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럭키, 아파트> 스틸 이미지
㈜인디스토리
공교롭게 <럭키, 아파트>를 연출한 강유가람 감독의 공인된 전작을 몽땅 다 보았다. 단편 극영화 연출한 적이 있다는 걸 알지만, 기회가 왔길래 가볍게 도전한 소품으로만 치부해 왔었다. 그래서 본격 장편 드라마를 작업할 예정이라는 소식에 당황스럽기까지 했다. 이미 감독의 이름 세 글자는 동시대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 작가 중에 어떤 상징이 돼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 감독이 몇 년을 쏟아부어야 할 장편 극영화에 도전하겠다니 말이다.
몇 년 지나 영화가 완성됐다는 소식이 들렸다. 2024년 5월, 전주국제영화제에서 마침내 감독의 첫 장편 극영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가 꾸준히 천착해온 여성 인권 문제와 함께 감독의 초기작에서 다뤘던 부동산 계급사회 의제가 결합해 있었다. 장르는 변해도 고민과 문제의식은 그대로구나 하고 안도의 쓴웃음을 짓고 말았다. 감독에게 늘 느끼던 인상처럼 우직하고 성실하면서도 꼼꼼한 작업 방식은 변하지 않았다. 그리고 작품이 다루고자 하는 범위는 한층 더 넓어졌다. 왜 극영화를 선택했는지 약간 알 것 같았다. 그 영화가 개봉해 관객과 한창 만나는 중이다.
'럭키비키'를 꿈꾸던 커플, 아파트라는 감옥에 갇히다
'선우'와 '희서'는 가진 돈 탈탈 털고, 희서의 가족에게서 지원받은 돈으로 두 명이 함께 살기엔 아쉬울 것 없는 '복도형' 아파트 단지에 입주한다. 이제 행복한 삶만 누리면 될 것 같았다. 하지만 선우는 직장에서 원하지 않는 해고를 당한 데다, 무작정 놀 수 없어 시작한 배달 아르바이트 중 사고를 당해 한쪽 다리에는 깁스까지 한 상태다. 불편한 몸으로도 배달 일을 멈추지 않지만, 성한 몸으로도 고된 일을 제대로 감당하기엔 역부족이다.
한편 희서는 제약회사 영업직으로 능력을 인정받지만, 그만큼 업무강도도 쉴 틈 없이 몰아친다. 파트너 선우에겐 집에서 쉬면서 얼른 나으라고 권하긴 해도 아파트를 얻기 위해 짊어진 대출이자 감당하기도 만만하지 않다. 아무리 사이좋은 연인이라도 현실의 돈 문제가 발생하니 긴장이 수면 아래에서 올라오는 건 시간문제다.
희서는 회사 일에 치여 정신이 없는데 원치 않게 전업주부 역할이 된 선우는 경제적 격차로 인한 자격지심은 물론, 새로 이사한 아파트에 감도는 원인 모를 악취가 신경이 쓰인다. 피곤한 몸 안고 늦게 퇴근해 쓰러지기 바쁜 희서와 달리 종일 집에 머무는 선우는 냄새 문제에 예민할 수밖에 없다. 그는 악취의 원인을 확인하려 동분서주한다. 관리사무소가 미온적으로 대처하자 참다못한 선우는 여기저기 들쑤시며 조속한 해결을 촉구한다. 그 과정에서 아파트 동대표를 비롯한 주민들과 갈등을 빚기 시작한다.
희서는 선우의 행동 때문에 이전에 살던 빌라에서처럼 눈총을 받는 게 못마땅하다. 동대표를 비롯한 이웃들 시선이 적대적으로 변하면 삶이 피곤하다. 기껏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해서 오붓한 내 집 마련 성공했는데 말이다. 선우가 악취 원인을 확인하려는 노력은 뜻밖의 결과를 초래한다. 일은 점점 커지고 선우는 한 번 꽂힌 일에 포기하지 않고 끝장 볼 기세다.
주민들과 갈등은 물리적 접촉에서 그치지 않는다. 동 주민들은 '단톡방'으로 연결돼 있다. 선우의 진상규명 노력이 이어지면서 반감은 노골적으로 드러난다. 선우의 행위가 결과적으로 틀린 행동이 아닌데도, 부동산 시세나 긁어 부스럼을 만들 것처럼 취급받으면서 이제 커플은 이웃과 적대는 물론, 징조가 보이기 시작했던 둘 사이의 골 역시 깊어만 간다.
강유가람 감독 작품 연대기 함축된 신작의 얼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