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 W >의 인기가 심상치 않다. 기대작 <함부로 애틋하게>를 제치며 동시간대 1위를 차지한 것은 물론, 날이 갈수록 흥미진진해지는 스토리로 연일 자체최고 시청률을 경신하고 있다.

이 드라마의 특징은 현실이 아닌 가상현실에서 펼쳐진다는 것이다.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강철(이종석 분)은 드라마 속 웹툰 'W'의 주인공이다. 웹툰으로 그린 캐릭터가 자유의지를 가지고 살아 숨 쉰다는 설정이 얼핏 황당하지만 < W >는 그 설정을 설득시킨다. 여주인공인 오연주는 웹툰 속으로 빨려 들어가 그 세계를 경험한다. 재미있는 것은 비현실적인 설정이 황당함이 아닌 이 드라마의 정체성을 차별화하는 신선함으로 다가온다는 것이다. '드라마'이기 때문에 가능한 설정을 최대한 활용하여 시청자들의 감정의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현실에선 벌어질 수 없는 일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욱 스토리의 몰입감이 높아진다.

웹툰과 현실의 만남

 <W>의 남자주인공 이종석은 드라마 속 웹툰 'W'를 뚫고 나온 '만찢남'이다.

의 남자주인공 이종석은 드라마 속 웹툰 'W'를 뚫고 나온 '만찢남'이다. ⓒ MBC


< W >가 이야기를 전개하는 방식은 유려하다. 극 중 만화작가 오성무(김의성 분)는 자신이 그린 웹툰 주인공 강철(이종석 분)이 자기 의지를 갖고 살아 숨 쉰다는 사실을 알고는 그를 죽이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 그의 딸 오연주(한효주 분)는 웹툰으로 끌려들어 가 강철의 세계를 경험하게 된다. 이 상황들의 얼개는 허술하지 않다. 그 이유는 등장인물들 역시 자신이 겪은 상황이 왜 일어나는지, 어떻게 그런 일이 생길 수 있는지 어리둥절하기 때문이다.

시청자들이 겪는 비현실을 그들도 그대로 경험하고 그대로 믿기 힘들어한다. 그러나 어떻게 그런 일이 생겼는지는 몰라도, 그 일은 현실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실재다. 등장인물들의 감정이 섬세하게 짜인 탓에 시청자들은 그들의 현실 속에 몰입할 여지를 얻게 된다. 이 몰입도는 상상 이상이어서 결국 이 드라마를 특별하게 여기게 하는 참신한 설정으로 다가오게 되는 것이다.

클리셰의 결정체, '만찢남' 이종석

 강철은 말 그대로 만화를 찢고 나온 남자라는 뜻의 '만찢남'이다. 그가 가진 설정 역시 그동안 수없이 만화나 영화에서 반복되어온 클리셰의 결정체다. 출중한 외모와 재력을 모두 갖췄고, 과거의 아픔도 있다.

강철은 말 그대로 만화를 찢고 나온 남자라는 뜻의 '만찢남'이다. 그가 가진 설정 역시 그동안 수없이 만화나 영화에서 반복되어온 클리셰의 결정체다. 출중한 외모와 재력을 모두 갖췄고, 과거의 아픔도 있다. ⓒ MBC


< W >는 이 과정에서 클리셰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강철은 말 그대로 만화를 찢고 나온 남자라는 뜻의 '만찢남'이다. 그가 가진 설정 역시 그동안 수없이 만화나 영화에서 반복되어온 클리셰의 결정체다. 출중한 외모와 재력을 모두 갖췄고, 과거의 아픔도 있다. 그 때문에 필연적으로 복수를 꿈꾸는 캐릭터이기도 하다. 이런 설정은 수없이 반복됐지만 그의 고민과 고통은 강철이 그저 웹툰 주인공이 아니라, 스스로 고민하고 고통받는, 자기 의지를 가진 인물이라는 점에서 특별하게 느껴진다. 그의 고민은 자신이 만화 주인공이라는 사실을 인지하는 데서부터 극대화된다. 이제까지 어떤 캐릭터가 그런 고민을 할 수 있었을까. 그는 비범함을 가장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실제로 드라마를 비범하게 만든다.

< W >의 전개는 예측불허다. 만화 주인공인 등장인물이 자신이 만화 주인공임을 깨닫는데 걸리는 회차는 단 4회로 충분했다. 그것도 여주인공 오연주가 그에게 직접 그 사실을 고백했다. 그가 사실을 인지한 순간 그의 세계는 멈췄고, 새로운 세계로 가는 문이 열렸다. 제2막의 시작이다. 그리고 그는 자신을 창조한 만화가를 증오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인다. 이제껏 그가 겪어온 모든 아픔은 그로 인해 창조되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이미 '자아'를 가져버린 그에게 설정값 운운하며 자신이 만들어낸 설정을 벗어날 수 없는 가상의 인물 취급을 하는 창조자에게 그는 더할 수 없는 분노를 느끼게 된다.

창조자와 피조물

자신이 만들어 낸 창조물이 살아 움직이는 황당함과 그 창조물이 겪고 있는 혼란스러움이 어긋나는 갈등상황은 엄청난 설득력을 가졌다. 두 사람의 입장이 동등하게 이해되기 때문이다. 다소 긴 장면과 대사들 사이에서도 몰입도는 충분했다. 결국 창조물은 창조주를 총으로 쏜다. 정의롭게 설정된 주인공의 설정값이 무너지는 순간이다. 이런 상황이 5회 만에 벌어졌다면 믿을 수 있을까. < W >는 앞으로의 상황을 어떻게 전개할지 걱정스러울 정도로 마치 다음 회가 마지막 회인 것처럼 이야기를 끝낸다. 이야기의 흐름은 오리무중이고 시청자들의 궁금증은 커진다.

스토리를 쓰다 보면 창조한 인물들이 자아를 가지고 제멋대로 행동하려는 의지가 생겨난다는 말이 있다. 작가 스스로 만든 인물임에도 성격이나 특징을 제어하기 힘들어질 때 쓰는 말이다. 다소 오버하면 캐릭터의 일관성이 없어지고, 그렇다고 캐릭터의 특징을 유지하면 이야기의 흐름이 중구난방이 된다. 이런 상황을 적절히 조율하는 것이 작가의 몫이다.

< W > 안에서는 이런 이야기를 극대화 시켜 아예 실제로 나타난 주인공을 내세웠다. 이 이야기가 이만큼 설득력이 있었던 것은 캐릭터와 스토리의 조화를 적절히 이뤄낸 작가의 힘이 컸다. <인현왕후의 남자>와 <나인> 등을 집필한 송재정 작가는 다시 한 번 차원 이동물을 선보이며 자신의 강점을 부각했다. 명작으로 꼽히는 <나인> 이상의 흡입력을 가지는 드라마로서의 마무리가 벌써 기대되는 것은 혼자만의 생각은 아닐 것이다. 공중파에서 이런 드라마가 시도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희열이 쉽게 가시지 않는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우동균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더블유 W 이종석 한효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