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스팅 보드  공연장에 있던 6월 7일 출연진.

▲ 캐스팅 보드 공연장에 있던 6월 7일 출연진. ⓒ 편성준


뾰족 지붕과 계단이 돋보이는 저택이 무대 전면에 모습을 드러낸 뒤 극이 시작되면 거의 모든 배우들이 한꺼번에 등장해 뺨에 마이크를 붙이고 빠르게 대사를 쏟아낼 땐 좀 정신이 없다. 대극장의 공간감을 느끼게 해주는 배우들의 육성 대신 마이크를 통해 들리는 대사들은 원작의 고전미를 제거하고 흡사 외국 드라마 더빙판을 보는 느낌마저 준다. 사이먼 스톤이 그려내는 '벚꽃동산'의 낯섦은 여기부터 시작이다.

하지만 이런 황당함은 20분만 지나도 사라진다. 그리고 충분한 보상이 있다. 바로 뉴욕에서 바로 산 듯한 고급 트레이닝복 위에 크림색 버버리코트를 입고 나타난 전도연의 등장이다. 

전도연과 박해수 등 거물급 캐스팅으로 일대 화제를 몰고 온 사이먼 스톤의 연극 <벚꽃동산>을 8일 토요일 오후 3시 공연으로 보았다. 캐스팅이 확정되기 전 LG아트센터의 공연계획표만 보고 아내가 티켓을 구매해 놨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연출자인 사이먼 스톤은 1903년에 안톤 체홉이 러시아에서 쓴 극본을 2024년 한국에 맞게 뜯어고치고 이름도 전부 한국식으로 바꾸었다. 그래서 라네프스카야와 가예프는 송도영·송재영 남매가 되었고 로파힌은 황두식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태어났다. 하지만 배우들은 체홉이 창조한 캐릭터의 개성과 방향성을 온전히 이해하고 있기에 '벚꽃동산'이 가진 생명력은 여전하다. 리뷰를 쓰기 전 노트에 원작 인물들과 LG아트센터에 선 배우들을 대조해서 메모해 보았다. 나이 든 하인 피르스와 독일 출신 가정교사 샤를로타가 사라졌고 늘 빚에 시달리던 이웃 페치치크는 친척 아저씨 김영호로 살짝 바뀌었다. 

영국을 비롯한 유럽 무대를 휩쓸고 넷플릭스에서 만든 영화로도 유명한 사이먼 스톤은 왜 한국에 와서 '2024년판 벚꽃동산'을 만드는 모험을 감행했을까. 스위스에서 태어났고 열여덟 살 때부터는 2년 이상 같은 나라에서 산 적이 없다는 그는 수많은 고전을 섭렵했고 클래식한 작품을 현대적인 시각에서 재해석하는 능력으로 유명하다.

그는 한국이라는 나라의 역동성과 다양성을 담기엔 체홉의 '벚꽃동산' 밖에 없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의 메릴 스트립' 같은 배우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당연히 그 배우는 전도연이어야 했다. 러브콜을 받은 전도연은 원캐스팅의 배역이 부담스러워 "어떻게 해야 성의 있게 거절을 할 수 있을까?"를 생각하다가 국립극장에서 사이먼 스톤의 <메디아>를 영상으로 본 뒤 생각을 바꾸었다고 한다. 말 그대로 '피가 끓어오르는' 기분이었다. 

이는 박해수, 손상규, 최희서, 남윤호, 유병훈, 박유림 등 나머지 배우 아홉 명도 마찬가지였다. 그들은 '체홉의 연극엔 버릴 인물이 하나도 없다'라는 말처럼 각자 맡은 배역을 최고의 기량과 성의로 완성해 냈다. 박해수는 큰 체격과 잘생긴 얼굴 말고도 어찌나 연기를 잘하는지, 손상규와 남윤호는 호흡도 긴 그 대사들을 어찌 그리 잘 소화해 내는지. 유병훈은 페치치크와 피르스 역까지 맡아 최고의 유머를 보여주고, 이지혜는 여전히 귀여우면서도 노련한 포스를 뽐내고, 박유림은 '어디서 봤더라' 했는데 하마구치 류스케의 <드라이브 마이카>에서 수화로 연기를 하던 바로 그 배우였다.

아, 연극을 보면서 정상급 밴드의 콘서트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을 받기는 처음이었다. 콘서트를 보면 중간에 악기 연주자들마다 '솔로 퍼포먼스'를 하지 않나. 이번 연극의 배우들이 연기할 때마다 그랬다. 열 명 모두의 연기가 특별하게 다 좋은 것이다. 연극이 끝나고 관객들을 따라 기립박수를 치면서 나는 생각했다. 어떻게 이런 게 가능하지?
 
 연극 <벚꽃동산> 포스터.

연극 <벚꽃동산> 포스터. ⓒ 국립극단


의문은 '관객과의 대화'에서 풀렸다. 전도연, 박해수, 유병훈, 남윤호가 나온 관객과의 대화에서 그들은 사이먼 스톤이 얼마나 배우들에게 자유와 고통을 함께 주는 연출가인지 앞다투어 증언했다. 그는 배우들을 믿는 감독이었다. 유병훈 배우에 의하면 연습할 때 그가 라는 말은 단 네 마디였다. "Keep going", "Exactly!", "Beautiful" 그리고 웃음소리.

그의 웃음소리는 배우에게 보내는 무한한 신뢰와 만족의 표시였다. 그러기에 전도연을 비롯한 배우들은 연습을 하는 도중 도착하는 쪽대본에 비명을 지르면서도 사이먼 스톤이라는 천재 연출가가 보여주는 열의에 탄복하며 응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그가 보여준 칭찬과 격려의 리더십은 날이 갈수록 최고의 연기 앙상블을 뽑아냈다. 첫 회를 본 관객 중엔 별로라고 했던 사람도 많았는데 점점 좋다는 평이 우세해진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전도연은 자신이 변동림을 껴안고 반가워하다가 갑자기 그가 너무 늙었다고 놀라는 장면에서 "당신은 세월을 비껴가지 못했군요. 나는 비껴간 것 같은데"라고 농담하는 대사가 바로 쪽대본에서 추가되었다며 웃었다. 아마 황두식이 송재영을 비난하며 한 뻐꾸기시계 대사와 '뻑큐'를 연결시킨 것도 이런 과정이 아니었을까 나는 속으로 생각했다. 박해수는 세트 1층에서 문을 닫고 있으면 밖의 소리가 하나도 안 들려 별세계에서 연기를 하는 기분이라고 했다. 그는 "3막 초반부터의 앙상블이 너무 좋고 너무 슬픈데 웃기기도 하고, 콩가루 집안인데 울림도 있는 이 벚꽃동산이 너무 좋다"라며 이번 작품에 대한 진한 애정을 고백했다. 

진행을 하던 신민경 프로듀서가 "에브리맨이라는 분이 평을 써주셨다"면서 읽기 시작했다. 에브리맨은 나의 대화명이었다. "배우들의 연기에 대해 한 마디 안 할 수가 없는데, 모든 배우들의 연기가 감동이었습니다." 그 구절을 읽고 관객과 배우들이 박수를 치려 하자 신민경 프로듀서는 손을 내저으며 "너무 감동적이라 뒷부분까지 읽어야 한다"고 말하고는 계속 읽어나갔다. "배우들마다 중점적으로 자신의 대사를 할 때는 마치 음악 밴드의 연주자들이 차례차례 자신의 기량을 마음껏 펼치는 걸 눈앞에서 보는 기분이었습니다.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가능하다면 또 보고 싶습니다." 내가 쓴 것이라고 아내에게 자랑했고 아내는 철없는 남편을 바라보며 웃었다. 

가능하면 다시 보고 싶다는 말은 나의 진심이었다. 왜냐하면 이 연극은 날이 갈수록 좋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리듬과 템포만 유지하고 매일매일 새로운 걸 해보자고 하는 연출이 있고 그 말에 화답하며 서로를 믿는 배우들이 있기 때문이다. 연극의 주요 배역을 맡으면 잘해야 한다는 중압감이 배우를 짓누르기 마련인데 이 작품에서는 '나 혼자 뭘 안 해도 되는구나. 동료들이 받쳐주고 있으니 그냥 하고 싶은 거 하면 되는구나'라고 생각했다는 박해수의 고백은 이 연습실의 분위기를 짐작하게 해 준다. 어느 관객이 전도연의 주량을 묻자 "소주 두 병은 마셔요"라고 대답해서 모두 박수를 쳤다. 연극에서 배우들이 위스키 대신 소주병을 병나발 불던 장면마저도 사랑스럽게 다시 소환되는 대답이었다. 
 
노트 원작과 비교하기 위해 등장인물들의 이름을 써보았다.

▲ 노트 원작과 비교하기 위해 등장인물들의 이름을 써보았다. ⓒ 편성준

 
연극이 끝나고 로비에 나와 LG아트센터에서 기획 공연 등을 담당하고 있는 김주연 제작PD와 박해수 배우의 15년 팬인 김기상 박사를 만났다. 김주연 제작PD는 '소행성 책 쓰기 워크숍'에 다닌 분인데 전도연의 팬인 아내 윤혜자가 "어쩌면 그렇게 입 다물고 귀띔도 안 해주었냐"라고 항의를 하자 자신도 입이 간지러웠으나 워낙 비밀스러운 프로젝트라 엠바고를 지킬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김기상 선생은 첫날부터 이 연극을 계속 보고 있는 '회전문' 관객이다. 같은 연극을 여러 번 보는 사람들을 '회전문 관객'이라고 부른다. 김기상 선생은 최근에 직업을 파격적으로 바꿨는데도 동료들의 응원에 힘입어 계속 연극을 보러 온다고 말하며 첫날은 기립박수가 없었는데 이젠 다 일어나 박수를 친다고 했다. 나는 이 연극의 회전문 관객들이 정말 부럽다. "좋은 작품은 애쓰지 않아도 진화한다"라는 유병훈 배우의 말이 아니더라도 매일매일 발전하는 연극의 목격자들이니까. 다행히 7월 7일 마지막 공연 표를 아내가 구하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3층 구석자리라 배우들의 얼굴도 안 보이겠지만 그래도 이게 어딘가. 마지막날쯤 되면 이 연극은 최고의 작품으로 성장해 있을 것이니까 말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편성준 시민기자의 개인 SNS와 브런치에도 게재됩니다.
연극 안톤체홉 벚꽃동산 사이먼스톤 전도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카피라이터 출신 작가. 『부부가 둘 다 놀고 있습니다』 『읽는 기쁨』 등 네 권의 책을 냈고 성북동에 있는 한옥집을 고쳐 ‘성북동소행성’이라 이름 붙여 살고 있습니다. 유머와 위트 있는 글을 지향하며 출판기획자인 아내 윤혜자, 말 많은 고양이 순자와 삽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