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헤어질 결심>
CJ ENM
* 이 기사에는 강력한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제 75회 칸 영화제 감독상 수상을 떠나 박찬욱 감독이 <헤어질 결심>을 통해 이룬 성과는 다층적이다. 형사와 아름다운 피의자가 사랑에 빠진다는 고전적인 설정의 필름누아르로 시작했지만, 남성을 파멸시키는 전형적인 팜므파탈 캐릭터를 벗어난 주체적으로 우뚝 선 서래(탕웨이)의 모던하고 독보적인 개성. 디지털 시대로의 변화를 에둘러 피하지 않고 당당히 내러티브에 편입시킨 과감함으로 동시대성을 갖춘 21세기 클래식의 영역을 두드린다.
무엇보다 인상적인 건 본인의 작품에 항상 녹여냈다고 주장하지만(!), 순순히 인정하긴 어려웠던 멜로 감성을 전면에 드러냄과 동시에 '안개'라는 한 가지의 테마로 자연스레 관객의 심상에 스며들게 해 잊힐 수 없는 순간을 만들어내는 뚝심이다. 세계적인 감독의 재능과 열정, 노력이 138분 동안 짙게 밴 <헤어질 결심>은 보기 드문 감성의 독창적인 멜로 영화로 한국영화사에 기록되기에 충분하다.
<헤어질 결심>은 형사인 해준(박해일)이 근무하는 부산과 원전이 있는 가상의 도시 이포가 배경이다. 알려져있다시피 영화는 가수 정훈희의 노래 '안개'에서 출발했다. 손으로 잡을 수 없지만 뚜렷하게 존재감을 드러내는 '안개'의 정서는 김승옥 작가의 단편소설 <무진기행>에서 흘러나왔다는 심증이 강하다. '공교롭게' 정훈희의 곡은 <무진기행>을 원작으로 한 김수용 감독의 영화 <안개>의 주제곡이다.
김승옥이 그린 안개는 '마치 이승에 한이 있어서 매일 밤 찾아오는 여귀가 뿜어내놓은 입김'과 같아서 '해가 떠오르고, 바람이 바다 쪽에서 방향을 바꾸어 불어오기 전에는 사람들의 힘으로써는 그것을 헤쳐 버릴 수가 없는' 불가항력적 존재다. 그러나 안개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면 낮과 밤의 기온 차에 의한 응결 현상이다. 이렇게 말할 수도 있겠다. 다만 밤은 제때 사라지지 못했고 낮은 너무 일찍 찾아왔다고. 제때 만나거나 헤어지지 못한 잘못된 만남이 안개다.
어긋난 타이밍에서 생성되는 안개의 속성이 <헤어질 결심>의 공간적, 정서적 배경이라면 통역 앱, 음성녹음 같은 디지털 요소는 <헤어질 결심>의 세계가 작동하는 원리다. 한국어가 서툰 서래는 쏟아낼 말이 있으면 통역 앱을 쓴다. 통역앱을 거친 말은 감정없는 기계음으로 해준에게 전달된다. 음성으로 녹음한 두 사람의 목소리는 파일 추출-번역-출력을 거쳐야만 전해진다. 메시지와 메신저, 텍스트와 감정의 분리는 두 사람 사이의 끊임없이 어긋나는 커뮤니케이션을 이미지화한다. 동시에 중국어를 알아듣지 못하는 해준의 답답함에 관객들이 자연스레 이입하게 만든다.
해준, 똑바로 보려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