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북 청도 와인 터널 옆 대적사 가는 길에는...
 경북 청도 와인 터널 옆 대적사 가는 길에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길을 걸었습니다. 한 걸음 한 걸음 내딛을 때마다 낙엽이 반응합니다. 발로는 낙엽을 밟습니다. 귀로 낙엽 밟히는 소릴 듣습니다. 그런데도 낙엽 밟는 소릴 표현할 수가 없습니다. 아직까지 미천한 삶의 한계입니다. 이는 제가 세상을 더 살아야 할 이유이지요.

경북 청도 여행의 핵심은 비구니 수행도량 '운문사'입니다. 그러나 아는 게, 보이는 게 다가 아니데요. 우리네 삶에 수많은 숨은 고수들이 있듯, 절집에도 다양한 멋스러움이 존재하대요. 이걸 알기까지 51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익을수록 고개 숙인다!'고, 삶이 겸손해야 할 까닭이지요.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대적사 가던 길

길을 걸었습니다. 낙엽이 밟혔습니다. 그런데...
 길을 걸었습니다. 낙엽이 밟혔습니다. 그런데...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청도 와인터널 입구에서 왼쪽 길로 조금 오르면 대적사가 있다. 대적사에 가자."

공덕진·김남숙 부부의 안내에 따랐습니다. '대적사' 가던 길. 어디에선가 연기가 모락모락 피어나고 있습니다. 연기는 추억 속 향수를 자극했습니다. 아내 또한 추억이 그리웠나 봅니다.

"연기를 보니 생각나는 이야기 하나가 있네요."

연기에 홀렸을까. 아내 입에서 예상 못한 이야기가 흘러나왔습니다. 아내가 꺼낸 이야기는 <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한시 이야기>(26~32쪽)였습니다. 그중, 두 번째 이야기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였지요. 다만, 이를 자신의 입맛에 맞게 각색했더군요.

산 속에 있는 절 표현하기, 그림대회 1등은?

경북 청도 대적사 절집 계단 사이에 꽃이 피었습디다!
 경북 청도 대적사 절집 계단 사이에 꽃이 피었습디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그림을 사랑했던 어느 황제가 이런 제목으로 그림대회를 열었대요. '산 속에 있는 절 표현하기!' 그림대회에 참여한 화가들 대부분은 숲속에 절집을 그리거나, 탑이 솟아 있는 풍경을 그렸대요. 황제 마음에 든 그림이 없었대요. 황제는 마지막으로 한 화가가 제출한 그림을 보고서야 웃더랍니다. 그 화가는 무엇을 그렸을까요?

화가는 다른 화가들과 달리, 절집 대신 깊은 산속 오솔길에 스님 한 분이 물동이를 이고 올라가는 모습을 그렸대요. 황제는 비록 절을 그리지 않았지만, 물 길러 나온 스님을 보고 가까운 곳에 절이 있는 걸 알아 챈 겁니다. 이는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란 의미지요."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산 속에 절만 있는 그림은 '절이 있다'는 느낌에 그칩니다. 하지만 물 길러 나온 스님을 보면, 찻물 용도인지, 공양 지을 용도인지, 혹은 그 스님께선 도를 통했을지 등 많은 상념을 떠올리게 합니다. 하여튼, 아내는 끝난 줄 알았던 이야기에 자신만의 해석을 덧붙였습니다.

"절집으로 올라가는 산 입구에서, 산으로 올라가는 동자승 모습과 산 속 굴뚝에서 연기가 나는 모습을 그리는 것도 산 속에 절집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거지요. 무엇이든 창의적인 생각이 필요하다는 거죠."

와인터널 옆으로 난 길을 한참 올라야 절집이 나오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와인터널 입구 푯말에 쓰였듯, 대적사는 말 그대로 진짜 100여m 거리였습니다. 산사를 오르는 길에 들리는 낙엽 바스락 거리는 소리는 가을 교향곡이었습니다. 가을 산사는 고즈넉했습니다.

"계십니까? 스님, 차 한 잔 마시러 왔습니다!"

이렇게 '절이 있는 풍경' 그림을 그려도 상 받았을 것 같다는...
 이렇게 '절이 있는 풍경' 그림을 그려도 상 받았을 것 같다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대적사. 극락전 보물 제836호. 신라 헌강왕 2년(876년) 보조선사가 토굴로 창건해, 고려 초기 봉양이 중창하였다."

헉! 이를 어째? 은연 중 '대적사'를 무시했나 봅니다. 보물에다, 보조선사와 인연까지 간직하고 있었습니다. 절집 뒤편으로 올랐습니다. 요사채가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계십니까? 스님, 차 한 잔 마시러 왔습니다."

누군가 문을 열고 나왔습니다. 벙거지를 눌러쓴 백발의 스님이었습니다. 흰 눈썹이 휘날리는 걸 보니, 성질 꽤나 있으시겠다, 싶었습니다.

"뉘신데 차를 달라는 겁니까?"

역시나 까칠함이 엿보였습니다. 보이는 게 다가 아니나 봅니다. 까칠하신 스님은 근현대 선풍 진작의 중흥조인 경허, 만공스님의 덕숭 문중 법맥을 잇는 속리산 법주사의 총지선원장 등을 역임한 진광스님이었습니다. 선문답, 배움을 청했습니다.

"왜, 절집 홈페이지 스님 소개란에 '득도'를 밝히는 거죠?"
"..................."

"스님, 득도(得道)란 무엇입니까?"
"..................."

스님께선 차와 대답 대신 손수 오죽 지팡이를 만들어 주셨습니다. 그리고 죽순이 피어날 때 연락하라 하셨습니다. 아둔한 중생입니다. 나무 석가모니불!

진광스님께서 차와 대답 대신 손수 오죽 지팡이를 만들어 주셨습니다.
 진광스님께서 차와 대답 대신 손수 오죽 지팡이를 만들어 주셨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제 SNS에도 올릴 예정입니다.



태그:#청도 대적사, #진광스님, #공덕진 김남숙 부부, #와인터널, #연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