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V 무비꼴라쥬가 투자 배급에 나섰던 영화들
CGV
최근 개봉한 영화 <도희야> <한공주> <우아한 거짓말>에는 공통점이 있다. 중·저예산으로 제작된 독립영화치고는 꽤 많은 스크린을 확보했다는 점이다. <도희야>는 개봉 첫날 300개의 스크린을 확보했고, 한공주 역시 259개로 출발했다. <우아한 거짓말>은 485개로 시작해 최대 573개의 스크린을 차지했다.
흥행 성적은 <도희야>를 제외하고는 두 작품 모두 양호했다. <한공주>는 손익분기점 10만을 넘어 22만 관객을 기록했고, <우아한 거짓말>은 31억 원을 투자해 개봉 10일 만에 손익분기점을 돌파했다. <도희야>는 10만 관객을 기록하며 투자사가 밝힌 손익분기점 25만에는 못 미친 상태다. 하지만 중·저예산 독립영화 역시 스크린을 제대로 확보하면 성공할 수 있는 사례로 조명되고 있다.
중·저예산 영화의 흥행이 쉽지 않은 현실에서 이들 영화가 최하 10만 이상 관객을 동원하고 선전할 수 있었던 바탕에는 CGV가 존재한다. 스크린 수가 적게 배정됐다면 성공하기 힘든 현실에서 극장 체인 CGV의 영향력이 흥행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 것이다. 특히 <한공주>는 2억 원 미만의 저예산으로 제작됐으나 CGV 무비꼴라쥬가 배급을 맡았고, <우아한 거짓말>과 <도희야>는 독립예술영화 상영관인 CGV 무비꼴라쥬가 투자에 배급까지 맡은 작품이다.
하지만 이런 결과에 대한 영화계의 시선은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독립영화 투자 활성화 및 시장 확대라는 빛과, 대기업의 독과점 심화를 통한 수익 극대화라는 그림자가 공존하기 때문이다. CGV는 중·저예산 한국 영화 시장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 나서는 것이라고 강변하지만, 대기업이 돈벌이를 위해 독립영화 시장까지 먹이로 삼으려 한다는 비판이 일면서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비판하는 쪽은 대기업 수직계열화 심화에 초점을 맞추고, 찬성하는 쪽은 투자 환경이 좋아질 수 있다는 점에 무게를 두고 있다. CGV는 영화계의 여론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도 투자를 받으려는 감독들이 많다면서 여론 전환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대기업 돈벌이 수단으로 영화 틈새시장 공략 최근 온라인에서는 이에 대한 논쟁이 벌어져 많은 영화 관계자의 시선을 끌었다. 독립영화 진영의 대표적 정책 전문가로 통하는 원승환 민간독립영화관 확대를 위한 시민모임 이사가 지난 5월 자신의 SNS에 장문의 글을 올려 CGV의 행태를 공개적으로 비판했기 때문이다.
원승환 이사는 "대기업의 돈벌이 수단으로 틈새시장 공략이 이뤄지는 것인데, 영화계가 투자를 기대하며 잠잠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다양성 영화의 성공 사례로 부각되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과 <한공주>는 중소규모의 배급사가 배급한 작품이 아니라 CGV와 이십세기폭스코리아의 것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면서 "CGV는 2013년 통계 기준으로 전극 극장 수의 36%, 스크린 수의 41%, 좌석 수 41%의 1위 기업이고, 이십세기폭스코리아는 4대 직배사 중 하나로 둘 다 메이저 사업자"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한공주>와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의 성공은 틈새 콘텐츠로 성장을 도모하려는 CGV와 이십세기폭스코리아의 틈새시장 전략으로, 메이저 사업자라 가능한 기획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원 이사는 "CGV의 투자·배급 전략이 자신의 성장을 위한 틈새 전략이 아니라 독립영화의 생태계를 풍족하게 만드는 지원이 진짜 목표라면, 지금과 같은 방식이어서는 곤란하다"고 지적하고, "CGV가 만든 장(場)에서 CGV가 직접 배급을 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영화 배급사에 기회를 주는 방식이 돼야 한다. 투자금이 부족한 상황에서 투자까지는 가능할 수 있겠지만 배급을 직접하는 것은 정말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는 CGV 서정 대표가 "중·저예산 영화에 대한 다양한 지원을 통해 영화 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를 기대"한다고 했던 말을 언급하며 "그렇다면 배급 수수료까지 챙기면 안 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CGV 대표의 말은 '우아한 거짓말'이 될 뿐"이라며 CGV의 이중적 행동을 겨냥했다.
지원하는 모양새로 포장, CGV 이익이 궁극적인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