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사진

#도파민

(왼쪽위)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양면구조 올인원 탐침의 적층 구조 (중간위) 제작된 탐침의 사진 이미지 및 뇌 모형에 삽입된 탐침 이미지 (오른쪽위) 도파민 농도를 측정하는 작업 전극의 산화아연 기반 3차원 나노로드 구조 (왼쪽아래) 도파민 농도에 따른 전류 변화량. 해당 그래프는 탐침의 성능 중 민감도(sensitivity)를 나타냄. 파란선과 초록선의 차이는 효소의 유무에 의해 결정됨 (중간아래) 방해종 단백질에 대한 노이즈 분석 그래프. 해당 그래프는 탐침의 성능 중 선택성(selectivity)를 나타냄. (오른쪽아래) 뇌 삽입 후 시간에 따른 탐침의 민감도 그래프. 해당 그래프는 탐침의 성능 중 장기간 안정성(longivity)를 나타냄.

ⓒDGIST 제공2023.11.27
댓글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

오마이뉴스 취재후원

관련기사

용산 대통령실 마감하고, 서울을 떠나 세종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진실 너머 저편으로...

독자의견

회원 의견 0개가 있습니다.

맨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