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스타

불꽃처럼 타버린 서글픈 천재

[한국영화스타 1] 춘사 나운규

04.10.06 14:07최종업데이트04.10.17 15:15
원고료로 응원
영화의 탄생 이래로 수많은 스타들이 스크린을 화려하고 풍성하게 장식했다. 한국영화사를 돌아보면 하늘의 별만큼 많은 스타들이 한 시대, 한 세대의 문화 상징으로 지금까지도 그 빛을 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스타들은 든든한 한국영화 지킴이로, 이들이 만들어낸 화려한 불꽃은 한국영화 발전의 밑거름이었다.

 <풍운아>에 출연한 나운규
ⓒ .
이 글은 무성영화시기부터 지금까지 한국영화의 중요 스타들을 리뷰해 보는 것으로 일종의 '배우로 본 한국영화사'이다. 이 글에서 첫 번째로 다루는 스타는 무성영화 시기 최고의 스타이며 초창기 한국영화의 걸작 <아리랑>을 만들어 한국 영화의 초석을 놓은 춘사 나운규(1902.10.17~1937.8.9)이다.

지금까지 남아 있는 일제 강점기 우리 영화는 손으로 꼽을 정도로 적다. 특히 <아리랑> <임자 없는 나룻배> 등 20~30년대 제작된 중요 영화는 한 편도 남아 있지 않다. 일제 강점기의 모든 영화사가 프린트도 남기지 못할 정도로 영세했고,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중요 필름이 소실되었기 때문이다.

나운규의 영화업적에 대해 평가할 만한 실체는 아무것도 없다. 남한의 윤봉춘, 안종화 등과, 북한의 이규설, 문예봉 등 나운규와 같은 시기를 살았던 인물들의 증언, 신문과 잡지의 글, 변사들이 녹음한 영화의 줄거리가 나운규에 대해 알 수 있는 전부이다. 그래서 극작가 오영진은 나운규 탄생 60주기에 나운규를 "불꽃처럼 모든 것을 허공에 태워버리고 스러진, 서글픈 천재"로 평가했다.

3·1 만세운동과 도판부사건

나운규는 1902년 함경북도 회령에서 약종상을 하던 나형권의 6남매 중 셋째로 태어났다. 회령은 두만강을 경계로 간도와 마주하고 있는 국경도시로 간도의 우리 동포들과 인적, 물적 교류가 활발했다.

나운규는 공립보통학교시절 평생의 동지인 윤봉춘을 만났다. 이 둘의 관계는 나운규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계속되었다. 간도로 떠난 나운규는 1918년 독립군 양성소 역할을 하던 간도명동중학교에 입학했다. 그곳에는 윤봉춘도 있었다.

1919년 3·1만세운동이 일어났다. 그해 4월, 회령에서도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나운규와 윤봉춘은 간도에서 발행하던 <독립신문>을 회령에 배달하는 일을 했다. 윤봉춘은 만세운동의 학생 주모자로 일본 헌병대에 잡혀 청진형무소에서 6개월을 보냈고 나운규는 연해주로 몸을 피했다.

러시아 혁명의 기운이 가득한 연해주에서 먹을 것, 자야 할 곳이 필요했던 나운규는 러시아 백군에 용병으로 가담했다. 하지만 마적단을 토벌하는 일에 앞장서는 그곳 생활을 견디지 못하고 탈영, 북간도로 돌아왔다.

복역을 마친 윤봉춘과 연해주에서 돌아온 나운규는 북간도에서 재회했다. 둘은 광복군 비밀조직 도판부에 가입하고 특수훈련을 받기 위해 광복군이 있는 청산리 근처에 갔다. 그곳에서 "당신 똑똑한데 군대말고 공부를 해서 나라를 위해라"라는 한 나이 많은 광복군의 충고를 듣고 둘은 서울로 방향을 돌렸다.

서울 중동중학에 입학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도판부사건이 발각되었다. 나운규와 윤봉춘은 경찰에 체포되어 나운규는 만세사건 포함 1년 6월의 형을, 윤봉춘은 1년의 형을 받았다. 둘은 청진형무소에 수감되었다. 이곳에서 애국지사 이춘식을 만나 나운규는 춘사, 윤봉춘은 금원이라는 호를 얻었다.

영화입문과 <아리랑>의 성공

1923년 출소한 나운규는 고향 회령으로 돌아왔다. 그해 겨울, 함흥에서 만들어진 신극단체 <예림회>가 회령에 공연을 왔다. 연극에 매료된 나운규는 <예림회>의 문예부장 안종화에게 간청하여 연구생으로 <예림회> 무대에 섰다. 나운규는 땅딸보 몸집에 다리도 휘고, 억센 함경도 사투리까지 사용해 전혀 배우로 어울리지 않았다. 안종화에 의하면 첫 무대에선 그를 본 모두는 보잘 것 없는 연기의 둔재라며 손가락질했다고 한다.

1924년 <예림회>는 해산했다. 안종화는 부산에 설립된 영화사 <조선키네마주식회사>에서 영화를 만들고 있었다. 나운규는 안종화를 찾아가 영화계 입문을 부탁했다. 연구생으로 입사한 나운규가 처음으로 맡은 역은 <운영전>(조선키네마주식회사, 윤백남 연출, 1925년)에서 가마꾼이었다.

나운규의 외모는 전혀 배우 같지 않았다. 외모로 보았을 때 그가 맡을 수 있는 역은 악역이나 광인, 노역뿐이었다. 나운규는 노력을 할 수밖에 없었다. 윤백남이 만든 <심청전>(윤백남프로덕션, 윤백남 연출, 1925년)에서 심봉사 역을 맡은 나운규는 실제 장님을 찾아가 장님의 행동을 관찰했다.

나운규는 청춘남녀의 연애 이야기, <농중조>(조선키네마프로덕션, 이규설 연출, 1926)에서 그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농중조>는 흥행에서 성공했다. 동아일보, 조선일보의 영화평에서 평자들은 나운규의 연기를 칭찬했다. 특히 <농중조>에서 각색과 연출의 경험은 나운규가 <아리랑>을 만들기 위한 예행이었다.

<아리랑>(조선키네마프로덕션, 나운규 연출, 1926)이 만들어졌다. 나운규 원작, 감독, 주연의 이 작품은 나운규를 한국영화의 왕좌에 앉혔다. 농촌을 배경의 러브스토리가 살인사건으로 파국을 맞는 <아리랑>은 10년이 넘게 전국방방곡곡에 상영되었다. 주인공 나운규, 신일선은 무성영화시대 최고의 스타가 되었다. 이어 만들어진 <풍운아>(조선키네마프로덕션, 나운규 연출, 1926년)의 성공은 나운규의 위치를 확고히 했다.

영화 황제의 몰락

나운규는 <아리랑>과 <풍운아>를 들고 고향으로 금의환향했다. 회령서 나운규와 윤봉춘은 다시 만났다. 나운규는 평생의 지기 윤봉춘을 영화계로 이끌었다. <풍운아>이후 <야서> <금붕어> 등의 작품이 실패하자 <조선키네마프로덕션>와 나운규의 사이는 갈라졌다.

나운규는 1927년 <나운규프로덕션>을 설립한다. 하지만 나운규가 만든 작품은 <아리랑>만큼의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나운규는 인천의 기생출신 배우 유신방과의 열애에 돈을 쏟아부으면서 단원들의 신뢰를 잃었다. 윤봉춘마저도 등을 돌렸다. 1929년 <나운규프로덕션>은 해산했다. 나운규는 동경으로 떠났다.

1930년 나운규의 곁을 떠났던 동료들이 다시 모였다. <아리랑 후편>과 <철인도>를 만들었다. 서광제를 비롯한 카프진영의 비판이 쏟아졌다. 나운규는 미나도좌라는 신극단체로 옮겨가 연극을 공연했고 영화도 만들었다. 이 시기 나운규에게는 비난만 쏟아졌다.

 영화 <임자 없는 나룻배> 포스터
ⓒ .
1932년 나운규의 열연이 돋보였던 <임자 없는 나룻배>(유신키네마, 이규환 연출, 1932년)가 만들어졌다. 해방 전, 최고의 스타였던 문예봉의 데뷔작이기도 한 이 작품에서 나운규는 자신의 최고의 연기를 보여주었다. 이 작품은 갖은 고생 끝에 나룻배로 사람을 실어 나르며 사는 춘삼이 철교가 놓이면서 맞게 되는 비극을 그렸다.

나운규는 더 이상 한국영화의 전부가 아니었다. 그가 만든 영화는 계속 흥행에 실패했다. 생활은 쪼들렸고 극단을 따라다니는 처량한 신세였다. 하지만 여전히 나운규의 이름을 믿고 돈을 투자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폐병을 앓고 있던 나운규는 영화에 더욱 몰두했다. 1936년 그의 유작 <오몽녀>(조선영화주식회사, 나운규 연출, 1936년)가 제작됐다. 소설가 이태준 원작을 나운규가 각색, 연출한 이 작품은 대단한 찬사를 쏟아냈다. <아리랑>을 만든 나운규의 부활을 예고하는 듯했다.

나운규의 병은 깊어갔다. 죽음의 그림자 앞에서 영화에 대한 집념은 클 수밖에 없었다. 죽기 전까지 그는 시나리오 <황무지>를 쓰고 있었다. 1937년 8월 9일 오전 1시 25분 나운규가 눈을 감았다. 36세의 한창의 나이였다.

나운규의 장례는 최초의 영화인 장으로 치러졌다. 빗속에서 치러진 장례에서 나운규를 비판했던 카프계열의 서광제가 조사를 낭독했고, 나운규를 영화계로 인도했던 안종화가 고인에 대한 약력소개를 했다. 그리고 평생의 동지였던 윤봉춘의 조전 낭독이 있었다.

나운규는 무성영화 시기 최고의 감독이었으며, 팬들을 몰고 다니던 스타였다. 그는 현재 반쪽으로 갈린 한반도의 남과 북 모두에서 우리 영화의 초석을 놓은 개척자로서 평가받고 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연재

한상언의 <한국영화스타>

추천 연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