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영화감독을 좋아하세요? 한 편 한 편의 영화로는 알 수 없는 영화감독만의 세계가 있습니다. <오마이스타>는 한 시대를 풍미한 국내외 영화감독들을 집중 조명하고자 합니다. [감독열전]은 시민-상근기자가 함께 쓰는 기획입니다. 관심 있는 여러분의 참여도 환영합니다. [편집자말] |
살아간다면 한 번쯤은 겪는 시기이기에 누구나 잘 안다고 자부하는 걸까. 캐릭터들의 다른 특성이 작품을 대표하는 개성으로 여겨지는 것과는 달리 유독 10대와 20대를 다룬 작품들은 인물들의 연령이 부각되는 경향이 꽤 존재한다. 가령 '청춘 드라마'나 '사춘기 성장담'과 같은 표현들이 대표적이다. 이 같은 수식들이 부착될 때, 그 영화들은 인생 한 시기의 보편적인 경험들을 끄집어 내는 것처럼 여겨지곤 한다. 사실 한 번도 공감이 간 적이 없었다. 70년대에도 90년대에도 학교는 답답하기 짝이 없는 곳이었지만, 나는 <말죽거리 잔혹사>의 주인공처럼 폭력적인 아드레날린을 분출하며 그것을 해소한 적이 없었다. <스탠 바이 미>는 성장 영화의 고전처럼 여겨지지만 나에겐 그런 근사한 모험의 경험도 동성 또래 집단도 없었다.
말하자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세대 보편의 이야기'는 그냥 그 캐릭터들의 이야기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각자가 살아가는 방식도, 점한 사회적 위치도 모두 다를진대 연령만을 이유로 그 사람들의 경험을 깔끔하게 묶어 내는 게 가능할리가 있나. 그래서 나는 한동안 '성장', '청춘'과 같은 홍보 문구가 들어간 영화들을 피했다. 공감을 통해 향수를 불러 일으키려는 게 작품의 목적인데 캐릭터에 이입조차 할 수 없으니 소외감만 크게 들었다. 그런 생각만 들었다. 왜 어떤 영화도 교실 한 구석에서 조용히 책장을 넘기지만 속은 갑갑함으로 무너져가는 남자 아이에게 카메라를 비추지 않을까. 가족들과 화기애애한 식사를 마치곤 욕실에서 무표정한 얼굴로 손목을 긋는 아이는 왜 등장하지 않을까. 이유 모를 불안감에 갑자기 눈물을 왈칵 터트리는 감정을 왜 말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