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방황하는 칼날>의 포스터

영화 <방황하는 칼날>의 포스터 ⓒ 에코필름


여기 중학생 딸을 성폭행으로 무참하게 잃은 아버지가 있다. 경찰은 아버지에게 "기다리라"고만 할 뿐, 범인 검거는 오리무중이다. 결국 참다못한 아버지가 직접 범인을 응징하기 위해 나선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 <방황하는 칼날>은 이제 한국 관객에게 더 이상 파격적인 소재가 아니다. 미성년자, 강간범에게 유독 처벌이 약한 공권력을 대신하여 '사적 복수'에 나서는 성범죄 피해자 부모들의 이야기는 이미 <돈 크라이 마미> <공정사회>에서 다뤄진 바 있다.

한국 영화로서는 성폭행을 소재로 한 후발 주자에 속하는 <방황하는 칼날>은 딸을 잃은 부모의 사적 복수의 카타르시스보다 직접 가해자를 처벌하는 피해자 부모에 대한 판단의 딜레마를 주입시킨다.

 영화 <방황하는 칼날>의 한 장면

영화 <방황하는 칼날>의 한 장면 ⓒ 에코필름


딸 잃은 상현(정재영 분)과 동등한 비중으로 영화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하는 이는 살해 용의자로서 상현을 쫓을 수밖에 없는 형사 억관(이성민 분)이다. 잔혹한 범죄를 저질렀음에도 미성년자라는 이유로 미약한 처벌에 그치는 현실에 답답함을 느끼는 억관은 그럼에도 상부의 명령으로 상현을 체포해야 한다.

<방황하는 칼날>은 범인을 잡으려 먼 길을 떠난 남자와 그 남자를 잡을 수밖에 없는 또 다른 남자의 대결 구도를 명확히 드러내고자 했으나, 영화가 힘을 실어주는 쪽은 딸을 잃은 상현의 아픔이다. 상현을 체포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와중에도 "내가 상현이라도 직접 범인을 죽였을 것"이라고 소신을 밝히는 현수(서준영 분)는 경찰이기 앞서, 부조리한 상황에 분노하는 평범한 시민에 가깝다.

'사적 복수'를 감행하는 미성년자 성범죄 피해자 부모의 이야기만으로 새로울 것 없는 소재를 흥미롭게 하는 것은 정재영, 이성민의 관록이 묻어나는 연기다. 정재영이 온몸으로 딸 잃은 아버지의 애끓는 부성애를 분출한다면, 이성민은 절제된 감정으로 성현의 무모하면서도 안타까운 복수를 마냥 지켜볼 수밖에 없는 관객의 입장을 대신한다. 복수의 자극적인 설정보다 형식적 법치주의의 모순이 두드러지는 영화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권진경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너돌양의 세상전망대)와 미디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게재를 허용합니다.
방황하는 칼날 정재영 이성민 성범죄 영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로 지금 여기에서 여성의 눈으로 세상을 보고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