이 '완도 여서도 패총 특별전'을 개최했었다. 특별전에서는 지난 2005년 완도 여서도 패총 학술조사를 통해 출토된 유물들을 전시했다.

여서도 패총은 신석기시대 전기에 속하는 유적으로 그곳에서는 토기와 석기, 골각기가 다량 출토됐다. 신석기시대 초기부터 여서도에는 고대인이 정착해 살았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여서도 패총에서는 골각기가 436점이나 출토됐는데, 우리나라 신석기시대의 다른 유적과 비교할 때 그 수량이 매우 압도적이다. 유적의 절반 이상이 어로도구가 차지한 것은 신석기시대 사수도 해역에서 바다를 터전으로 살았던 고대인의 생활상의 관심 정도를 추론하기에 충분하다. 
 
여서도 패총에서는 골각기가 436점이나 출토됐다.
 여서도 패총에서는 골각기가 436점이나 출토됐다.
ⓒ 완도신문

관련사진보기

 
패총 유적
 패총 유적
ⓒ 완도신문

관련사진보기


여서도에서 출토된 패총유적에서 남해안의 외딴섬 여서도를 어업전진기지로 발판삼아 활발한 해상활동과 어로행위를 펼쳤던 신석기인의 생활상이 세간의 화재를 모았었다. 도서지역에서 발견된 선사유적이 적었기 때문이다. 이어, 지난 2020년 목포대박물관은 '조개와 사람의 시간, 패총에 묻다' 특별전을 확대해 선보였다. 이번에는 목포대박물관과 부산대박물관이 공동 기획한 연합 순회전으로 진행됐다.  

전시장에는 신석기시대와 철기시대를 대표하는 김해의 수가리의 패총, 완도 여서도 패총과 해남 군곡리, 사천 늑도 등에서 출토된 패총 유물을 선보였다. 바다를 주 무대로 해양생물에 의지하고 살았던 사람들의 일상과 그들의 식생활을 살펴보면서 해양자원을 이용한 삶의 방식과 지혜를 엿볼 수 있는 전시기획이었다는 평가다. 

완도군은 국립해양수산박물관 유치로 들뜬 분위기다. 국립박물관이 들어오면 완도군의 도서지역에서 발굴된 선사의 유적이 다시 빛을 볼 수 있을까? 장보고시대로만 국한된 완도군의 해양문화가 재조명 받을 수 있을까? 여서도 패총에서 발굴한 고대유적들이 박물관을 빛낼 제 1호 유적이 될 수 있을까? 완도군의 문화유산을 재정비해서 세계해양문화의 학술적 가치로 높이 평가 받을 자원으로 만들 수 있을까? 

여서도와 추자도 사이 완도의 바다에는 사수도가 있다. 선사시대부터 완도의 사수도 해역에서 인류는 어로행위를 활발히 했다. 여서도 패총에서 발견된 동물 뼈를 갈아서 만든 다량의 결합식 낚시 바늘이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 그동안 완도군은 해양문화와 관련한 인류고대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는가?        
 

덧붙이는 글 | 글쓴이는 문화예술활동가입니다. 이 기사는 완도신문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완도, #패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완도신문은 1990년 9월 자본과 권력으로부터 자유롭고, 참 언론을 갈망하는 군민들의 뜻을 모아 창간했다. “진리는 반드시 따르는 자가 있고 정의는 반드시 이루는 날이 있다”는 사훈을 창간정신으로 자본과 권력으로부터 자유로운 언론의 길을 걷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