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휘날리며>로 천만 감독이 된 강제규 감독은 2011년 300억 가까운 제작비가 투입된 신작 <마이웨이>를 선보였다. <명량>으로 한국영화 최고 흥행 감독이 된 김한민 감독도 제작비 300억 원의 <한산:용의 출현>과 <노량: 죽음의 바다>를 연출했다. 2009년 <해운대>로 천만 감독 대열에 합류한 윤제균 감독 역시 2014년 <국제시장>, 2022년<영웅> 등 많은 제작비가 들어간 대작영화들을 차기작으로 선보였다.
반면에 천만 영화 이후 차기작으로 오히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영화를 만들면서 '한 박자 쉬어가기'를 선택한 감독들도 있었다. <왕의 남자> 이후 <라디오스타>를 만들었던 이준익 감독과 <괴물>이후 <마더>를 선보였던 봉준호 감독, <광해: 왕이 된 남자> 이후 < 7년의 밤 >을 연출했던 추창민 감독 등이 대표적이다. <극한직업>의 이병헌 감독은 차기작 <드림>에서 제작비가 늘어났지만 <드림>을 대작영화로 분류하는 관객은 거의 없다.
<실미도>로 한국 최초의 천만 감독이 된 강우석 감독은 <실미도>가 개봉하기 10년 전에도 전국을 들썩이게 했던 화제작 <투캅스>를 만든 적이 있다. 하지만 강우석 감독은 <투캅스>를 통해 한국영화 최고의 흥행감독으로 떠오른 이후 다소 독특한 스타일의 성인코미디를 차기작으로 선보인 바 있다. 박중훈과 고 최진실의 코믹연기대결을 통해 1994년에서 1995년으로 넘어가는 겨울 많은 관객들을 즐겁게 했던 영화 <마누라 죽이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