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건국의 역사는 이성계와 정도전으로부터 쓰여지지만, 이 역사는 얼마 안 가 이방원의 역사로 대체된다. 이방원은 건국 6년 만인 1398년 '왕자의 난'을 일으켜 조선을 자기의 나라로 만들었다.
그래서 이성계·정도전이 등장하는 사극을 시청하다 보면, 조선 건국 직후부터 이성계·정도전과 이방원이 갈라져 대립하는 장면을 지켜보게 된다. 23일 종영한 JTBC <나의 나라>에서도 마찬가지다.
이 드라마는 이성계(김영철 분)과 이방원(장혁 분)이 부자지간인데도 거칠게 투쟁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최근 방영분에서는 이방원이 쿠데타를 일으켜 이성계를 '식물 임금'으로 만들어버리자, 이성계가 넷째아들 이방간(이현균 분)을 움직여 다섯째아들 이방원을 견제하는 장면이 나왔다.
역사책에서든 사극에서든 이 장면을 볼 때마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불편해 한다. 아버지와 아들 간에 권력투쟁이 벌어지기 때문만은 아니다. 그런 면도 없지 않지만, 이 장면이 나올 때마다 개혁가 정도전의 꿈이 무너지는 모습을 지켜봐야 하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서는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다.
조선의 실질적 건국자인 정도전
고려시대에 비해 조선시대에 노비 지위가 개선된 사실에서 상징적으로 드러나듯이, 조선의 실질적 건국자인 정도전은 당시 관념으로 볼 때 상당히 진보적인 인물이었다. 어머니 쪽으로 노비의 피를 물려받은 그는 백성의 절반 혹은 그 이상이었던 노비들의 지위 개선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권문세족이라 불린 고려 후기 지배층을 약화시키고자, 토지 전문가인 조준을 앞세워 과전법이라는 토지개혁도 단행했다. 또 귀족들의 힘을 빼고 그들을 국가 공권력 하에 두고자 사병 혁파도 실시했다. 요즘으로 치면, 구사대 비슷했던 사병 부대를 없애려 했던 것이다.
거기다가 고구려의 땅인 요동(만주)의 수복도 시도했다. 몽골이 기울었지만 아직 완전히 약해지지 않았고, 명나라가 떠올랐지만 아직 완전히 강해지지 않은 동북아 패권의 공백기를 타, 한민족의 가슴에 내재된 열망에 불을 지피고자 했다.
하지만, 이런 노력들은 이방원에 의해 무참히 짓밟혔다. 물론 이방원이 정도전의 개혁을 전부 다 부정한 것은 아니다. 노비 지위 개선이라든가 사병 혁파 같은 것은 정도전 사후에도 추진됐다. 그렇지만, 정도전의 개혁이 이방원에 의해 상당부분 무산된 것은 사실이다.
이방원의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