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민 기자
이영광
- 그중에서도 울산을 택한 이유가 있을까요? 지방소멸은 울산 만의 문제는 아니잖아요.
"만약 다른 도시를 타깃으로 이야기 했다면 저는 흥미가 떨어졌을 것 같아요. 울산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거든요. 울산은 모두가 알다시피 어떤 면에서는 부자 도시입니다. 여기는 (시민들이) 잘 사는 도시고, 특히 이 울산에 있는 기업들이 아주 잘 나갑니다. 요즘 현대차는 세계 3등 하는 자동차 회사가 됐어요. 그 회사의 허브가 울산에 있습니다. 현대중공업도, 올해 우리 조선산업이 호황을 맞아서 1분기에 중국을 제치고 수주량 기준으로 1등을 했어요. 이렇게 잘 나가고 업황이 좋은데 울산은 인구가 줄어드는 겁니다. 이건 굉장히 상징적이죠. 울산에 터전을 두고 있는 산업이 매우 잘 영위되고 있는데 그곳에 사는 사람들, 특히 청년들에게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아요. 경제학적으로 말하면, 낙수 효과가 없죠. 여기에 지역 소멸과 수도권 집중 문제가 있고요. 저는 여기서 더 나아가고 싶었어요. 울산 등 지역이 어려운 문제에서 끝나지 않는다는 것이죠. 인구가 계속해서 수도권으로 가고 있는 사실이 출생률에도 심각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요."
- 현대자동차 울산 공장에서 자정 야근을 마치고 뛰어가는 노동자들 모습으로 방송이 시작되었습니다. 이 장면을 첫 장면으로 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다큐멘터리는 영상이기 때문에 흥미로워야 해요. 보는 사람을 잡아끌어야 하는데 그게 주제와도 연결되어야 하죠. 유튜브에서 현대차 공장에서 사람들이 뛰어나오는 영상을 봤는데, 방송 기자로서 흥미로웠어요. 또한 이 이야기에 가장 중요한 공간이 현대차인데, 현대차 공장이 가장 역동적으로 등장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장면이어서 무조건 이 장면으로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 현대차 비정규직 노동자인 김현제씨가 '울산은 신분이 나뉘어 있다'고 했던 말이 기억에 남습니다. 정규직, 비정규직의 신분을 말하는 것인가요? 회사 밖에서도 신분이 나뉜다는 말인가요?
"현대차에 공식적으로 물어보면 '우리는 거의 다 직접 고용했다'고 말해요. 법원도 판결을 계속 그렇게 내리고 있어요. 법원이 판결을 통해 선을 그어주면 현대차는 그에 따라서 정규직화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조금 뜻밖이었던 게 '2차 하청'이라고 부르는, 청소직, 식당직 등에 대해서는 하청이라고 생각하지 않더라고요. '그건 아닌데요. 우린 다 직고용하고 있지만 그 사람들까지 직고용은 할 수 없잖아요'라고 말하더라고요.
어찌 보면 자본주의 사회가 다 신분제 아닐까요.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것까지 모든 것들이 다 나뉘어 있죠. 울산이라는 공간의 특징은 어떤 기업이 이익을 극대화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내재화하고, 무엇을 내재화하지 않을 것인가 하는 결정이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정규직, 비정규직 구분이 없었을 때는 다 같은 기업에 다니고 대부분의 아빠들이 같은 작업복을 입고 다니니까 다 똑같았죠. 어느 순간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나뉘면서 동네에서도 그게 곧 본인의 신분이 되는 겁니다. 서울에선 모두가 다 다른 일을 하고 있기 때문에 공간적으로 신분제라고 느끼기 어렵다면, 여기선 다 같은 회사에 다니고 있기 때문에 신분처럼 느껴지게 될 개연성이 매우 높은 공간이죠."
현대자동차가 성장해도, 울산에는 청년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