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멘터리 영화 <문재인입니다>를 연출한 이창재 감독.
엠프로젝트
"잊히고 싶다"고 했던 문재인 전 대통령의 바람은 어쩌면 가장 이루기 힘든 소원이었는지도 모른다. 전임 대통령이자 정치인으로서 역사에 남아야 하는 운명임을 누구보다 본인이 잘 알았겠지만 동시에 자연인으로 이후를 살고 싶은 간절한 바람을 누군가는 들어주길 원했을 것이다. 10일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 <문재인입니다>를 두고 나오고 있는 여러 말들 또한 그 충돌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어 보인다.
다만 이 영화로 특기할 점은 정치인 문재인의 공과를 논하기보다는 퇴임 직후 약 두 달 시간에 집중했다는 것이다. 2017년 <노무현입니다> 이후 6년 만에 관객과 만나는 이창재 감독은 공교롭게 두 명의 전임 대통령의 삶을 담아낸 최초의 감독으로 남게 됐다. 그만큼 부담도 컸을 터. 9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감독을 만났다. 전주국제영화제 공개 전후로 더욱 극명하게 갈리고 있는 해당 작품을 두고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오랜 기획, 대통령의 진심
탄핵정국을 거치고 등장한 문재인 정부는 70% 이상의 지지율을 받으며 장밋빛 미래를 예고한 것처럼 보였다. 이창재 감독 또한 그 무렵 문재인 다큐를 떠올렸고, 주제 또한 명료했다. "K 드라마, K 영화 등 온갖 K 시리즈 용어들이 나오기 시작하던 때인데 문재인 당선 또한 제대로 된 한국의 정치사회 제도를 상징하는 것 아닐까 싶었다"며 그는 "이명박, 박근혜 때는 헬조선이라는 말이 유행이었던 것과 대조적이었다. 서구 사회에서 마치 자신들의 제도가 선진적이라 생각하는 의식에 나름 자극을 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뜻대로 되진 않았다. 청와대 홍보수석실을 통해 몇 번의 기획서를 냈지만, 묵묵부답이었고 네 차례의 수정을 거쳤다. 문재인 대통령이 주인공이 된 버전, 그 주변 참모와 국민의 관점으로 바라본 한국 등 몇 가지 제안을 하는 사이 6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BBC에선 8년간 백악관에 상주하다시피 해서 오바마 다큐를 만들었는데, 대통령께선 청와대를 사적 용도로 촬영하는 게 맞냐는 입장이라고 전해들었다"며 이창재 감독은 기획 초기를 회상했다.
"<대통령과 나>라는 제목이었던 때도 있었다. 내심 청와대에서 이 다큐를 방어해주길 원했는데 안 된 거지. 이 영화를 투자한 전주국제영화제에서도 기한 내에 만들어졌으면 했다. 작업 자체가 길어지는 건 사실 괜찮은데 진행이 될 것 같다가도 안 되는 게 반복되는 상황이 힘들었다. 제 경력 통틀어 가장 한숨을 많이 쉰 작업이 아닌가 싶다."
그 사이 대통령 퇴임이 다가왔고, 정권은 바뀌었다. 자연인이 되고 싶어 고향인 경남 양산 평산마을로 내려갔지만, 반대 집단이 사저 주변을 둘러싸고 혐오 시위를 벌였다. 비서팀을 통해 수차례 편지를 보내곤 했던 이창재 감독은 어느 날 "한번 보시죠"라는 문 전 대통령의 회신에 양산으로 향했다고 한다.
"(영화 촬영이) 좋다 나쁘다 이야기도 안 하시고, 하자 하지 말자의 이야기도 안 하셨다. '아 그렇군요'라며 계속 들으시기에 승낙의 뜻인지도 몰랐다. 한 달 뒤 촬영팀과 가도 되겠습니까 물었는데 '와 보시죠'라는 답변을 비서팀에게 전달받았다. 고향에 왔지만 갇힌 느낌이 든다고 하시더라. 주변 상황도 시선도 그랬다. 그런 분을 자연인으로만 다룬다는 건 맥락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무거운 짐을 이제 막 벗어 던진 현재와 1년 전 모습의 간극을 담게됐다.
두 차례에 걸쳐 문재인 전 대통령을 약 10시간 이상 인터뷰했다. 가장 깊게, 장시간 인터뷰한 것 같다고 당신께서 말씀하시더라. 다행인 건 제 질문의 방향이나 한도를 규정하기 않고, 답변을 피하시지도 않았다. 핵폭탄급 논란에 대해서도 다 말씀하셨지만, 영화의 목적과 맞지 않아서 편집했다. 돌려서 이야기 안 하시는 분이었다. 다만 이 영화는 정치를 모르는 분들이 보더라고 편히 볼 수 있었으면 했다. 논란 자체를 가리는 게 아니라 그런 사안이 생겼을 때 그가 어떤 태도를 취했는지를 다루려고 했다."
일각에서 소위 '문파'로 통칭되는 문재인 강성 지지층에서 불거진 비판, 즉 문재인의 업적이나 참모진 관련 더욱 분명한 메시지가 담겼어야 한다며 불매운동을 벌이는 것과 관련, 감독 입장에서도 할 말은 있었다. 조국 전 장관, 김경수 전 지사에 대해 속시원한 답변을 기대했던 이들에게 아쉬울 수 있다는 의견을 존중한다면서 감독은 "정치가 아닌 한 사람의 태도를 담는 영화기에 (그런 부분은) 다루지 않았다"고 분명하게 말했다.
"제가 이 말 하는 걸 대통령님은 싫어하실 수도 있겠지만 조국 장관 이야기만 5분 이상 하셨다. 정치권에 들어가며 유일하게 후회하는 게 당신이 좋아하는 사람들이 상처받는 거였다고 하셨다. 그 말씀 후 많이 침울해하셨다. 제가 그걸 밝히면 또 다른 논란이 될 것 같아 다 말할 순 없지만 김경수 지사, 정경심 교수에 대한 말씀도 하셨고 정치에 참여한 걸 후회한다고도 하셨다. 법리적인 걸 떠나서 한 사람으로 미안하고 가슴 아프다는 이야기를 몇 번이나 하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