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인들 부산국제영화제 '보이콧' 경고 부산국제영화제(BIFF) 지키기 범 영화인 비대위는 21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시(시장 서병수)가 영화제의 자율성을 계속 부정한다면 올해 부산국제영화제 참가를 전면 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 영화인들 부산국제영화제 '보이콧' 경고 지난 3월 21일 부산국제영화제(BIFF) 지키기 범 영화인 비대위는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시(시장 서병수)가 영화제의 자율성을 계속 부정한다면 올해 부산국제영화제 참가를 전면 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 권우성


끝내 올해 부산국제영화제는 물건너 가는가.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등 9개 단체로 이뤄진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 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범 영화인 비대위)가 올해 열릴 부산국제영화제 참가를 거부한다고 18일 결의했다.

범 영화인 비대위는 "지난 4월 1일부터 일주일간 SNS와 전화설문을 통해 소속 회원 전원에게 찬반 의견을 묻는 투표를 실시했다"며 "각 단체별 회원 과반수 이상이 응답했고, 응답자 중 90%가 넘는 회원이 보이콧에 찬성했다"고 밝혔다

행사 참여 주체들이 보이콧을 공식함에 따라 오는 10월 6일부터로 예정된 올해 부산국제영화제에 직접적인 차질이 예상된다. 범 영화인 비대위는 "우리가 요구한 세 가지 중 그 어느 것 하나도 이행하지 않고 있다"며 "부산시는 오히려 부산국제영화제 신규 위촉 자문위원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유지하였고, 법원의 인용 판결을 얻어 임시총회를 통한 정관 개정을 무산시켰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범영화인 비대위는 "영화계가 이렇게 한목소리를 내는 것은 2006년 스크린쿼터 축소 반대 이후 10년 만"이라며 "부산시장의 조직위원장 사퇴와 부산국제영화제의 독립성 보장, 더 나아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기반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올해 부산국제영화제에 영화인들이 참석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 덧붙였다.

앞서 부산시는 부산영화제 집행위원회가 위촉한 68명의 신규 자문위원의 효력을 정지해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냈다. 신규 자문위원을 비롯한 106명의 회원들은 정관개정 위한 임시총회를 요구하고 있고 부산시는 외면 중이다. 부산법원은 지난 11일 가처분 신청을 인용하며 일단 부산시의 손을 들어줬다.

다음은 결의문 전문이다.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 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
2016년 부산국제영화제 참가 전면 거부 결의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 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범 영화인 비대위')가 2016년 부산국제영화제 참가 전면 거부를 결의했다. '범영화인 비대위'는 각 단체별 회원들에게 부산국제영화제 보이콧 찬반 여부를 묻는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과반수 이상의 응답자 중 90% 이상이  보이콧에 찬성해 부산국제영화제 참가를 전면 거부하기로 했다.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한국독립영화협회,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한국시나리오작가조합, 여성영화인모임, 영화마케팅사협회 이상 9개 영화 단체는 지난 4월 1일부터 일주일간 SNS와 전화설문을 통해 소속 회원 전원에게 찬반 의견을 묻는 투표를 실시했다. 각 단체별 회원 과반수 이상이 응답했고 응답자 중 90%가 넘는 회원이 보이콧에 찬성했다. 영화계가 이렇게 한 목소리를 낸 것은 지난 2006년 스크린 쿼터 축소 반대 이후 10년 만이다. 이는 영화계가 표현의 자유와 영화제의 독립성 훼손을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범 영화인 비대위'는 지난 2016년 3월 21일 기자회견을 통해 '서병수 부산 시장의 조직위원장 사퇴 즉각 실행과 부산국제영화제의 자율성 및 독립성을 보장하는 정관 개정', '부산국제영화제 신규 위촉 자문위원 68명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신청 철회와 부산국제영화제 부당간섭 중단', '부산국제영화제의 집행위원장 사퇴 종용, 총회 의결 없는 집행위원장 해촉 등 영화제를 훼손한 일련의 잘못에 대한 공개 사과와 재발 방지'를 요구한바 있다. 그러나 부산시는 '범 영화인 비대위'가 요구한 세 가지 중 그 어느 것 하나도 이행하지 않고 있다. 부산시는 오히려 '부산국제영화제 신규 위촉 자문위원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유지하였고, 법원의 인용 판결을 얻어 임시총회를 통한 정관 개정을 무산시켰다.

이에 '범 영화인 비대위'는 기자회견에서 밝힌 바와 같이 부산국제영화제 참가 전면 거부를 결의한 것이다. 2016년 10월 6일로 예정된 부산국제영화제가 6개월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 이런 극단적인 조치를 취하게 된 것은 유감스럽지만, 부산시장의 조직위원장 사퇴와 부산국제영화제의 독립성 보장, 더 나아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기반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올해 부산국제영화제에 영화인들이 참석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부산시의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는 원칙이 지켜져 모쪼록 영화제의 정상화가 이루어지길 강력하게 바란다.

2016. 04. 18.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 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

부산 BIFF 서병수 이용관 부산국제영화제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메가3같은 글을 쓰고 싶다. 될까? 결국 세상을 바꾸는 건 보통의 사람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