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DF 2020 <기생, 꽃의 고백>

EIDF 2020 <기생, 꽃의 고백> ⓒ EIDF 2020

 
'EBS 국제다큐영화제(EIDF)'가 올해로 17회를 맞았다. 올해는 글로벌 코로나19 팬데믹의 상황 속에서 '다시 일상으로, 다큐 내일을 꿈꾸다'라는 슬로건 아래 8월 17일부터 23일까지 7일간 진행된다. 

영화제는 경쟁 부문인 '페스티벌 초이스'와 함께 ▲여성 ▲예술 ▲교육 ▲무형 유산 등 다양한 분야의 목소리를 전했다. 그 중 '무형 유산' 부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씨름 등 세계 각국의 문화적 유산이 다뤄졌다. 작품 가운데 <기생, 꽃의 고백>(감독 홍태선, 임혁)은 세상의 편견 속에 사라져 가는 '기생'의 문화적 존재를 증명하고자 했다. 

부산 박물관 앞에서 벌어진 '수영야류' 공연. 부산 수영구에서 전래되는 이 '탈놀이'가 지금까지 이어질 수 있었던 것은 바로 동래 권번이 있었기 때문이다. 일제 시대 기생들의 조합을 뜻하는 '권번'이 우리 민속 유산과 무슨 관련이 있을까? 

수영야류 보존회장인 이상열씨는 자신이 동래 권번에서 엄격한 교습 과정을 통해 '수영 야류'를 배웠던 시절을 회고한다. 교방 검무, 교방 승무 등등 우리가 지금 문화 유산으로 즐기고 있는 많은 것들이 그 명맥을 이어오는 데 있어 기생들의 권번의 역할은 절대적이었다. 하지만 그 '문화적 영향력'은 기생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함께 묵살되고 있다. 

엔터테이너로서의 기생
 
 EIDF 2020 <기생, 꽃의 고백>

EIDF 2020 <기생, 꽃의 고백> ⓒ EIDF 2020

 
김선부, 왕수복, 신일선, 김영월 등은 1930년대를 풍미한 기생들이다. 뛰어난 미모, 모던한 옷으로 당시 신문물이었던 와인과 커피를 즐겼던 사람들, 기생하면 떠올리는 전통무가 아니라 탬버린을 들고 서양식 댄스를 앞서 도입했던 사람들, <봉황의 면류관> 등 당시 영화를 만들게 되면 캐스팅 1순위였던 사람들. 그들은 오늘날 우리가 '엔터테이너'를 생각하면 떠올리는 것들을 수행한 당대의 문화인들이다. 

기생들은 시, 글, 그림, 노래, 춤 분야의 전문가였다. 왕실에서 가무를 담당했던 이들을 1패 기생으로, 일반 대중들을 상대로 가무를 담당했던 이들을 '은근자', 2패 기생으로 분류했다. 이들보다 낮은 3패 기생들이 몸을 파는 일을 했는데 이들로 인해 기생 전체에 대한 '편견'이 생겨났다. 

초창기 기생 중엔 예술 활동을 하는 예기들이 많았다. 공연 예술의 한 갈래를 담당했으며 근현대사 문화의 한 축을 담당했다. 문화계를 선도한다는 자부심을 가졌던 기생들은 국산 장려 운동, 고아들을 위한 자선 공연 등에 앞장섰다. 

평양 기생학교에 재학하는 학생만 200여 명이 넘었으며 서울에도 자체 학습 프로그램을 만들 만큼 예기로서 기생이 되는 과정에 관한 체계적인 프로그램도 마련돼 있었다. 그들은 아침 10시면 나와 소리와 춤을 배웠으며 장구, 춤, 소리는 기생에게 기본이었다. 한 달에 한번 시험을 봤고, 못하면 체벌을 당하거나 심하면 밥도 굶어야 했다. 만점을 받아야 비로소 기생으로 활동할 수 있을 만큼 엄격한 '수련' 과정을 거쳤다. 

이들 기생은 '권번'이라는 조합에 가입되어 있었다. 권번은 기생들의 이른바 '공연비'를 관리했으며 의상, 코디 등을 담당하는 한편 어린 기생인 동기들을 키워냈다. 이런 과정 자체는 오늘날 '연예 기획사'의 모습과 그리 다르지 않다. 

기생들의 권번은 서울이나 평양뿐 아니라 부산, 군산 등에도 존재했다. 낮에는 식사를 할 수 있고, 밤에는 공연을 하는 '명월관'은 그 자체가 브랜드가 되어 서울은 물론 지방에서도 그 명성을 누렸다. 심지어 도쿄에도 '명월관'이 있었다. 평양 기생이었던 노경월이 1929년~1932년 나카타초에 열었던 명월관은 단순한 요릿집이 아니었다. 영친왕의 집과 붙어 있어 모종의 지원을 받았을 것이라 추측되는 명월관은 유학파, 독립투사 등 일본에 온 다양한 우리 지식인들의 교류 장소이자 정보 교환의 장이었다. 

부정당한 우리의 전통 문화, 기생 
 
 EIDF 2020 <기생, 꽃의 고백>

EIDF 2020 <기생, 꽃의 고백> ⓒ EIDF 2020

 
하지만 당시 기생들의 활동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드물다. 문화인으로 한시대를 풍미했지만, 이후 사회에 퍼진 기생에 대한 낮은 인식으로 인해 한때 기생으로 활동했던 사람들은 자신이 기생이었음을 좀처럼 드러내려 하지 않는다. 

그런 면에서 마지막 예기라 할 수 있는 군산 소화 권번 기생이었던 장금도 명인의 존재는 소중하다. 이제 90세로, 요양병원에서 머물러야 할 정도로 노쇄했지만 자신을 기리는 공연에서 '춤 출 때 보면 그렇게 예쁘다'는 그 옛날의 평판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춤사위를 선보인다. 

드센 사주팔자 때문에 기생의 길을 걷게 되었다는 장 명인은 아들을 홀로 키우며 잔칫집에 다니며 춤 공연을 하기도 했지만 모습을 감춘 다른 기생들과 달리 '민살풀이' 명인으로 후학들을 길러냈다. 이 때문에 어머니와 딸의 관계와도 같은 장금도 명인과 후학 대진대 신명숙 교수의 관계는 특별하다.

저급한 일본 기생 문화가 들어오며 소비적이고 말초적인 저급한 접대 방식이 퍼진데다 1930년대 대동아 전쟁 당시 일본은 기생의 가무를 금지했다. 그리곤 그들에게 접대를 하도록 했다. 이 때부터 기생을 '접대부'로 부르기 시작했으며 문화적 담당자로서의 기생 이미지 대신 '접대부'라는 이미지가 대중적으로 각인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당시 기생이었던 이들은 자신들은 '가무'를 담당했다고 자부한다. 엄연히 기생은 조선과 근대를 잇는 전통 문화의 담당자였다. 다큐는'접대부'라는 후에 그들을 규정한 저급한 인식을 넘어 예술인으로 그들의 존재를 다시금 정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말을 맺는다.

그들이 없었다면 오늘날 우리가 보는 많은 전통 문화 자체가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의 무형 유산으로 '기생'을 복기한 <기생, 꽃의 고백>은 의미가 크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EIDF 2020 -기생, 꽃의 고백>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