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얼 차별은 한국사 속의 중대 병폐 중 하나다. 어머니가 양인(자유인) 출신 첩이라는 이유로 서자들이 받은 차별, 어머니가 노비 출신 첩이라는 이유로 얼자들이 받은 차별은 한국 역사가 잉태한 주요 모순이다.
사실, 서자 차별과 얼자 차별을 통칭하는 서얼 차별은 정도 차이만 있을 뿐 어느 시대나 다 존재했다. 어떤 시대건 정실부인이 낳은 적자가 대우를 받았다. 적자보다 서자가 차별을 받고 서자보다 얼자가 차별을 받는 일은 각 시대마다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런데 조선시대에는 그 차별이 유독 심각했다. 서얼금고법이 있어 서얼의 혼인과 관직 진출에 제약을 가했다. 서얼의 과거 응시와 승진에 제약을 주고, 서얼이 적자와 혼인하지 못하도록 했다.
'서얼을 금고한다'에서 금고(禁錮)는 오늘날의 형벌인 금고형과 한자가 같다. 징역형과 달리 노역 없이 자유를 제약하는 금고형처럼, 서얼금고 역시 서얼들의 자유를 크게 제약했다. 이 제도에 대한 비판이 끊임없이 제기된 것은 너무도 당연했다.
서얼 차별이 조선시대에 유난히 심했다는 점은 고려시대와의 비교를 통해서도 명확해진다. 고려시대에도 서얼이 적자보다 못한 대우를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조선시대만큼은 아니었다.
이 점은 KBS <태종 이방원>에 등장하는 정도전(이광기 분), 하륜(남성진 분), 조영규(김건 분) 등이 서얼의 피를 물려받은 사실에서도 느낄 수 있다. 고려 말의 정치적 격동을 주도했던 이들은 어머니 쪽으로 서얼의 피를 받았지만, 그것이 이들의 정치적 활동에 별다른 제약을 주지는 않았다.
조선 건국 뒤 심해진 서얼 차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