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는 그의 죽음을 모티프로 한 영화가 나올 줄 알았다. 10.26 사태 당시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의 수행 비서로서 대통령 시해의 공범이라는 죄목으로 사형당한 박흥주 대령 말이다. 12.12 군사 반란 당시 신군부에 맞서 직속상관인 정병주 특전사령관을 지키려다 순직한 김오랑 중령의 사례와 데칼코마니처럼 포개진다. 지난 14일, 영화 <행복의 나라>가 개봉했다.
기실 그를 알게 된 건 꽤 오래전이다. 20년 가까이 5.18민주화운동을 중심으로 한 현대사 강의와 사적지 답사 인솔을 해오다 보니, 유신정권과 신군부 집권 기간의 세세한 역사까지 자연스럽게 공부하게 됐다. 특히 일각에서 박정희 대통령 시해의 주범인 김재규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박흥주라는 이름도 동시에 오르내렸다.
그즈음 사형 집행 전 어린 자녀들에게 남긴 유언의 내용을 접하게 됐고, 그에게서 명예를 소중히 여기는 참군인이자 당당하고 자상한 아버지의 면모를 봤다. 죽음 앞에서도 그는 자녀들에게 아빠는 부끄러움이 없는 사람이라며 온갖 역경을 이겨내고 독립적인 인간이 될 것을 주문했다. 군인으로서의 모습과 아버지로서의 그것이 한 치의 어긋남도 없게 느껴졌다.
특히 그의 유언이 교사인 내게 교육자적 소명을 일깨우는 죽비와도 같은 일갈도 담겨 있어 나도 모르게 옷깃을 여몄다. 당시 자신의 선택에 일말의 후회도 없다는 뜻일 테지만, 살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건 선택이며, 자신의 판단에 따라 선택했다면 그 선택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적었다. 이는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지녀야 할 덕목이자 우리 교육의 고갱이다.
과문한 탓인지, 박흥주 대령의 삶을 소재로 한 영화는 처음인 듯싶다. 주인공은커녕 조연으로도 등장한 경우조차 없었던 것으로 안다. 김재규라는 이름조차 함부로 꺼낼 수 없었던 지난 수십 년 동안 그의 이름은 차라리 드러나지 않는 게 나았을지도 모른다. 엄혹한 군사독재정권 시절 숨죽여 산 가족들처럼 그의 이름 역시 시나브로 잊히고 지워졌다.
자막이 올라간 뒤 관람객들은 이구동성 이렇게 말했다. 이 영화는 <서울의 봄>에 이어진 후속작인 것만 같다고. 감독과 출연 배우만 다를 뿐, 내용도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작품에 담긴 문제의식도 일맥상통하다는 거다. 나날이 사회가 뒷걸음질 치고, 가치관이 물구나무선 행태가 반복되는 현실에서 시의적절한 영화라고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
전작 <서울의 봄>을 통해 하나회 소속 정치군인들의 타락상과 대조되어 충직한 참군인의 모습을 보여준 이들을 우리는 알게 됐다. 비록 엑스트라나 카메오에 불과한 조연 중의 조연이었지만, 영화에서 보여준 순간의 강렬함은 주연 못지않았다. 김오랑 중령과 국방부 초병으로 근무하다 신군부의 총에 맞아 산화한 정선엽 병장 등은 그렇게 대중의 기억 속에 각인됐다.
영화가 끝난 뒤 가장 생각나는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