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을 빛내는 또 다른 주역을 찾습니다. 연기하는 배우라는 점에서 '주'와 '조'는 따로 없습니다. 혹시 연기는 잘하는데 그동안 이름을 잘 몰랐다고요? 가만 보니 이 사람 확 뜰 것 같다고요? 자신의 길을 최선을 다해 걸어온 이들을 <오마이스타>가 직접 '픽업'합니다. [편집자말]

 영화 <아이 캔 스피크> 공무원 아영 역을 맡은 배우 정연주가 26일 오후 서울 마포구 <오마이뉴스> 사옥에서 만나 “앞으로 도전해보고 싶은 역할이 있나”는 기자의 질문에 “다 잘 할 수 있다”며 “뭔가를 하고 싶기 보단 뭐가 왔을 때 도전해보고 싶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영화 <아이 캔 스피크> 공무원 아영 역을 맡은 배우 정연주가 26일 오후 서울 마포구 <오마이뉴스> 사옥에서 만나 “앞으로 도전해보고 싶은 역할이 있나”는 기자의 질문에 “다 잘 할 수 있다”며 “뭔가를 하고 싶기 보단 뭐가 왔을 때 도전해보고 싶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 유성호


 영화 <아이 캔 스피크> 공무원 아영 역을 맡은 배우 정연주

영화 <아이 캔 스피크> 공무원 아영 역을 맡은 배우 정연주 ⓒ 유성호


개봉 후 감동 코드로 관객들의 호응을 받는 중인 영화 <아이 캔 스피크>엔 옥분(나문희)과 민재(이제훈)의 이야기만 있는 게 아니다. 웃음을 주는 캐릭터 중 이른바 '구청 3인방'은 분명 눈길을 끄는 이들이다. 그 세 명 중 배우 정연주(27)를 상암동 <오마이뉴스> 사옥에서 만났다.

전출 온 민재에게 대뜸 "제가 어려보이죠? 어린 나이에 일찍 합격해서 그래요"라고 말을 건네는 아영은 영화에서 자세히 묘사되지 않지만 8급 공무원. 그러니까 9급인 민재보단 한 직급 높은 선배다. 선배라고 윽박지르는 게 아닌 하나하나 일을 알려주거나 자신의 마음을 내비치며 은근히 꾀려 하는 등 '오지라퍼'이기도 하다. 기능적으로 지나갈 수 있는 캐릭터를 정연주가 잘 살려냈다.

정연주의 해석

"공무원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있잖나. 감독님도 그런 걸 주문하셨다. 배우들끼리 모여서 준비하는데 '자, 우린 업무 끝나고 회식하는 사이는 아니다' 이렇게 관계를 정해 놨다. 자기 할 일만 하고 나머지는 여가를 보내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다 민재가 구청에 새로 왔고, 제 캐릭터는 8급이라는 것에 자부심이 있고 선배로서 괜한 책임감이 있는 인물로 해석했다."

마침 정연주의 친척 중 공무원 일을 하는 이가 있어 힌트를 얻었다. 딱딱하고 재미없는 사람일 줄 알았던 공무원들이 알고 보면 예쁜 옷도 잘 입고, 여가도 소중히 하는 사람들임을 알게 됐다. 여기에 실제로 몇몇 공공기관을 방문하며 관찰한 모습들과 스스로 시나리오를 보며 생각한 몇 가지 정보를 아영이라는 인물에 녹였다.

 영화 <아이 캔 스피크>에 등장하는 구청 3인방. 맨 왼쪽이 바로 정연주가 맡은 아영이다.

영화 <아이 캔 스피크>에 등장하는 구청 3인방. 맨 왼쪽이 바로 정연주가 맡은 아영이다. ⓒ 명필름


"영화 보면 구청 내 계단에 스티커를 붙이는 장면이 있는데 실제로 한 기관에 갔을 때 물어본 적이 있다. 누가 스티커 붙이는지, 어떻게 붙이는지 말이다. 나머지 아영의 모습은 이미 시나리오에 완벽하게 담겨 있어서 특별히 애드리브 이런 걸 하진 않았다. 음... 아영에 대해선 서울에 살며 자취를 하는 친구라고 생각하고 임했다. 처음 시나리오를 봤을 때부터 웃음도 났고, 눈물도 글썽였다. 이거면 됐다 싶었다. 제가 재밌게 봤고 이게 어떻게 펼쳐질지 궁금했는데 생각했던 거 보다 생생하게 나와서 뭉클하더라. 

진짜 다들 노력하셨구나 생각했다. 나문희 선생님은 특히 감사했다. 현장에서 한마디 한마디를 허투루 하시지 않는 것 같았다. 다 뼈가 있다. 그만큼 통찰력을 가지시고 말씀하시는 것 같더라. 선생님과 같은 공간에 있다는 거 하나만으로 많이 배웠다. 가끔 제게 사탕도 쥐어주셨다. 함께 연기하는 게 처음이라 크게 긴장할 줄 알았는데 이상하게 선생님과 부딪힐 때 편하게 하게 되더라. 이제훈 선배랑은 (학교 선배긴 하지만) 따로 만나서 맞추진 않았다. 그런대도 호흡이 잘 맞았던 것 같다."

연기적 갈망

단편 영화 <손님>(2012) 등으로 국제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도 받는 등 일찌감치 실력파로 알려졌지만 대중은 그를 예능 프로 < SNL코리아 >의 모습을 많이 기억한다. 20대 중반의 배우로서 자칫 이런 현실에 조급함 내진 불편함을 느낄 법 한데 돌아오는 답이 의외다. "맞아요"라고 맞장구치던 정연주는 "독립 영화도 단막극도 드라마도 했는데 참여한 여러 작품 중 하나가 잘 알려졌다면 달랐겠지만, 그 프로로 인지도가 생겼다"며 "특별히 아쉽거나 그런 건 없다"고 답했다.

다만 연기에 대한 갈망은 누구보다 크다. 유치원 행사 때 사회를 보고, 초등학교 장기자랑 시간에 손들고 나가 춤을 추는 등 끼가 있었던 동시에 평소엔 내성적이었던 정연주는 "자연스럽게 연기를 하게 됐지만 할수록 더 재밌고, 잘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제 재밌어지기 시작했다. 더 배우고 싶은 마음도 크다. 어릴 땐 요리사 등 여러 꿈을 갖고 있다가 고등학생 때 결심한 게 연기자였다. 처음엔 춤을 배우다가 자연스럽게 연기 선생님을 만났고, 그 분이 지금의 학교 선배이신 이상은 배우다. '연기 해볼래?' 직접 제안은 아니었지만 절 좀 특별하게 봐주셨다. 자연스럽게 이 길로 온 거 같다. 근데 제가 훌륭한 후배가 아니라 선배가 절 부끄러워 할 건 아닐지... (웃음)

대학에 들어가기 전까진 배우가 되자는 목표에만 집중했었다. 그 자체를 의심하지 않았는데 오히려 요즘 들어 고민이 많다. 내 목표 의식이 흐려진 건 아닐까, 나태해진 건 아닐까 등등 생각이 많아진다. 지금 인터뷰 하면서도 그런 생각이 든다."

본인이 갑자기 해이해진 것 같다는 반성 아닌 반성을 하는 이유는 그동안 써왔던 일지 때문이다. 실전에서 잘 안 되는 점을 적거나, 사람들을 관찰하며 떠오르는 걸 적는 등 정연주는 메모광이었다. "요즘은 잘 안 쓰게 돼서 반성한다"며 그는 "매 순간이 경험이라는 생각이 있다"고 연기에 대한 생각을 밝히기 시작했다.

"연기하는 이유를 물으신다면, 재밌다고 답할 수 있다. 제가 살아 있는 것 같다. 텍스트에 적힌 걸 실현하면 그게 살아 움직이는 거잖나. 대사와 상황을 토대로 주고받는 건데 그 안에서 소통하는 게 신기하고 재밌다. 준비하는 건 참 힘들긴 하지(웃음). 제 경우엔 시나리오를 받으면 그 대사가 어떻게 나왔을지 나에게 대입해서 생각해본다. 이런 행동을 하는 인물이 있는데 나라면 이런 상황에서 어떨까? 그 지점을 찾아 이입하는 거지. 

그게 잘 안 되면 제가 겪었던 비슷한 크기의 사건이 뭐가 있을까 생각해본다. 그래서 매순간 다 경험이라고 생각하고 기억하려 한다. 지금 인터뷰처럼 제가 느끼는 어떤 기분이 있다면 그게 하나의 데이터로 생성되는 거지. 그래서 연륜과 경험을 소중하게 생각한다."

자연스러움

 “영화를 준비할 때 어떻게 하는가”는 기자의 질문에 “매 순간 다 경험이라고 생각하고 기억하려 한다”고 말했다.

“영화를 준비할 때 어떻게 하는가”는 기자의 질문에 “매 순간 다 경험이라고 생각하고 기억하려 한다”고 말했다. ⓒ 유성호


연기의 폭을 넓히는 게 목표이지 특정 캐릭터나 장르를 원하고 있진 않았다. 정연주가 오히려 기자에게 물었다. '어떤 역할을 제가 잘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바로 본인이 답을 이어갔다.

"다 잘 할 수 있다! (웃음) 뭔가를 하고 싶기 보단 뭐가 왔을 때 도전해보고 싶다. 음, 구체적으로 생각해볼까. 인간적인 작품을 하고 싶은 건 있다. 사실 <아이 캔 스피크>가 그런 면에서 제겐 좋은 영화였다. 사람의 마음을 대충 다루지 않고 섬세하게 다루는 작품을 하고 싶다. 그걸 잘 표현하고 싶고. 그러기 위해선 기본기를 잘 갈고 닦아야 할 것 같다. 

조급함을 갖고 있진 않다. 물론 느낄 때도 있지. 뭐 조급해한다고 뭔가 달라지는 건 없고, 그냥 넘긴다. 제 모습을 대중들께 특별히 어필하기 보단 그냥 하나씩 해나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알아주시지 않을까? 아직 한 작품을 주연으로 이끌어 가는 걸 안 해봐서 절 엉뚱하다거나 웃긴 배우 등으로 생각하실 순 있겠지. 앞으로 또 다른 걸 보인다면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납득하실 거고 이해해주실 것 같다."

다행인 건 당장 올해 말 그의 또 다른 신작 영화 <늦여름>과 <아기와 나> 등이 개봉한다. 제주도 게스트 하우스에서 벌어지는 소소한 이야기를 그린 작품. 여기에 활동하면서 빼먹은 학교 수업도 열심히 따라갈 계획이다. "혼자 여행을 좀 다녀보고 싶다"는 그의 바람도 이뤄지면 금상첨화. 그가 참여한 작품 수 이상으로 정연주는 보일 게 많다. 더욱 다양한 작품을 통해 변화할 그의 모습이 기대된다.



정연주 아이 캔 스피크 나문희 이제훈 위안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메가3같은 글을 쓰고 싶다. 될까? 결국 세상을 바꾸는 건 보통의 사람들.

오마이뉴스 사진기자. 진심의 무게처럼 묵직한 카메라로 담는 한 컷 한 컷이 외로운 섬처럼 떠 있는 사람들 사이에 징검다리가 되길 바라며 오늘도 묵묵히 셔터를 누릅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