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진흥위원회 한상준 신임 위원장이 한국영화산업 위기 관련 핵심 과제 및 지원 예산 축소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한 위원장은 26일 서울 종로구 HJ비즈니스센터에서 국내 취재진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다섯 가지 핵심 사업 내용을 전하며, 질의 응답시간을 가졌다. 현장에선 최근 국회 토론회에서도 지적된 국내 영화제 예산 삭감과 독립영화지원 축소, 지역영화네트워크사업 예산 삭감 관련 등 현안 관련 질의가 이어졌다.

 영화진흥위원회 부산촬영소 착공식이 지난 7월 18일 오후 기장도예촌에서 열린 가운데 한상준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 부산촬영소 착공식이 지난 7월 18일 오후 기장도예촌에서 열린 가운데 한상준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제작 편수 줄어, 생태계 회복 필요"

지난 6월 초 임기를 시작한 한상준 위원장은 출장차 방문한 토론토영화제 일화를 전하며 한국영화산업의 위상과 위기론을 체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장에서 한국어로 말을 건네는 해외 영화인들이 많았다"던 한 위원장은 "올 상반기 두 편의 천만 관객 영화가 나왔고, <탈주> <파일럿> <핸섬가이즈> 등 중형 영화가 흥행했지만 제작 편수는 계속 줄고 있고 그만큼 생태계 회복이 필요하다"며 다섯 가지 사업을 발표했다.

크게는 한국영화 산업 생태계 복원과 중급 규모 영화 제작 지원사업 신설, 영화 문화 저변 확대, 글로벌 영화 인력 양성, 공정한 환경 조성이었다. 이는 앞서 문화체육관광부가 밝힌 영화계 지원 예산과 핵심 과제와 맥락을 같이 하는 내용이었다. 문체부는 앞서 지난 8월 2025년 영화계 지원 예산을 올해보다 92억 원 증액한 829억 원을 편성했다며, 이중 100억 원을 중예산영화 제작지원사업에 편성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기획개발 지원에 26억 원, 영화제 지원에 33억 원이 편성됐는데 이는 지난해 대비 각각 10억 원, 5억 원 증액된 금액이다.

한상준 위원장은 "대형 상업영화 쏠림 현상으로 연평균 50편 정도 제작되던 중급영화 투자가 감소 중"이라며 "신인 창작자들의 데뷔 기회일 수도 있고, 한국영화 허리 역할을 하는 대상에 공직 지원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고 중급 규모 영화 기획개발 지원사업 취지를 설명했다. 여기에 기획 개발 지원사업 10억 원 증액으로 제작사가 꾸준히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하도록 지원한다는 말을 덧붙였다.

하지만 이 같은 중급 규모 영화 지원이 사실상 상업영화 지원으로 보인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영화계 다양성의 보루인 독립예술영화 지원은 상대적으로 축소된다는 우려에 한상준 위원장은 <살인의 추억>과 <올드보이> 예를 들며 "우선 관객이 극장에 오게끔 하는 게 목표라고 생각한다. 장르 영화 중심이냐, 예술 영화 중심이냐는 말에 장르 영화에 무게를 싣는 건 맞다"며 "독립영화 지원이 줄어든다는 우려는 이해하는데 한국영화 르네상스를 일으킨 힘은 장르와 작가주의가 결합한 데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당시 기준으로 <살인의 추억>, <올드보이>는 상업영화가 아닌 독립영화에 가까웠다는 지적에 김현수 사업본부장은 "작품성이나 성장 가능성 있는 신진 창작자를 지원하느냐, 어느 정도 대중성이 증명된 창작자를 지원하는지에 대해선 심사가 굉장히 중요할 것 같다. 모두가 인정할 만한 심사단을 꾸리겠다"고 해명했다. 이어 김 본부장은 "누적된 영화산업 침체로 재무 투자자들이 많이 빠진 상태인데 일정 정도 작품 수가 돼야 질적인 성장이 가능한 만큼 중급 규모 영화 지원사업이 마중물 역할을 하면 좋겠다는 취지다. (26억 원이 편성된 기획 개발은) 10편 정도 하겠다고 기획재정부에 말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대비 크게 삭감한 영화제 지원 사업과 전액 삭감한 지역영화네트워크허브 활성화 지원 사업 관련 질문도 이어졌다. 한상준 위원장은 "해당 정책을 잘 몰랐는데 현장 목소리를 듣다보니 어려움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방 도시들의 인구가 줄고, 청년층 감소를 막기 위해서라도 지역 영화제나 관련 지원이 필요한 것 같다"며 "다만 현실적 문제가 있어서 어떻게 해당 예산을 회복하는지 그 방향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번에 노력했지만, 지역 영화제나 네트워크 사업 지원 예산을 따는 게 어려운 점이 있었다"라고 말했다.

크게 상승한 극장 티켓 가격대비 오르지 않는 객단가(영화의 전체 매출액을 총 관객수로 나눈 금액. 해당 금액을 극장과 제작사가 나눠 갖는다 - 기자 주) 문제나 홀드백(극장 개봉 이후 OTT 등 부가 시장에 풀리기까지 걸리는 시간) 문제 등 산적한 현안에 대해서도 한 위원장은 생각을 밝혔다.

한 위원장은 "영진위가 집행하고 명령할 권한이 없어서 협력을 독려해왔는데 제작사와 투자배급사, 극장 간 이해가 다 달라서 충돌하는 문제 같다"며 "영진위가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게 무엇인지 정책적으로 풀 수 있는 게 무엇인지 연구하겠다"고 답했다.

동석한 박덕호 사무국장은 "객단가 같은 이해관계가 얽힌 문제 등은 영진위 내 공정환경조성센터를 통해 다뤄졌다. 그간 이해당사자가 모여서 협의하게 하는 역할을 해왔다"며 "새 위원장이 오셨기에 정책과 공정환경조성센터의 역할을 같이 고민하고 사전 연구가 필요한 사안과 구분해서 컨트롤타워에 가까운 역할을 하도록 고민하겠다"고 설명을 더했다.

현재 영진위는 중급 영화 지원 사업 관련 TF 팀을 구성한 상태다. 오는 11월까지 결정기구인 9인 위원회는 물론, 업계 종사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 11월께 사업 계획을 확정할 방침이다.

한상준 위원장은 "지금까진 제도적, 공적 차원으로만 접근했는데 개인 차원에서 설득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느낀다"며 "시간을 들여 문제의식을 확고하게 하겠다"고 밝혔다.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메가3같은 글을 쓰고 싶다. 될까? 결국 세상을 바꾸는 건 보통의 사람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