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2013>을 유심히 살펴보면 아이들의 삐뚤어진 행동, 혹은 그에 연루된 일들이 있을 때 카메라가 수평을 잡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도된 것으로 보이는 이 화면들은 오늘날 '학교'가 처한 상황과 아이들의 불안정한 심리상태, 혹은 어지러운 상황 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학교 2013> 교사들이 문제학생들의 소란행위를 발견하고 복도를 뛰어가고 있다.

▲ <학교 2013> 교사들이 문제학생들의 소란행위를 발견하고 복도를 뛰어가고 있다. ⓒ KBS


<학교 2013> 전학 온 박흥수(김우빈 분)이 고남순(이종석 분)이 건네 준 식판을 받고 식탁에 앉아 있다. .

▲ <학교 2013> 전학 온 박흥수(김우빈 분)이 고남순(이종석 분)이 건네 준 식판을 받고 식탁에 앉아 있다. . ⓒ KBS


삐뚤어진 학교, 삐뚤어진 아이들

사교육시장의 팽창과 인기강사들의 급부상으로, 교사, 학생 양방향에 '학교는 그저 졸업장을 따기 위한 곳'이라는 자조적 인식이 팽배해 있다. 권위가 재정립되고 있는 것이다. 대학입시가 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이상, 그 기형적 관계가 변할 것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학교 2013>의 내용은 시청자들에게 상당한 충격을 안겨준다. 기존의 통념을 무너뜨리는 사제관계, 교우관계 등은 화면이 기울어져 있지 않더라도 충분히 불안해 보인다. '순종'과 '규율'을 가르치고 배웠던 학교는 이제 더 이상 없다.

기울고 삐뚤어진 것들에는 이유가 있게 마련이다. 4회에서는 이제 서서히 아이들의 환경에 관한 이야기가 곁들여지기 시작했다. 질풍노도 시기의 아이들이 제대로 자라기 위해서는 고르게 뿌려지는 자양분이 필요한데, 학교나 교사, 부모, 그리고 사회가 그 역할을 얼마나 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누구도 명확한 답변을 내놓기는 힘들 것이다.

<학교 2013> 문제학생들이 등장하는 화면은 어지럽게 흔들린다.  기울어진 카메라 앵글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 <학교 2013> 문제학생들이 등장하는 화면은 어지럽게 흔들린다. 기울어진 카메라 앵글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 KBS


<학교 2013> 화면이 늘 기울어져 있는 것은 아니다. 이른바 불량학생이 아닌 아이들을 잡는 화면은 늘 평온해 대조를 이룬다.

▲ <학교 2013> 화면이 늘 기울어져 있는 것은 아니다. 이른바 불량학생이 아닌 아이들을 잡는 화면은 늘 평온해 대조를 이룬다. ⓒ KBS


화면이 수평을 잡응 때가 올 수 있기는 한 것일까

기간제 교사 정인재(장나라 분)와 학원의 인기강사였던 강세찬(최다니엘 분)의 위치도 몹시 기울어져 있다. 두 사람은 '교육'을 한다는 목표는 같지만 지향점과 스타일이 다르다. 실제 교육현장에서 어떤 유형의 교사가 더 선호되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전인교육'보다는 '입시교육'이 더 가시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하다는 것.

정인재는 기간제 교사로서 자존감이 바닥을 칠 상황에서도 용기를 잃지 않는다. 공고한 꿈이었던 교사직을 그만두기가 쉽지 않겠지만, 드라마에서나 볼 수 있는 상황이라 생각하면 서글픈 일이기도 하다.

반면 강세찬은 강사로서 한해에 자신이 벌어들이는 수입을 언급하며 자신만만해 하는 모습이다. 수능점수 2-3점 차이로 들어갈 수 있는 대학의 수준 차는 때로 어마어마하다. 그 점수에 대한 대가로 쏟아 붓는 돈은 실제로 천문학적 규모라 한다.

그것은 학생들의 경우와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 결국 교육조차 부익부빈익빈의 형태를 띌 수밖에 없다. 드라마의 화면이 그것을 말하기 전, 이미 학교의 기둥은 뿌리가 뽑힐 지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이다. 그것이 수평으로 바로 세워질 날이 오기는 할 것인가. 교육현장은 이제 정글이 되었다.

KBS 학교 2013 정인재 강세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