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장수1돈의 광대인 약장수. 그 웃음에는 슬픔이 묻어있다.
㈜26컴퍼니
"'어벤져스 2'의 서울시 지원금이 과연 합당했는가?"에 대한 논의가 분분한 가운데, 여기에 밀려 변변하게 상영관조차 잡지 못한 채 사라져간 영화가 있다는 소식을 한 시사 교양 프로그램을 통해 전해 들었다. 역시 마음 먹고 인터넷을 뒤지지 않으면, 상영관을 찾기 힘든 영화였다. 바로 <약장수>.
처음 10여분의 스크린은 짐작한 대로였다. 평범하고 일상적인 삶의 모습이 여과없이 투영되면서, '어벤져스'와 같은 영화 문법에 길들어진 관객들에게는 오히려 낯선 영화처럼 느껴진다. 우려했던 '싼 티'가 묻어있다. 매일 보는 삶의 구석구석이 여과 없이 노출되기 때문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그만두더라도, 최소한의 미술조차 닿지 않은 듯한 '게으름'이 영화에 녹아있다. 도대체 영화 속에 환상이 없다. 그런데 그동안 나를 길들여온 요란하고 익숙한 영화 문법 대신, 배우들의 열연에서 비롯되는 실질적인 삶의 모습이 전개되면서부터, 억지스런 환상이 아니라 자연스런 몰입이 시작된다.
이제 영화 소개에 앞서 다른 질문을 먼저 던져 보기로 하자.
"영화로 무엇을 하니?"
"유리벽 같은 스크린을 떠돌다, 배우에 주사한 환각이 온 몸을 감싸면, 유리벽이 깨지고 비로소 환상이 실제로 다가오게 됩니다. 그리고 돈을 벌어요."
영화의 현실적인 효용이다. 여기에 아주 간단한 논리학 명제를 대입해 보자.
"영화를 만들어 돈을 번다."
p→q의 대우명제는 늘 더 치열한 현실 인식을 돕는데 사용된다.
∼q→∼p에 대입해 보자.
"돈을 벌지 못한다면, 영화가 아니다."
이제 영화 '약장수'를 통해 이 명제의 타당성을 검토해 보자.
돈의 광대를 연상케하는 '약장수'.
영화에는 대리운전, 일용직 등 소위 '일상적 인물들'이 등장한다. 너무 일상적이기에 나를 깨우게 된다. 주인공(김인권 분)은 신용불량자다. 아픈 아이를 위해, 어렵게 번 돈을 지키기 위해, 비오는 저녁, 대리운전을 마치고 새벽 지하철이 올 때까지 노숙을 한다. 새벽녘에 들어가 아이를 껴안는 아빠의 모습부터 나는 영화에 집중을 하게 되었다.
그 아이의 아픔은, 자신의 유전자로 내려준 상처지만, 가난한 부모는 도무지 이를 해결한 능력이 없다. 그리고 가난한 아이는 늘 짜장면을 좋아한다. 그리고 아내는 "우리 세 식구 그만 죽어버릴까?"라는 극단적인 말을 아주 편안하게 내뱉는다.
아빠는 어머니들에게 각종 건강식품과 생활용품을 파는 홍보관 '떴다방'에 취직한다. '떳다방'에 취직하고 처음부터 뻔뻔한 사람은 없다. 자기 최면이 필요하다. 영화의 전반부는 이러한 최면의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점장 철중(박철민 분)은 직업정신이 투철하다. 철저히 헌신하고, 철저히 받아낸다. 사람이 악하지 않고, 돈이 사람을 만드는 현실을 잘 보여준다. 밉지 않고 무섭다. 그가 돈이기 때문이다. 영화를 잘 보다보면, 고려시대의 가전체 문학 공방전의 주인공이 재현되는 느낌을 한 배우를 통해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