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다 조회수 1,000만 회를 기록한 '홍박사 챌린지'

최다 조회수 1,000만 회를 기록한 '홍박사 챌린지' ⓒ Youtube

 
"그쪽도 홍박사님을 아세요? 홍홍홍"

SNS 세상을 점령한 고학력자가 나타났다. 그의 이름은 홍 박사, 최근 틱톡과 유튜브 쇼츠에서 유행 중인 '홍박사 챌린지'의 주인공이다.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안무 덕에 일반인부터 스포츠 스타, 연예인까지 동참하고 있다. 특히 초등학생, 중학생들이 즐기는 '랜덤 플레이 댄스(K-POP 음악을 무작위로 틀어주면 이에 맞춰 커버 댄스를 추는 것)'에 수록될 만큼 10대 청소년 사이에서 열풍이다.

챌린지는 간단하다. "그쪽도 홍박사님을 아세요?"라고 묻고 뒤이어 나오는 웃음소리 '홍'에 맞춰 몸을 앞뒤로 흔들면 된다. 대뜸 홍 박사를 아느냐고 묻는 챌린지 탓에 그 정체를 궁금해하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홍 박사가 부캐 '조주봉'이 들려준 '49금 에피소드'의 등장인물이란 걸 안다면, 초등학교에서 울려 퍼지는 '홍홍홍'이 더는 유쾌하지 않다.

'49금'을 넘나드는 춘담의 대가, 조주봉
 
 뮤직비디오 <홍박사님을 아세요?> 화면갈무리

뮤직비디오 <홍박사님을 아세요?> 화면갈무리 ⓒ the_myeonsang

 
'홍박사 챌린지'는 유튜브 채널 'The 면상'에서 개그맨 조훈의 부캐 '조주봉'이 발매한 노래 <홍박사님을 아세요?>에서 비롯한다. 조주봉의 캐릭터 설정은 '49금 춘담으로 전국팔도 여인들을 울리고 웃긴 꽃중년'이지만, 그의 언행은 음담패설에 가깝다.

채널 영상 속 그는 식당에서 지인을 향한 성적 비유를 하다가 옆 테이블 손님에게 항의받고, 택시에 탄 손님에게 억지로 '49금 에피소드'를 들려주다가 싸우기도 하는 문제적 캐릭터다.

챌린지에 사용된 노래 <홍박사님을 아세요?> 또한 조주봉이 들려주는 '49금 에피소드'다. 해당 노래는 "옛날에 한 처녀가 살았는데 가슴이 작은 게 콤플렉스였어요"라는 가사로 운을 뗀다.

전반적인 내용은 가슴이 작은 게 콤플렉스였던 여성이 이 분야로 유명한 홍박사를 찾아가, 가슴이 커지는 운동을 배웠다는 것. 그러다 조주봉이 버스 정류장에서 홍 박사표 가슴 운동을 하는 여성을 만나게 되고, "그쪽도 홍박사님을 아세요?"라고 하며 끝맺는다.

외설적인 이야기를 담았지만, 노래 <홍박사님을 아세요?>의 뮤직비디오는 유튜브에서 300만 조회수를 돌파하였고 '홍박사 챌린지'는 최다 조회수 천 만을 기록할 만큼 화제다.

특히 '홍박사 챌린지'는 노래 속 '49금 에피소드'의 등장인물을 직접 연기하거나 하이라이트 구절인 "그쪽도 홍박사님을 아세요?"만 따라하며 춤추는 등 다양한 커버 형식으로 눈길을 끈다. 문제는 초등학생, 중학생처럼 콘텐츠 자정 능력을 키워가는 청소년들 사이에서 '홍박사 따라하기'가 유행한다는 점.

<홍박사님을 아세요?>는 여성의 신체 콤플렉스와 얽힌 '49금 에피소드'에 관한 노래지만, 중독성 있는 멜로디 탓에 어린 아이들도 쉽게 따라 부르고 있다. 또한 '49금 에피소드'의 등장인물을 따라 하는 챌린지 특성상, 아이들이 '가슴 콤플렉스가 있는 여성'처럼 흉내 내거나 음담패설을 들려주는 조주봉의 화법을 구사하는 챌린지 영상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홍박사 챌린지'에 대한 시청자의 의견은 분분하다. "중독성 있는 노래여서 계속 듣게 된다", "익살스러운 표정 연기가 압권이다" 등 긍정적인 의견이 다수지만, "해당 노래가 초등학생 사이에서 유행인 건 우려스럽다", "조주봉이란 캐릭터가 유행해도 되는지 싶다' 등 걱정 어린 시선도 존재한다. SNS의 지대한 파급력과 사용 연령이 넓어진 만큼 챌린지에 대한 비판적 태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뮤직비디오 <Square Eyes> 화면갈무리

뮤직비디오 화면갈무리 ⓒ ralral

 
최근 유튜브 랄랄이 유행시킨 '눈네모 챌린지'는 최다 조회수 700만을 기록하며 2023년의 SNS를 휩쓸었다. 센 언니 스타일로 꾸민 채 "눈을 왜 그렇게 떠?"라고 묻는 이 챌린지는 2015년 때 방송 녹화본의 유출로 여성 출연진 간 다툼이 드러난 사건을 모티브로 삼았다.

해당 사건은 출연진을 향한 불매 운동과 연예계 퇴출로 이어졌고 이후 '여성의 적은 여성'이란 부정적 프레임을 대표하는 밈(meme)으로 소비되면서 챌린지의 소재를 둘러싼 논쟁이 번졌다(관련기사 : "언니, 저 마음에 안 들죠?" 챌린지, 이거 혹시 아셨나요?).
 
웃고 넘어갈 수 없는 챌린지의 영향력

SNS의 발달로 무엇이든 쉽게 유행이 되고 퍼지는 요즘, 그 영향력의 중심엔 청소년이 있다. 퓨 리서치 센터의 연구에 따르면 13~17세 미국 청소년 중 67%가 틱톡(TikTok)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 틱톡에서는 일부러 얼굴을 꼬집어 흉터를 만드는 '프렌치 흉터 챌린지', 환각을 유발하는 항히스타민제를 과다 복용하는 '베나드릴(Benadryl) 챌린지'가 유행했다. 지난 3월 미 의회 청문회에는 틱톡의 위험성을 주제로 '틱톡이 젊은 사용자에게 정서적 고통을 가했다' 여부를 놓고 논쟁이 오가기도 했다. 

재밌다는 이유로 웃고 넘어가기엔 틱톡과 SNS의 영향력이 심상치 않다. 그러나 챌린지에 숨겨진 비하인드를 알고 즐기는 이는 드물다. 이젠 당신의 챌린지에 출처를 확인할 시간이다.
홍박사챌린지 유튜브 틱톡 챌린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