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2004년 가장 많은 독일인들이 시청한 단일 프로그램은 무엇일까. 유럽 대부분의 나라가 그렇듯이 축구였다. 2004년 7월 4일의 유럽축구챔피언 전 포르투갈 대 그리스 결승전이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6위까지 축구경기가 차지했다.

▲ 베를린 연방의사당 부근에 위치한 제1 공영방송 ARD 베를린 스튜디오. 독일 시청자의 70% 가량이 ARD의 뉴스정보 프로그램을 선호한다.
ⓒ 강구섭
그렇다면 뉴스·정보 분야의 시청률 1위는 무엇이었을까. 이 또한 늘 그랬듯이 저녁 8시에 방영되는 '타게스샤우(Tagesschau)'였다. 독일 공영방송 ARD의 대표적 뉴스프로인 타게스샤우는 1952년 첫 전파를 탄 이래 최장수 뉴스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한국의 9시 뉴스가 40여 분 동안 분석과 전망을 곁들여 진행되는 것과 달리 타게스샤우는 15분이라는 짧은 시간에 국내외 소식을 압축해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깊이 있는 분석이나 논평은 뉴스 이후에 이어지는 심층보도 프로그램의 몫이다.

독일 시청자의 절반가량(49%)이 타게스샤우를 가장 신뢰할만한 뉴스로 꼽는다. 사건을 있는 그대로 중립적으로 보도한다는 게 그 이유다. 평균 시장점유율도 34.7%를 유지하며 공영방송의 뉴스정보 프로그램을 선두에서 이끌고 있다. 타케스샤우보다 1시간 먼저 방송되는 제2공영방송 ZDF의 저녁뉴스인 '호이테(Heute)'도 시장점유율 20.5%로 그 뒤를 잇고 있다.

가장 신뢰받는 뉴스는 공영방송 '타게스샤우'

14세 이상의 독일인들은 하루 평균 3시간 40분가량을 텔레비전 앞에서 보내는데 이중 66분을 뉴스나 심층보도, 다큐멘터리 등 뉴스·정보프로그램에 할애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는 대표주자는 공영방송 ARD, 제2공영방송 ZDF 등 공영방송 채널이다. 66분 가운데 공영방송이 43분, 민영방송이 23분을 차지한다.

반면 쇼·오락프로그램에서는 민영방송의 시청률이 67%(일평균 시청시간 22분)로 공영방송(33%, 시청시간 11분)에 비해 월등히 높다. 그러나 쇼·오락프로그램과 독일인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사건·추리물 부문의 선두는 공영방송이 지켜왔다.

▲ 민영방송의 오락,쇼 프로그램 강세 속에서 최고의 범죄수사드라마 자리를 줄곧 지키고 있는 ARD 범죄수사드라마 <현장> 웹사이트.
실제 2004년 TV 프로그램 가운데 유럽축구 챔피언 전 중계를 제외하고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했던 프로그램은 쇼 프로그램인 제2공영방송 ZDF의 <내기할까?(Wetten, dass?)>였다. 1~2분내 할 수 있는 창작 게임을 갖고 출연한 시청자가 게임을 펼쳐 보이기 전에 세계유명인사, 연예인이 성공여부를 점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내기할까?>는 매회 40%에 가까운 시장점유율을 보이며 토요일 저녁 온 가족이 함께 앉아 즐길 수 있는 유럽 최대의 가족용 오락프로그램으로 자리 잡고 있다.

75%의 독일인이 일주일에 한편 이상은 본다는 사건·추리물 부문을 보자. 독일에서는 공·민영방송 모든 채널을 통틀어 하루 평균 19시간 동안 미국 과학수사물 < CSI Miami >부터 <제시카 부인>까지 다양하게 방영되는데 이중 가장 인기 있는 프로그램도 공영방송의 사건·추리물인 <현장(Tatort)>, <경찰전화 110(Polizeiruf 110)>이다. 민영방송의 사건·추리물 시청시간이 34분으로 공영방송의 29분에 비해 길지만 <현장>은 20%가 넘는 평균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며 35년 전통 독일산 범죄드라마의 자존심을 지키고 있다.

그러나 독일 공영방송이 처음부터 '공영'으로서의 모습을 보였던 것은 아니다.

나치정권 나팔수에서 독립공영방송으로

1920년대 초, 라디오방송으로 시작한 독일 공영방송은 1933년 등장한 히틀러 정권 하에서 선동의 도구로 이용당했던 뼈아픈 과거를 갖고 있다.

라디오 가격이 200~400 제국마르크에 달하던 1930년대 중반, 나치 정권은 '국민수신기'라고 이름 붙여진 저가 라디오를 대량 보급해 정권 초기인 1933년에 25% 가량이던 라디오 보급률을 8년 만에 65%로 끌어올렸다. 그렇지만 "전 독일이 지도자(히틀러)의 목소리를 듣는다"는 나치의 정책에 입각해 만들어진 국민수신기는 타 방송은 청취가 불가능한, 오로지 '지도자'의 목소리만 청취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주파수만 갖고 있었다.

▲ 제2 공영방송 ZDF 홈페이지. ZDF와 ARD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같은 시간대에 공동 방영하는 등 긴밀한 협력관계 속에서 공영방송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정권의 나팔수 노릇을 해야 했던 독일 공영방송이 제2의 탄생을 시도한 것은 10여 년 뒤 나치정권이 무너진 제2차대전 후다. 공영방송은 전승국인 영국의 BBC를 모델로 한 민주공영방송으로 새롭게 재편됐다. 독재 정권의 방송장악 폐해를 경험한 독일은 다른 나라와 달리 언론의 자유뿐 아니라 통신수단소유의 자유를 보장한다는 것을 독일기본법(5조)에 명시했다. 이와 함께 방송, 통신 관련법 등 제반사항은 연방의회에서 관할하고, 방송기술 등 기술, 시설분야는 연방주의 원칙에 따라 각 지방차원에서 담당하도록 해, 방송 권력의 분리를 명문화했다. '누군가'에 의한 전파독점의 위험을 원천봉쇄하기 위함이다.

그렇게 태어난 것이 독일공영방송연합 ARD다. 9개 지방공영방송사의 연합체로 이뤄진 ARD는 각 지방방송사가 갖고 있는 독자 채널 외에 공동제작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 제 1채널 'Das Erste(다스 에르스테)'를 운영하고 있다. 1963년에는 제2 공영방송 ZDF가 설립돼 ARD와 함께 공영방송의 양축을 형성했다. 이외에 양대 공영방송이 직간접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문화채널 SAT3, 연방의회채널 Phoenix, 어린이채널 Kika 등 전체 공영방송 채널 수는 15개에 이른다.

한편 민영방송은 1984년 SAT1으로 시작해 현재 30여 개 채널에 이르고 있다. 민영방송은 2000년대 초반까지 최대 민영방송그룹인 RTL 그룹과 키르히 그룹 등 언론재벌을 중심으로 발달해 왔다. 그러나 2002년 키르히 그룹이 파산하면서 키르히 그룹 소속 방송사간의 수평적 기업합병을 통해 독일 2대 민영방송그룹으로 부상한 SAT1Pro7 미디어그룹 지분의 50% 이상을 미국계 자본이 가져가면서 미국 언론재벌에 의한 독일시장 잠식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공영의 '상업화', 민영의 '선정성·여론독점'

독일 시청자의 상당수가 공영방송이 민영방송보다 더 양질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지만, 공영방송의 지나친 상업화에 대한 지적도 만만치 않다. 특히 2000년대 초반 이후부터는 "공영방송의 문화프로그램이 토크쇼 화되고 있다", "황금시간대인 저녁시간을 오락프로그램이 장악하고 있다"는 등의 비판이 느는 추세다. ZDF의 경우, 낮은 시청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90년대 말부터 오락 및 쇼 프로그램을 강화했다가 상업화에 대한 적지 않은 비판을 받았다.

시청률 때문에 본연의 임무 망각?
심층프로 방송시간 단축에 간접광고까지... 2005년의 ARD

공영방송 ARD는 지난해 6월, 경영진회의에서 올 1월부터 6개의 정치매거진 및 1개의 경제매거진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을 현행 45분에서 30분(경제매거진, 35분에서 25분)으로 단축키로 결정하면서 물의를 빚었다. 경영진회의가 내세운 이유는 ARD의 간판 심층보도프로그램인 '타게스테멘'의 방송시간을 현재의 10시 30분에서 10시 15분으로 옮기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는 것이었으나 비슷한 시간대에 편성되어 있는 범죄수사물 등의 방송 시간은 현행대로 계속 유지키로 해 비판을 샀다.

경영진회의의 이러한 결정은 정치프로그램 담당부서를 비롯해 언론인 노조, 시청자연합 등의 반대를 불러왔다. 프로그램 담당 부서는 "방송시간 축소는 연간 300꼭지 분량의 내용이 다뤄지는 2천분의 방송시간 단축을 의미하며 이는 결국 프로그램의 질적 저하를 가져오게 될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언론인노조 또한 "ARD가 정치매거진과 같은 심층보도프로그램을 축소하는 것은 공영방송으로서 본연 과제를 저버리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런 가운데 ARD의 드라마를 비롯한 일부 프로그램에서 10년이 넘게 불법 간접광고가 이뤄졌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공영방송으로서의 이미지도 크게 훼손됐다.

1992년부터 방영된 ARD의 드라마 <마리엔호프(marienhof)>에서 ARD 산하 프로그램제작사가 외부대행사를 통해 수년 동안 간접광고를 조직적으로 유치했으며 심지어 간접광고내용이 프로그램 대본에 포함되기까지 한 것으로 밝혀진 것. 제2공영방송 ZDF 또한 지난 2004년 일부 프로그램에서의 간접 광고 의혹으로 물의를 빚은 바 있다.

한 언론매체의 3년에 걸친 탐사보도로 이러한 사실이 밝혀지자 ARD 경영진은 조사 기구를 구성, 강도 높은 조사를 실시하고 간접광고 감시 전담직원을 두는 등 재발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했으며 ZDF 또한 지난 2004년, 광고 제휴를 대폭 축소하는 등의 조취를 취했다. / 강구섭
공영방송의 상업화 경향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자 ARD는 지난 2004년 9월, '공영방송의 자기의무에 관한 지침'을 발표하면서 정보방송 비율을 최소 40%대로 유지하는 등 공영방송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ZDF 또한 TV 당첨 게임 등 상업적 성격이 강한 프로그램을 축소하고 정치, 경제 정보관련 프로그램을 강화, 전체 방송 중 약 50%를 정보방송에 할애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한편 지난해 ARD는 보도프로그램 시간 단축과 간접광고 등으로 적지 않은 파문을 일으켰다.<박스 참조>

민영방송의 지나친 상업화로 인한 선정성 문제도 단골 지적대상이다. 대표적 민영방송 RTL은 평균시청자보다 90분 더 TV앞에 앉아 있는 실업자(평균 5시간 17분)를 공략하는 선정적 토크쇼, 리얼리티 쇼 등을 편성해 '하류층용 TV'라고 폄하되는 수치를 겪기도 했다. 2004년 초 독일의 유명인사, 방송인 등이 오스트레일리아 정글에서 12일간 담력테스트를 통과하는 과정을 소재로 한 RTL의 <나는 스타다, 나를 꺼내줘>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내용의 유해성, 부적절성 시비를 불러일으키며 '쓰레기 TV'라는 평을 들었다.

이 가운데 민영방송의 자본집중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작년 8월, 30여 개의 전국·지방일간지, 잡지 등을 소유한 독일 최대 신문출판그룹(일간지 전체부수의 20%이상 차지) 악셀슈프링어(Axelspringer)가 민영방송그룹인 Sat1Prosieben 미디어그룹을 인수할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여론 독점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는 것.

▲ 베를린 연방의사당 부근에 위치한 민영방송사 RTL의 베를린스튜디오. 독일 민영방송은 오락기능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지나친 상업화, 선정성으로 자주 논란이 되고 있다.
ⓒ 강구섭
이 사안을 집중 검토해 온 매체자본집중조사위원회(KEK)는 1월10일, 악셀슈프링어의 인수계획을 불허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조사위는 악셀슈프링어가 Sat1Prosieben을 인수할 경우 전체 시청자시장의 42%를 점유하게 돼 여론독점의 위험이 있다는 것을 불허 사유로 제시했다. 독일 TV방송 관련 사안을 담고 있는 방송국가협정은 하나의 TV미디어 그룹에 속한 방송채널들이 독일 전체 시청자시장의 25% 이상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나이 많고, 배운 사람들만 공영방송 본다?

심층보도 프로그램 축소, 간접광고 파문 등으로 2005년 한 해 동안 어느 해보다 따가운 시청자들의 시선을 받아야 했던 공영방송이지만 공영방송에 대한 시청자들의 신뢰는 여전하다. 일련의 사건들이 수십 년간 쌓아온 공영방송에 대한 시청자의 두터운 신뢰를 흔들 수준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 가운데 독일 방송전문지 <미디어전망(Media perspektiven)> 2005년 3월호에 실린 공영방송 시청자분포도는 공영방송에 새로운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공영방송이 시장점유율 측면에서 민영방송에 우위를 차지하고 있지만(ARD, ZDF 2004년 점유율 각 14%, 13.8%, 지역 및 준공영방송사 전체점유율 18%, 대표적 민영방송 RTL, SAT 1의 점유율 각 13.8%, 10.3%) 14~49세 시청자의 30% 만이 공영방송을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50세 이상 시청자 60% 가 공영방송 선호).

같은 시기 독일시장경제조사기관(GfK)의 2005년 연구내용도 주목할 만하다. GfK의 연구내용을 보도한 주간지 <포쿠스>는 지식층을 비롯한 '교육중산층' 더 나아가 경제적으로 부유한 사람일수록 공영방송을 선호하고 있으며, 반대로 실업자 등 경제적으로 '빈곤층'일수록 민영방송을 즐겨 본다고 분석했다. 경제적 중산층이 계속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적 양극화가 방송시청 성향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공영성을 잃지 않으면서 모든 계층에게 다가가는 공영방송으로의 한보 전진. 오늘날 독일 공영방송이 풀어야 할 과제다.

독일의 수신료 인상 체계, 유럽의 '모델'로
공영방송, 재정 80% 이상 수신료로 충당...광고재원 10% 미만

▲ 수신료산정위원회에서 발간한 연례보고서, 수신료 산정, 수신료운영평가 등에 관련된 내용이 망라되어 있다.
ⓒ강구섭
독일 공영방송은 국가를 비롯한 정치, 경제계 등 사회 모든 분야로부터 방송의 자주성과 독립성을 지키기 위해 재정의 80% 이상을 수신료로 충당한다. 양대 공영방송 ARD와 ZDF는 저녁 8시 이전까지 하루 20분까지 광고와 기타 협찬 홍보를 할 수 있지만 광고로 충당되는 재원은 전체의 10%를 넘지 않는다.

2004년 ARD의 재정 중 82%가 수신료로 채워졌으며 광고수입과 협찬은 각각 2.1%, 15%에 불과했다. 또 ZDF의 경우도 90%가 수신료였으며 광고나 협찬은 10%였다. 이들 공영방송의 광고나 협찬 수입은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도록 규정돼 있다.

독일의 수신료는 월 17.03유로(2만2천원)로 유럽에서 오스트리아 다음으로 가장 비싸다. 라디오만 갖고 있는 경우에도 월 기본료 5.52유로(7천원)를 납부해야 하며, 2007년부터는 TV 수신카드를 통해 컴퓨터로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도 수신료를 내야 한다. 수신료의 징수 및 관리는 ARD와 ZDF가 공동 설립한 수신료 징수센터(GEZ)를 통해 이뤄지는데 이중 수신료를 내지 않고 방송을 수신하는 '불법수신자'는 전체 수신자 가운데 1.7%가량이다.

독일에서 수신료는 방송프로그램 청취 대가가 아닌 공영방송 유지를 위한 재원 분담의 성격을 갖고 있다. 공영방송의 수신료 책정, 수신료 운영에 대한 감독 및 평가 등의 수신료 전반에 관한 업무는 학자, 방송전문가 등 전문가로 구성된 수신료산정위원회(KEF)를 통해 이뤄진다. 각 공영방송사는 재정 운영에 관한 전반적 사항, 추가재정 필요분 등에 대한 의견을 2년 주기로 KEF에 제출한다.

KEF 산하 각 분과는 공영방송사가 제출한 의견의 적합성을 검토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지방대표회의에 수신료 인상을 권고한다. 독일 16개 지방의 대표는 전체회의를 통해 KEF의 권고 수용여부를 결정하며 수신료 인상이 결정되면 이는 다시 각 지방의회의 비준 절차를 거쳐 최종 승인된다. KEF를 통해 수신료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독일의 수신료 체제는 유럽 각국으로부터 좋은 모델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KEF의 베그너 박사는 "최근 인상된 수신료에 대해 일부 반대가 있긴 하지만 아주 미미한 수준이며 전반적으로 공영방송 수신료에 대해 찬성하는 분위기"라고 평가했다. 베그너 박사는 "민영방송만 보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는 목소리가 있지만 정보 교양 여가 문화 등 광범위한 내용을 담고 있는 공영방송이 확실히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민영방송이 존재할 수 있다는 인식이 일반적"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지난해 10월에는 지방대표회의가 KEF의 수신료 인상권고 수용을 거부하면서 공영방송사들이 연방헌법재판소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지방대표회의가 2004년 12월 열렸던 회의에서 "긴축재정을 위한 공영방송사의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다"며 KEF 권고 액수인 1.09유로 보다 낮은 88센트만 인상하기로 결정한 것.

공영방송사 측은 "연방대표자회의의 결정은 공영방송의 독립성이라는 기본 가치와 직결된 문제다, 재원 부족은 공영방송의 역할 축소로 이어져 사회 전체에 악영향을 가져오게 된다"며 연방대표자회의의 결정에 이의를 제기, 연방헌재의 판결을 기다리고 있다. / 강구섭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통일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독일에서 공부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