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햄릿> 공연사진
신시컴퍼니
고전은 '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읽지 않은 책'이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이는 연극에도 적용된다. 사람들의 흥미나 관심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그 전에 '고전'이라 불리는 연극 공연은 많지 않다. 신선하고 자극적이고 빠르고 쉬운 연극이 넘쳐나기 때문인데, 이러한 경향은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더 두드러졌다.
그러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대표작, <햄릿>이 돌아왔다. 이름만으로도 관객을 열광케 하는 배우들과 함께, 그것도 대극장 공연으로. 한국 연극인들에게 최고의 영예로 꼽히는 '이해랑연극상'을 수상한 배우만 11명이다. 이호재, 전무송, 박정자, 손숙, 김재건, 정동환, 김성녀, 손봉숙, 남명렬, 박지일, 길해연까지. 출연 배우가 총 24명이라는 점을 알고 나면, 11명이라는 수상자 수치가 더 대단하게 느껴진다. 출연 배우의 절반 가까이가 이해랑연극상을 수상한 것이다.
여기에 연출을 맡은 손진책과 무대 디자인을 맡은 이태섭, 그리고 프로듀서 박명성도 이해랑연극상을 수상했다. 한 작품에만 14명의 수상자가 참여한 셈이다. 한국 연극사에 굵직한 족적을 남긴 배우들이 중심을 잡아주고, 젊은 배우들이 활기를 불어넣는다. 주인공인 '햄릿' 역에 강필석과 이승주가 캐스팅됐고, '레어티즈' 역의 양승리와 이충주를 비롯해 정환, 루나 등이 참여한다.
신시컴퍼니가 선보이는 연극 <햄릿>은 오는 9월 1일까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에서 공연한다(국립극단도 <햄릿>을 선보이는데, 이는 오는 7월 5일 명동예술극장에서 개막해 7월 29일까지 공연할 예정이다).
신·구의 조화, '배우란 무엇인가'
무대는 말 그대로 비어있다. 무대 세트랄 게 딱히 없다. 유리판이 세워져있고, 의자 몇 개만 배우들이 들고 나왔다 들어가며 활용한다. <햄릿>의 배경이 되는 12세기 덴마크 왕국을 드러낼 만한 장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배우들도 현대적인 의상을 입고 나와 연기하고, 작중 인물들은 칼 대신 총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구성은 동시대성을 자극하기 위한 작업으로 보인다. 12세기 덴마크를 배경으로 쓰여진 17세기 영국의 작품이 오늘날 이곳에서도 유효하다는 걸 증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단촐하기 짝이 없는 빈 무대를 채우는 건 '동시대성'이다. 여기에 셰익스피어의 걸출한 텍스트도 무대를 채우는 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무엇보다, 필자는 배우들의 힘을 강하게 느꼈다. 무대는 연극의 시공간적 배경과는 어울리지 않고, 등장인물들 역시 겉모습만 보기에는 <햄릿>의 캐릭터라고 생각조차 하기 힘들지만, 배우들은 기어코 무대를 <햄릿>으로 만들어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