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장'. 흔히 '한국 드라마'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장르다. 출생의 비밀과 불륜, 배신과 복수가 난무하고 교통사고와 기억상실이 밥 먹듯 일어나는 스토리. 하지만 황당한 전개와는 별개로 이런 자극적인 소재를 잘 버무린다면 시청률과 화제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기에 글을 쓰는 작가와 연출을 맡는 PD, 그리고 편성권을 손에 쥔 방송사도 이를 쉽게 포기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그래서 <내 딸 금사월>과 같은 '자기복제 막장 드라마'가 여전히 30~40%의 시청률을 기록하고, 어디선가 본 듯한 비슷한 드라마들이 브라운관을 점령하고 있다. 그럼에도 완성도 높은 드라마에 대한 수요는 분명 존재한다. 이런 시청자의 바람에 응답하고 있는 대표적인 드라마 작가 3인방을 꼽아봤다.

장르물의 '일인자', <시그널> 김은희 작가

 <시그널> 김은희 작가는 국내 장르 드라마의 1인자라 불린다.

<시그널> 김은희 작가는 국내 장르 드라마의 1인자라 불린다. ⓒ SBS, tvN


장항준 감독의 아내로 먼저 이름을 알린 김은희 작가는 이제 '드라마 좀 본다'는 시청자 사이에서 가장 유명한(?) 인사가 됐다. tvN <위기일발 풍년빌라>를 시작으로 SBS <싸인>과 <유령> <쓰리데이즈>를 거쳐 최근 <시그널>까지. 줄곧 장르 드라마를 고집해온 그녀의 '뚝심'에 대중들도 환호를 보내고 있다.

김은희 작가의 장점은 독특한 소재를 특유의 긴장감 넘치는 흐름으로 풀어내면서도 대중들이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게 뽑아낸다는 것이다. 장르물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촘촘한 구성력과 시청자의 허를 찌르는 반전, 예측할 수 없는 결말은 덤이다. 비록 시청률에서는 큰 재미를 못 본 작품도 있지만,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위해 과감히 로맨스를 포기할 줄 아는 용기(?)가 있기에, 어느덧 '믿보작(믿고 보는 작가)' 반열에 올랐다.

한 번도 안 본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본 사람은 없다는 <시그널>에 대한 세간의 관심에 비춰본다면, 적어도 지금 이 시점에서 '장르물의 일인자'라는 칭호는 결코 그녀에게 아깝지 않을 것이다. 앞으로도 그녀가 천편일률적인 드라마 시장에서 촉촉한 '단비'같은 존재로 남아주길 기대해본다.

감성 사냥꾼, <응답하라> 시리즈 이우정 작가

 <응답하라> 시리즈 이우정 작가는 세상과 사회를 향한 따뜻한 시선을 작품에 담아낸다.

<응답하라> 시리즈 이우정 작가는 세상과 사회를 향한 따뜻한 시선을 작품에 담아낸다. ⓒ 김윤정


드라마 작가가 갖춰야 할 덕목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사회와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이 아닐까 싶다. 그래야 대중들로부터 공감을 얻고 때로는 그들의 지친 마음을 어루만져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실을 직시하는 날카로운 시선도 물론 좋지만, 그것에만 기대 드라마를 만든다면 왠지 오래 보고 싶은 마음은 생겨나지 않는다.

이우정 작가의 경우에는 드라마 작가가 아닌 예능 작가로 입문했다. 그 덕분인지 무엇보다 그녀는 대중의 감성을 자극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응답하라 1988>이 <응답하라 1997>과 <응답하라 1994>를 뛰어넘는 인기를 얻을 수 있었던 이유로는 단순한 '남편 찾기'를 벗어나 가족과 이웃에 대한 사랑과 정을 부각했기 때문이다. 이런 선택이 드라마 전반을 지배하는 온기로 이어져 시청자의 감성을 자극했다고 볼 수 있다. 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만약 이우정 작가가 <응답하라> 시리즈가 아닌 다른 드라마로 시청자를 찾아온다 하더라도, 그녀만의 '감성 사냥꾼' 본능에 충실하게 이야기를 풀어나간다면, 그 성공 가능성은 충분히 높을 것이라 생각한다.

흥행불패, <태양의 후예> 김은숙 작가

 '시청률 보증수표'라 불리는 김은숙 작가는 뻔한 설정을 흥미롭게 풀어내는 능력이 탁월하다.

'시청률 보증수표'라 불리는 김은숙 작가는 뻔한 설정을 흥미롭게 풀어내는 능력이 탁월하다. ⓒ SBS,KBS




오글거리지만 재밌다. 드라마계의 '흥행 보증수표' 김은숙 작가는 긴 설명이 필요 없다. 뻔한 사랑 이야기를 아주 흥미롭게 풀어내는 능력이 탁월하다. 그것도 아주 유치하지만, 그 유치함을 넘어서는 흡입력과 재미가 있다. 이건 '욕하면서 보는' 여타의 막장 드라마와는 또 다른 지점에 있는 김은숙 작가만의 세계다.

<파리의 연인> <시크릿 가든> <신사의 품격> <상속자들>을 거쳐 최근 <태양의 후예>까지. 무엇보다 그녀는 발랄하고 에너지 넘치며,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을 거 같은 캐릭터를 창조해내는 능력이 뛰어나다. 그리고 그런 동화 속에나 존재할 거 같은 캐릭터를 통해 대리만족을 선사하고, 일종의 판타지를 보여주는 것에도 능숙하다. 불편하지 않게, 식상하지 않게.

일각에서 '자기복제'라는 비판도 받고 있지만, 시청률이라는 지표만 놓고 보자면 김은숙 작가는 대중의 취향을 가장 잘 파악하는 작가 중 한 명이 분명하다. 게다가 특별한 악역 없이, 거의 모든 캐릭터가 사랑받을 수 있도록 조절할 줄 아는 그녀의 균형감은 분량 문제로 시끄러운(?) 요즘 특히 눈여겨 볼만한 대목이 아닐까 싶다.

이 외에도 <별에서 온 그대>와 <프로듀사>를 집필하며 아시아 시청자들의 마음으로 사로잡은 박지은 작가, <추적자> <황금의 제국> <펀치> 등 묵직한 존재감을 보여준 박경수 작가 또한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는 작가들이다. 이들 작가의 선전은 막장에 지친 대중들의 갈증을 조금이나마 해소해주고 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박창우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saintpcw.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김은희 김은숙 이우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