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물과 관련된 뉴스들이 연일 보도되고 있다. 상수도시설 확충이라는 반가운 소식도 있지만 수질안전성 문제, 노후한 수도시설, 정수처리 중 발생한 사건·사고 등 식수의 안전을 위협하는 소식들이 더욱 눈에 띈다. 특히 4대강 사업으로 인한 수질 개선 여부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23일 환경부에서는 '극심한 가뭄에도 4대강 수질은 대폭 개선'이라는 제목으로, 같은 날 장하나 의원실에서는 '6월달 함안보 남조류 개체수 17672, 4대강 사업 수질정책 완전실패!'라는 제목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상반되는 이 두 주장은 4대강사업의 성패가 수질에 달렸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경부는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과 T-P(총인), Chl-a(클로로필-a, 엽록소) 수치가 개선되었기 때문에 성공이라 하고, 장하나 의원실은 독성물질을 생성하는 남조류 개체수 증가에 따라 조류경보의 '경보' 단계에 이르렀기 때문에 실패라고 한다. 한편, COD(화학적산소요구량)은 개선된 곳보다 악화된 곳이 더 많은데 수질기준 수치에서 제외된 것을 두고 환경단체들이 반발하고 있다. 환경부가 불리한 데이터를 빼고 좋은 수치만 발표하는 태도는 온당한 태도가 아니며, 국민에게 종합적이고 균형 잡힌 자료를 제공해 평가받으라는 주장이다.

국민은 이 시점에서 실질적으로 4대강 수질의 안전성이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 우려스럽다. 4대강물(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은 수돗물 생산을 위한 원재료로서, 2010년 기준 전체 인구의 평균 97.7%인 약 50,264천명이 공급받고 있는 음용수의 주요 원수(原水)이다. 원수(原水)의 오염원인 및 오염심화여부가 정확히 파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수처리 후의 수질에 대해 안전을 장담할 수 있는지 의문스러울 뿐이다. 수돗물을 먹는물 수질기준에 적합하게 생산하려면 원수(原水)의 수질에 따라 정수처리방법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그래서 기존의 정수처리의 대안으로 고도정수처리공정도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관망의 수질 및 부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다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한 상태라 이 또한 안심할 수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인지 시민들이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는 비율은 좀처럼 높아지지 않고 있다. 상수도사업본부 중에는 수돗물 음용률을 높이기 위해 '시민모니터링단'을 운영하는데, 이는 시민들이 수도행정에 참여해 봄으로서 수돗물을 신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뿐만 아니라 수돗물이 식수로 안전하다는 홍보가 여러 단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가시적인 성과는 눈에 띄지 않고 있다. 결국 수돗물의 음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수에서 수도관까지 총체적인 수질 관리부터 수도행정의 투명성까지 높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이에 관계당국은 현재 유리한 데이터만 공개한다는 주장에 대하여 국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총체적인 수질결과를 오픈하고 4대강 수질을 우려하는 목소리에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현재 4대강의 수질은 누가 보아도 안전성을 의심받을 수준에 와 있다고 하겠다. 수치에서가 아니라 눈과 코로 느껴지는 것이 결코 맑아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끊임없이 흐르는 물의 성질이 그렇듯 물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관계당국의 높은 지위를 버리고 국민들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도록 낮은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이다.

4대강의 성패는 강물을 사용하는 국민들이 판단하는 것이다.


태그:#4대강,, #수질, #BOD, #COD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놀면서 평화로운 공동체를 만들고 싶음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