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멘터리 <국경 너머> 스틸컷
EBS
* 주의! 이 글에는 영화의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01.
1989년 11월 9일,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다. 베를린을 동과 서로 가르는 긴 장벽이 세워진 지 28년 만의 일이었다. 왕래를 막고 있던 장벽 하나가 영구히 무너질 수 있다는 사실은 희망처럼 여겨졌지만 세계 곳곳에는 여전히 길고 높은 장벽들이 국경을 가로막고 있다. 어떤 장벽은 국가와 국가 사이의 국경에 존재하기도 하고 또 어떤 장벽은 한 국가 내에 설치되어 있기도 하다.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사이에도, 이집트와 이스라엘 사이에도, 태국과 말레이시아 사이에도 존재한다. 물론 이 외에도 국경을 마주하고 있으며 서로의 왕래를 차단하기 위해 장벽을 세워둔 국가는 훨씬 더 많다. 대륙을 막론하고.
다큐멘터리 <국경 너머>는 그런 경계에 머물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들여다보는 작품이다. 국경을 지키고자 하는 사람들과 국경을 넘어야 하는 이들, 그런 사람들을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돕고자 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이들 모두가 이 작품의 대상이 된다. 이 작품에서 등장하는 국경은 총 세 곳이다. 멕시코와 미국 사이를 가르고 있는 장벽과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짐바브웨 사이의 날카로운 철조망, 그리고 모로코와 스페인 사이의 접경지대에 존재하는 또 하나의 장벽. 지금 국경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수많은 문제와 일들이 어느 한 지역의 국지적인 문제가 아니라는 뜻이며, 이 작품은 그 지점에 주목한다.
02.
어느 쪽에 놓이느냐에 따라 각자의 입장은 모두 다른 모습을 하게 된다. 장벽을 지키는 사람들에게도 나름의 이유가 있고, 이를 허물로 넘어가고자 하는 이들에게도 그럴 수밖에 없는 상황이 있다. 이곳에 오래 있다 보면 서로의 그런 차이를 인정하게 된다고 한다. 국경을 따라 순찰하는 이들이 밀입국자들에게 화가 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하는 이유다. 오히려 이 위험한 장애물을 목숨 걸고 뛰어넘는 그들을 보고 있으면 그 간절함이 얼마나 큰지 이해하게 된다고 한다. 다만 그 과정에서 그들이 범죄를 저지르고 사고를 치는 것이 문제다. 정해진 절차가 아닌 방식으로 다른 나라로 넘어오려는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는 대중의 시선도 그들에게는 외면할 수 없는 무거운 짐이 된다.
시시때때로 경계를 넘기 위해 도전하는 이들 역시 국경 레인저들이 정해진 루트를 순찰하고 그들을 잡아들이는 일이 이들의 의무라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 다만 경계에 오래 머무는 이들의 삶은 계속해서 피폐해진다. 일을 해도 정당한 대가를 받을 수 없고, 상상하기 어려운 종류의 폭력에도 쉽게 노출된다. 그들의 절박한 상황을 알고 이용하려는 사람들 때문이다. 경계로 한번 내몰리기 시작한 이들이 다시 원래의 자리로 돌아갈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다고 한다. 목적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방식을 고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대표적인 조직이 브로커들이다. 이들은 밀입국 알선을 빌미로 사람들을 착취하고 갖은 범죄를 저지른다. 절도와 성폭행은 만연해 있다. 앞서 국경을 지키는 이들이 밀입국자들에게는 다른 감정이 없다던 이야기가 이런 의미일 것이다.
그럼에도 국경을 넘어야 하는 이유는 슬프게도 단순하다. 지금 머물고 있는 나라에서 생존을 이어갈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국경 너머의 나라에 오래전 떨어진 가족과 아이들을 보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어떤 사람들은 이들의 행위에 대해 '불법'이라는 단어 하나로 냉정하게 선을 긋기도 하지만, 이들 역시 합법한 절차와 과정을 통해 국경을 넘는 방법이 있었다면 이렇게 목숨을 걸어야 하는 방법을 택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실제로 이런 형태를 통해 국경을 넘는 과정에서 세상을 떠나는 사람이 적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