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자전거 도로에 지렁이 사체가 널부러져 있다.
▲ 자전거 길의 지렁이 떼죽음 자전거 도로에 지렁이 사체가 널부러져 있다.
ⓒ 신경민

관련사진보기


지렁이들이 죽고 있다. 무더운 폭염 아래, 아스팔트 위에서 말라비틀어진 지렁이를 여러 마리 발견했다. 눈, 코, 귀, 팔다리가 없는 지렁이는 흙 속에서 흙 사이사이의 공기를 피부로 호흡한다. 비가 오면 빗물이 이 구멍들을 막는다. 지렁이는 비가 오면, 숨을 쉬기 위해서 땅 밖으로 나온다.

최근 비가 자주 내렸다. 그때마다 지렁이는 살기 위해 땅 위로 머리를 내민다. 요즘 비가 그치면 금방 햇빛이 쏟아진다. 햇빛은 지렁이의 수분을 빼앗는다. 아스팔트 위의 지렁이는 빠르게 땅 속으로 돌아가야 한다. 그러나 돌아가지 못한 지렁이는 아스팔트 위에서 대다수 죽음을 맞이한다.

지렁이가 땅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지렁이가 아스팔트를 뚫을 수 없는 것은 지당한 사실. 흙을 찾아야 하는데 일단 눈이 없다. 피부로 흙을 감지하며 살기 때문에 진화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왔던 길을 되돌아갈 수도 없다. 발이 없기 때문이다. 지렁이는 근육의 수축, 이완으로 앞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결국, 앞으로만 이동하던 지렁이는 강렬한 햇빛에 수분을 모두 빼앗겨 말라비틀어진다.

지렁이는 일명 '흙의 파수꾼'이다. 썩은 잎이나 죽은 뿌리, 흙 속의 미생물 등을 먹고 뱉으며 토양을 비옥하게 만든다. 지렁이가 만든 수많은 구멍은 비가 내릴 때 저수기 역할을 해서 산사태를 막아주기도 한다.

일상생활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데 유용하다. 진화론의 아버지 찰스 다윈은 지렁이를 "지구에서 가장 뛰어난 노동자"라고 추앙했다. 지렁이는 이로운 일을 많이 하는 흙 속의 파수꾼인 셈이다.

현재 전 세계에 보고된 지렁이는 6000여 종이라고 한다. 그중 한반도에는 200여 종이 남아 있다. 이마저도 사라지고 있다. 1930~1960년대 쉽게 보았던 종을 지금은 찾을 수 없다고 한다. 급격한 개발과 토양 오염에 따른 결과다.

비가 온 후, 아스팔트 위에 죽어 있는 지렁이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지렁이는 땅을 비옥하게 만드는 이로운 생물이다. 폭염 속에서 지렁이는 고군분투하고 있다. 어제는 한강에서 둘둘 감은 종이로 지렁이를 흙 위로 밀어주던 사람을 발견했다. 지렁이를 위한 구출작전이 필요하다는 고민에서 이런 움직임이 시작되지 않을까.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개인 블로그에도 게재됩니다.


태그:#지렁이, #기후위기, #기상이변, #폭염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