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2 <개는 훌륭하다>의 한 장면.
KBS2
이경규와 게스트 문희경이 먼저 의뢰인을 방문했다. 비숑들은 두 사람이 들어서자마자 외부인을 경계하며 입질과 위협을 거듭했다. 다견들이 끊임없이 짖어대는 엄청난 소음에 인터뷰 진행이 어려울 정도로 산만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가장 시급한 문제는 역시 봄이였다. 보호자 부부는 봄이가 왕따를 당하고 있으며 잠시만 사람 곁에서 떨어지면 다른 개들로부터 집단 공격을 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보호자가 없는 틈에 생명이 위협받을 정도로 심각한 공격을 당하여 피를 흘렸던 사건도 있었다. 인터뷰 중에도 봄이는 보호자의 곁을 떠나지 않기 위하여 계속 주변을 맴돌고 있었다.
아내 보호자는 반려견을 켄넬에 분리하고 싶어했지만 숫자가 늘어나면서 훈련을 포기하고 통제가 불가능해지면서 어쩔 수 없이 한공간에서 함께 생활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마냥 행복하다는 남편과 달리, 아내는 "아이들을 위하여 어떤 게 더 나은 생활방식인지 찾고 싶다"는 바람을 드러냈다.
지켜보던 강형욱은 돌아온 이경규와 문희경에게 "사람에게 달라붙는 봄이의 행동은 애교가 아니라 도움을 요청하는 '헬프미'의 의미"라고 분석했다. "다견 집단에서 하지말아야 할 행동이 편애다. 한 마리만 예뻐하다가 내려놓는 순간 다른 개들로부터 집단폭행을 당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강형욱은 해당 다견가정의 상황에 대하여 "굉장히 잘못된 곳이다. 반려견들이 평화롭고 행복한 게 아니라 조급해 보인다"라며 문제의 심각성을 드러냈다.
강형욱이 솔루션을 위하여 보호자의 집을 찾았다. 미처 안으로 들어서서기도 전에 강형욱은 입구를 가로막은 다수의 비숑 떼에 진로가 막혔다. 결국 보호자들로 하여금 반려견들에게 일일이 목줄을 차게하고 입질이 유독 심한 몇몇 개들을 통제하게 하면서 상황을 정리해야 했다. 강형욱은 "여기서는 누구든 집단 공격대상이 될 수 있다. 개들간 서열이 어설프게 잡혀서 1인자가 내려가면 2인자가 대장 노릇을 하려한다"고 상황을 분석했다.
강형욱은 먼저 보호자들이 반려견들에게 집안의 질서와 서열을 분명히 각인시킬 것을 주문했다. 솔루션 진행 중에 반려견 중 하나인 사랑이가 다른 개들에게 집단으로 공격 당하는 돌발상황이 발생했다. 강형욱이 강하게 다른 개들을 제지했지만 당황한 보호자들은 어찌할 바를 몰라 그저 멀뚱멀뚱 지켜보기만 했다.
강형욱은 "이게 현실이다. 사랑이가 왜 짖는 줄 아시나? 내가 왕따가 될까봐 짖은 거다. 그래서 앞장서서 집단공격을 주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남편 보호자는 "사랑이가 어렸을 때 집단 공격을 많이 받았었다. 크니까 반대가 됐다"면서 알고보니 사랑이가 '가해견이 된 피해견'이었음을 고백했다.
강형욱은 "왜냐면 그걸 안 하면 내가 왕따가 되니까"라고 설명했다. 유리한 집단에 편승하여 약한 집단을 괴롭히기, 내가 앞장서서 괴롭히지 않으면 내가 그 괴롭힘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는 두려움은, 어쩐지 인간 사회의 학교폭력이나 조직 사회의 집단 따돌림과도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이다.
또한 강형욱은 "어떤 개든 누구 한 마리를 잡고 있으면 똑같이 공격할 것"이라고 설명하며 현재 가장 피해자인 봄이 역시 "장담하는데 교정되는 과정에서 봄이도 가해견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봄이를 괴롭히던 다른 개들이 목줄을 차고 통제를 받는 상황을 지켜보며, 봄이는 좀 전의 주눅들어 있는 모습과는 전혀 달라진 활기 넘치는 모습으로 바뀌어있었다. "이제 내 시기가 왔으니까. 내 서열이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해서 그런 것"이라는 게 강형욱의 설명이었다.
그리고 남편 보호자에게 강형욱은 이날의 가장 중요하면서도 핵심적인 이야기를 꺼냈다. "이곳은 절대로 행복한 집이 아니다. 마치 정부가 없는 나라와 같다. 누구나 가해견이 될 수 있다"고 직설을 날리며 보호자의 안이한 착각을 꼬집었다.
상황이 진정된 후 머쓱해하는 보호자들에게 강형욱은 재차 "뭐가 잘못되어도 한참 잘못되어 있다. 누가 누구를 공격한 게 아니라. 내가 가장 약한 개가 되지 않기 위해서 더 약한 개를 만드는 구조"라고 안타까워하며 "그래서 이기적인 집단이 된 거다. 같이 따라서 짖지 않으면 내가 괴롭힘을 당하니까"라고 설명했다.
이어 강형욱은 "실례되고 미안한 이야기지만, 이 상황의 가장 실질적인 가해자는 바로 보호자들"이라고 돌직구를 날렸다. 처음 반려견들을 데려온 것은 선의였을지 모르지만, 본인들도 모르는 사이에 개들의 집단 갈등과 폭행을 방치하고 방관하면서 거대한 지옥도를 연출한 꼴이 되고 말았다. 보호자들은 강형욱의 따끔한 지적에 순순히 잘못을 인정했다.
솔루션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개들은 잠시 통제를 받고는 있지만, 여전히 언제든 다시 폭발할지 모르는 시한폭탄같은 상태였다. 강형욱은 "지금 개들의 반응은 '지금 우리가 왜 이런 대우를 받아야 하나'고 으르렁거리며 시동을 걸고 있는 것이다. 몇마리가 주동을 하면 다른 개들도 가담할 것이다. 매일 이렇게 살 수는 없지 않냐"며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