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아메리칸 사이코

영화 <아메리칸 사이코>(2000) 공식 포스터 ⓒ 길벗영화


하얀 바탕으로 진한 빨간 색의 피가 흐른다. 하얀 바탕은 곧 접시가 되고 피는 곧 먹음직스러운 스테이크의 핏물이 된다. 그곳은 상류층이 즐비한 레스토랑. 종업원인지 셰프인지 손님들에게 요리를 내주며 코스를 설명한다. 상류층으로 보이는 손님들은 경청한다. 그들의 행세가 매우 지질해 보인다. 학력도 매우 높을 테고 매우 잘살고 있으며 사회적 지위와 명망도 높을 테지만.

세상에서 가장 지질한 상류층 인간

영화 <아메리칸 사이코>는 이렇게 메시지를 던지며 시작한다. 피와 핏물의 동질성, 상류층의 지질함. 그리고 그걸 보는 제3자의 시선까지. 주인공 패트릭 베이트만(크리스찬 베일 분) 또한 이 상류층의 일원이다. 그는 아버지가 사장으로 있는 월스트리트 중심가 금융사 P&P의 부사장이다. 27세의 젊은이로, 학력도 높고 잘 생기고 돈도 많으며 무엇보다 자신을 잘 가꿀 줄 안다.

패트릭은 여지없이 초고층의 거의 꼭대기에서 근무하며, 순백색의 잘 가꿔진 집에서 산다. 자신을 매우 사랑하고, 그런 자신을 내세우기 좋아하며, 그 이상으로 남에게 지는 걸 싫어한다. 영화는 패트릭의 이런 일련의 특징들을 죽 보여준다.

규칙적인 운동 후 웬만한 여성보다 더 많은 스킨 케어 화장품으로 자신을 가꾼다. 그는 그런 자신을 누구보다 사랑한다. 그러곤 자신과 같은 부류의 사람들, 즉 아버지를 잘 둔 젊은 부사장들 모임에 참여해 그야말로 쓸데없는 이야기로 시간을 축낸다. 하지만 그들 자신에게는 그런 것들이 중요하다. 하나라도 더 아는 체하려는 것.

이들이 남에게 지는 걸 싫어하는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는 장면이 나오는데, 다름 아닌 명함 자랑이다. 형압으로 팠다느니, 계란 껍질을 이용했다느니, 그 어느 것보다도 예쁜 색깔이라느니. 명함을 건네는 것도 아니고 단순히 이번에 명함을 새로 장만했다고 자랑한다. 완전한 허세. 그런데 패트릭만이 각각의 명함 등급을 알아보고 혼자 손을 떨고 식은땀을 흘린다. 자신의 것보다 더 좋은 명함들을 보고서.

 영화 아메리칸 사이코

영화 <아메리칸 사이코> 속 상류층들은 명함으로 자신의 허세를 표현한다. 극 중 패트릭(크리스찬 베일 분)의 명함. ⓒ 길벗영화


우월함의 증명, 세상에 대한 증오, 결국 살인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이런 증세(?) 한 두 가지는 있을 것이다. 자신을 가꿔 내놓아 자랑하고 싶고, 또 그중에 제일이 되고 싶어 하는 마음. 절대 지지 않고 싶고, 졌다는 걸 알고도 내색하지 않으려는 의지. 일반적으로 같은 증세라도 해도 상류층이면 상류층다운 증세가 있을 거라 생각하지만, 영화는 정반대라고 말하고 있다. 상류층답게 지질의 급도 높다.

패트릭은 같은 일원이지만 제3자적 시선을 드러낸다. 다른 상류층 사람들의 급 높은 지질함을 안다. 그리고 자신은 그렇지 않다, 그들과 다르다 여긴다. 8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만큼 80년대 유수 노래들이 많이 나오는데, 모두 패트릭이 신봉해 마지않는 노래들이다. 패트릭은 수많은 노래를 듣고 비평한다. 이것은 그가 다른 이들보다 우월하다고 믿는 증거 중 하나이다.

이 격렬한 증세들과 더불어 우월주의는 결국 살인으로까지 이어진다. 노숙자를 살인하면서 시작된 살인 행각은 여성들로 이어진다. 그러는 와중에 돈으로 산 여자들과 섹스 비디오를 찍기도 하는데, 여지없이 나르시시즘의 모습을 보이고 자기 과욕이 극에 달한 모습을 보인다. 자신이 우월하다는 걸 증명해 보이려는 수작이다.

영화는 중반 이후가 되면서 패트릭의 엽기적인 살인 행각에 초점을 맞춘다. 자신을 제어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되지만, 스스로도 더는 손 쓸 도리가 없다. 같은 상류층에 있는 이들에 대한 증오와 함께 자신보다 아래에 있는 이들에 대한 증오, 즉 세상에 대한 증오가 뿌리 깊어진 것이다. 그는 어쩌다가 그렇게 된 것일까. 감독이 의도한 바는 무엇일까, 영화가 던지는 메시지는 무엇일까.

피해자도, 괴물도 많아졌다

 영화 아메리칸 사이코

패트릭의 우월주의는 살인으로까지 이어진다. 자신을 제어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되지만 스스로도 더는 손 쓸 도리가 없다. ⓒ 길벗영화




영화의 제목은 <아메리칸 사이코>다. 즉, 미국인 정신병자. 때는 80년대 냉정 막바지. 미국이 세계 패권을 손에 넣기 직전이다. 승리자가 된 것이다. 미국 상류층들이 누리는 호사는 상상을 초월한다. 돈, 명예, 명성, 특권, 약물, 여자…. 이들 대다수는 제대로 된 인성교육을 받지 않는다. 돈이면 모든 것이 해결되는 곳에서 인성 따위가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그런 상태로 최고의 위치에 오른다면 당연히 어떤 문제고 생기지 않을 수 없다. 그의 살인 행각은 최악으로 문제가 표출되는 방식이다. 인성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자기애(愛)만 드높다. 그러면서 같은 부류의 이들과 행하는 지질하지만 진지한 경쟁, 그 경쟁에서 이기지 못한 채 아래 부류의 이들과 행하는 자기 우월 표출 의식. 결국 경쟁과 우월 표출이 살인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패트릭도 피해자일까. 아니면 시대와 사회가 만들어낸 괴물일까. 영화가 던지는 중요하지만 협소한 메시지는 더욱 중요해지고 더 확대됐다. 피해자도 많아졌고, 괴물도 많아졌으며, 피해자이자 괴물인 이들도 많아졌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singenv.tistory.com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아메리칸 사이코 상류층 미국 괴물 자본주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冊으로 策하다. 책으로 일을 꾸미거나 꾀하다. 책으로 세상을 바꿔 보겠습니다. 책에 관련된 어떤 거라도 환영해요^^ 영화는 더 환영하구요. singenv@naver.com

오마이뉴스 스타팀에서 방송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