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중 공연 장면
BAKI
유별난 무용이 펼쳐진 장소는 여느 공연장과 사뭇 다르다. 번호표가 붙은 객석도, 몸짓에 집중할 수 있는 프로시니엄 무대도, 스토리의 배경이 되는 무대장치도 보이지 않는다. 심지어 좌석은 뒤편에 몇 개만 깔렸을 뿐 몇몇은 사이드에 앉아서 관람한다. 티켓을 배부한 곳은 좁은 엘리베이터를 타고 한쪽 구석에 마련된 접수 창구. 예약자를 확인하고 받은 팔찌는 놀이공원에서 보던 그것이다. 다시 계단을 올라 신발을 벗고, 블랙박스 스튜디오로 들어선다. 댄스플로어를 사이에 두고 디귿으로 배치된 관람 구역이 보인다. 현장에 모인 이들은 대략 50명 남짓. 빈자리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공연에 대한 호기심은 상상 이상이다.
지난 5~6일까지 대학로예술극장 스튜디오 하늘에서 진행한 < middle walking middle >(미들 워킹 미들)의 첫인상은 지금까지 봐왔던 무용에 대한 마음가짐과 다르다는 것이다. 네덜란드 Codarts 예술대학에서 무용을 공부하고 오랫동안 네덜란드와 한국에서 활동해 온 김건중 안무가는 몸에 대한 인식을 들여다보는 무용 작업을 해왔다. 특히 '안무'라는 매체를 통해 흐릿한 몸의 감각을 뚜렷하게 만든다. 공연 안에서 몸에 대한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주력했다고 자신을 소개한다.
"유년 시절에 받았던 무용교육은 춤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에 의문을 던지는 것이 아니라 부자연스러워 보이는 몸짓을 자연스럽게 만드는 훈련에 집중한 것입니다."
규율에 부합하는 연습 후 탄생한 표상에 따라갈 것을 강요받았던 그는 늘 의구심을 떨쳐내지 못했다. 이유는 '인위적인 춤'에 오류가 있어도 질문을 던지기보다 몸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극복해야 하는 상황을 받아들이지 못했기 때문이다.
춤은 부자연스러운 몸짓을 추구해야 하나. 훈련을 통해 춤을 자연스럽게 표현해야 하나.
김 안무가는 이렇게 춤을 바라보는 두 모순 사이에서 원론적인 고민에 빠졌다. 그가 추구하는 방향은 단단한 상태로 귀결되지 않고 '부자연'과 '자연'스러움을 오가며 모순을 밝혀내는 일이다. 즉 안정적으로 흘러가는 결론이 아니라 불안정하게 흔들리는 상태에 집중했는데, 그렇게 꽂힌 '중간(middle)'은 이번 공연의 중요한 마중물이 됐다. 양쪽 끝에서 정해진 해답이 아니라 다소 모호해도 스스로 정답을 찾을 수 있다고 자신하면서.
안무가의 뇌리를 스친 것은 스포츠의 한 장면이었다. 걷기와 달리기의 중간 상태인 경보. 이 스포츠는 < middle walking middle >에서 중요한 모티브가 됐다. 경보는 알다시피 달리기가 아니다. 그렇다고 걷기인가? 조금 친절하게 설명하면, "걷는 방식을 유지하면서 달리기에 다다르지 않아야 한다"라는 룰이 있다. 걷는 것도, 달리는 것도 아닌 중간 상태의 몸을 유지하는 것이 경기의 핵심이다. 규칙적인 입장에서 보면, 달리기와 걷기의 몸을 동시에 위반하는 경보는 그가 시종일관 집중해 온 '중간적 몸'이 요동치는 분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