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장기자랑> 스틸 이미지
영화사 진진
4월, 벚꽃이 만개할 때쯤이면 우리 엄마의 생신. '벚꽃이 만개하고 지기 시작하면, 자신의 생일이니까 나중에 늙어서도 잊지 마라'는 엄마의 말에, 시간이 흘러 엄마가 내 곁에 없는 봄날이 오면 벚꽃을 보며 엄마 생각하라는 뜻으로 받아들여 괜히 엄마에게 잔 짜증을 내버린 어느 봄날이었다.
벚꽃은 잠깐 왔다가 빠르게 사라져 버려서 찰나의 기쁨을 주고 가는데, 누군가는 그래서 의미 있다고 하지만, 그건 다 내년이 기약되어 있기 때문이다. 계절은 돌고 돌아, 반드시 우리 곁에 온다는 약속을 해주니까. 그러니 지금 이 순간, 현재를 집중해서 즐기자며 나서는 벚꽃 구경이 얼마나 기쁘겠는가.
그러나 계절과 달리 다시 돌아올 기약이 없는, 잠깐 누군가에게 기쁨을 주고 사라져 버린 벚꽃 같은 아이들이 있다. 다시는 볼 수 없는 아이들. 그래서 슬프고, 그래서 가슴이 미어지는.
아이를 낳아 길러본 적은 없지만, 엄마의 생일 시즌 이야기를 곱씹으며 어렴풋이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느낌이란 어떤 것일까 짐작해 본다. 그리고 벚꽃이 지고 꽃비가 되어 내리는 풍경을 보며 지난 4월의 어느 봄에 나는 영화 <장기자랑>을 향해 집을 나섰다.
"얘들아, 수학여행 가자 제주도로. 너네 엄마들이 데려가준대, 가서 너네한테 장기자랑도 보여준대."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떠난 아이들이 결국 제주도에 도착하지 못하고, 목포 앞바다에서 별이 되었다. 그런 자신의 아이들을 데리고 엄마들이 '연극'을 통해서 제주도에 수학여행을 간다.
수학여행에 장기자랑이 빠질 수 없는 만큼 엄마들이 장기자랑을 준비한다. 연극에서의 배역은 모두 자신의 아이들을 대입해 아이의 꿈과 장기를 대변한다. 세월호 엄마들이 직접 출연하는 연극 <장기자랑>이 지난 몇 년 간 전국에서 공연됐다. 그리고 이 연극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가 바로 <장기자랑>이다.
참사를 겪은 피해자들은 참사 이후 1년간은 현실감각 없이 그저 멍하니 지나다가, 진짜 고통은 1년 이후의 삶부터 찾아온다고 하는데 엄마들은 이 참을 수 없고 돌이킬 수 없는 고통의 시간에 '연극'이라는 새로움 꿈을 만난다. 그렇게 고통에서 한 걸음씩 빠져나와 일상으로 결국에 착륙해내고야 마는 '도전'을 유쾌하고 따듯한 시선으로 그려냈다.
"얼레리 꼴레리, 얘들아 너네 엄마들 싸운다 다 같이 구경하자 우리."
순백의 피해자라고 했던가. 이 영화는 이런 편견을 말끔히 깨 준다. 엄마들이 연극을 준비하면서 내가 더 잘할 수 있는데 왜 역할을 저 엄마만 하냐며, 서로에게 삐치기도 하고, 갈등도 생긴다. 감독님에게 나 너무 서운했다고 말하고, 감독님도 나도 어머니한테 서운했다고 하며, 팀을 탈퇴했다가 돌아오는 과정을 여과 없이 보여준다. 나는 엄마들의 이런 모습을 구경할 수 있어서 좋았다. 비로소, 이게 사람 사는 보통의 날들이라고 생각했다. 고통에 덮어져 평범한 삶을 놓쳐버리는 피해자들의 삶이 아니라, 원래 사람은 싸우고 화해하고, 그렇게 사랑하고. 욕심도 내며 사는 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