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스타

본문듣기

전쟁 속에서도 연극을 멈출 수 없던 이유

[안지훈의 3인칭 관객 시점] 시각장애 딛고 일어선 송승환의 연기 열정, 연극 <더 드레서>

24.10.18 10:07최종업데이트24.10.18 10:07
원고료로 응원
 연극 <더 드레서> 공연사진
연극 <더 드레서> 공연사진국립정동극장

코로나 팬데믹이 한창일 때, <더 드레서>라는 이름의 연극이 공연됐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포탄이 날아다니는 와중에도 공연을 올리는 이들의 이야기였다. 도저히 공연을 할 수 없을 것 같은 상황임에도 공연을 이어가는 <더 드레서> 속 배우와 스태프, 그리고 극장을 찾는 관객의 모습은 팬데믹의 공연계와 오버랩됐다.

당시 상황과 맞아 떨어지며 공감을 불러일으켰던 <더 드레서>가 다시 돌아왔다. 8일 개막한 작품은 11월 3일까지 국립정동극장에서 공연되며, 이후에는 두 차례의 지방공연을 진행한다. 11월 28일부터 30일까지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에서, 12월 6일부터 7일까지 부산시민회관 대극장에서 공연을 선보인다.

극중 셰익스피어 극단의 노배우로 어려움을 딛고 끝내 무대에 서는 '선생님'을 송승환이 연기하며, 선생님의 드레서 '노먼'은 김다현과 오만석이 번갈아가며 연기한다. 이외에도 양소민, 송영재, 유병훈, 이주원, 임영우 등 연기파 배우들이 출연한다.

묵묵히 주어진 일을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전쟁의 참화 속에서 극단의 배우들은 징집되고, 곳곳의 극장에 폭탄이 떨어지고 있다. '선생님'이라 불리는 극단의 노배우는 트라우마에 시달리며 정신 이상 증세를 보인다. 이에 무대감독 '맷지'는 공연을 취소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선생님의 드레서 '노먼'은 완강히 반대한다.

"현실을 직시하라"는 맷지의 말에도 노먼은 물러서지 않는다. "덧없는 희망"이라는 병에 걸렸다는 비아냥에도 노먼은 굴하지 않고 공연을 준비하고, 선생님 역시 마찬가지다. 하지만 상황은 순탄하지 않다. 공연 시작을 앞두고 선생님이 대사를 까먹는가 하면, 공연이 예정된 극장 근처에도 폭탄이 떨어진다.

설상가상으로 사모님은 선생님에게 은퇴를 권유한다. 물론 선생님에겐 어림도 없는 소리였다. 선생님은 단호하게 잘라 말한다.

"폭탄이 떨어지고, 목숨이 왔다 갔다 하는 이 와중에, 왜? 하고 말고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야. 이건 내 의무야. 난 신의를 지켜야 한다고."

 연극 <더 드레서> 공연사진
연극 <더 드레서> 공연사진국립정동극장

이런 노먼과 선생님을 보고 필자는 세르반테스의 소설 <돈키호테>를 떠올렸다. 시골 마을의 노인 '알론조 키하나'는 스스로를 기사 '돈키호테'라고 칭하며 모험을 떠난다. 그는 세상이 잘못 돌아가고 있다고 진단했으며, 자신이 그런 세상을 악으로부터 구할 것이라고 큰소리친다. 사람들의 눈에는 미치광이로 보일 뿐이다.

무대감독이 노먼에게 내린 "덧없는 희망"이라는 진단은 오래 전 돈키호테가 받은 진단이었다. 또 배우로서 공연을 하는 것을 의무라고 생각하는 선생님 역시 기사로서 싸움을 하는 것을 의무라고 생각하는 돈키호테와 유사하다. 돈키호테는 이길 수 없는 싸움일지라도 반드시 해야 한다고 단언했는데, 폭탄이 떨어지는 와중에도 공연을 이어가겠다는 선생님은 그런 면에서 돈키호테를 닮았다.

결국 <더 드레서>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묵묵히 자신의 일을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그 속에서 각각의 캐릭터가 보여주는 고민은 이야기에 입체성을 더한다. 연극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버티고 살아낸다"라는 대사는 시대와 상황을 넘어서, 오늘날 관객에게도 '어떻게 살 것인가' 고민하게 한다.

송승환의 연기는 그 자체만으로도 작품의 주제 의식을 상기시킨다. 망막색소변성증으로 시각장애 4급 판정을 받은 송승환은 안개가 낀 것처럼 보인다고 밝혔다. 곳곳에 무대 장치가 있고, 동선이 다양하며, 동료 배우들과 움직임을 맞춰야 하는 연극을 하기에 제약이 많을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걸음 수를 세어 동선을 체크하고, 대본을 들으며 외우는 등 나름의 방법으로 무대에 서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런 노배우의 연기 열정은 전쟁 속에서도 공연을 이어가는 <더 드레서> 속 인물들의 이야기를 더 와 닿게 했다.

어떻게 기억되는가

극단의 구성원들도 공연을 하기로 한 이상 선생님, 노먼과 함께 최선을 다한다. 이들은 모두 각자의 위치에서 나름의 존재 가치를 찾아간다. 선생님은 연기를 통해 자신의 존재 가치를 인식했고, 노먼은 선생님 곁을 지킨다는 것 자체에 의미를 두었다.

"누군가 자신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에서 삶의 이유를 찾은 것"이라고 말하는 노먼은 그저 16년 동안 선생님을 도우며 자신의 존재에 가치를 더해왔다. 하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자신이 어떻게 살아왔는지와 더불어 다른 이들에게 어떻게 기억되는지도 대단히 중요하다.

 연극 <더 드레서> 공연사진
연극 <더 드레서> 공연사진국립정동극장

죽음이 다가오는 것을 직감한 선생님은 무대감독 맷지에게 자신에 대해 잘 이야기해달라고 부탁한다.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건 누군가에게 기억된다는 것"이라는 말과 함께. 타인에게 기억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노먼도 마찬가지였다. 노먼은 선생님의 자서전에 자신에 대한 이야기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격하게 분노한다.

숭고한 일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들도 결국 타인의 인정이 없으면, 존재의 의미를 온전히 채울 수 없다는 걸 보여주는 듯하다. 독일의 철학자 악셀 호네트(Axel Honneth)는 '인간의 삶은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기 위한 투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타인에게 가치를 확인 받음으로써 긍정적인 자기 의식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이런 관점은 이 연극을 즐기는 또 하나의 방법을 제시한다.

즉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물음뿐 아니라 '어떻게 기억되는가' 역시 우리 삶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더 드레서>는 이야기한다. 이 연극을 다각도에서 봐야 하는 이유다.
공연 연극 더드레서 송승환 국립정동극장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화와 사회를 이야기하겠습니다. anjihoon_510@naver.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