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양반들의 수탈이 극에 달했던 조선조 말 장시는, 한 때 전국적으로 상당한 숫자가 개설되어 있었다. <만기요람>에는 19세기 초 우리나라 장시는 8도 327개 군, 현에 1061개의 장시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임원경제지>를 살펴보면 순조 30년인 1830년에는 전국에 1052개의 장시가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장시가 조선조 말에 들어서는 단순히 장의 기능만을 갖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조선조 말의 장시의 형태는 금전을 이용한 거래보다는 농민이나 수공업자들이 서로 물건을 갖고나와 필요한 물건으로 바꾸는 물물교환의 형태로 거래가 되었다. 이 당시의 장시에는 비슷한 처지의 민초들이 모여서 양반들을 비판하거나, 나라의 정책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장소이기도 했다. 양반들의 수탈과 과도한 조세 등에 불만을 품던 민초들은, 이러한 불만이 쌓이다가 보면 장날과 장터가 집회의 날과 장소가 되기도 했다. 즉 장시가 장의 기능 외에도 정치적 기능도 갖고 있었다는 점이다.

정읍은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난 발상지다. 양반들의 무리한 조세포탈에 항거하여 일어난 농민군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동학농민혁명 기념관.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에 자리하고 있는 이 기념관은 조선조 말 장시를 소개하고 있다. 테마인형으로 처리한 이 장시의 모습은 지1전시실 1층 <19세기 조선과 자각하는 농민들>이란 주제로 전시가 되어있다.

조선조말의 장시는 5일장, 7일장, 10일장 등 다양한 형태의 장이 있었다.
▲ 장터모습 조선조말의 장시는 5일장, 7일장, 10일장 등 다양한 형태의 장이 있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장으로 몰려드는 사람들은 필요한 물건을 구입하기 위해 장으로 향한다. 지금처럼 냉장시설 등이 준비되지 않았던 당시에는, 5일마다 장에나가 생필품을 구입하는 일이 집안에 큰 일 중에 하나였다. 사람들은 장으로 나와 정보를 얻기도 하고, 사람들과 교류를 하기도 했다.

장시의 기능 중 하나는 우시장이다. 물론 우시장은 장에서 거리를 두고 있기도 하다.
▲ 우시장 장시의 기능 중 하나는 우시장이다. 물론 우시장은 장에서 거리를 두고 있기도 하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과거 장시에서 우시장은 어디보다도 중요한 장터의 기능 중 한 곳이다. 농사를 천직으로 알고 지내던 사람들은 소가 재산목록 1호이기 때문이다. 비교적 새벽장으로 서는 우시장은 일반장보다 일찍 끝난다. 우시장에 관한 장 이야기는 우리나라에 상당히 많이 전한다. 그만큼 소라는 짐승이 우리에게 주는 혜택이 많기 때문이다.(사진은 보호유리상자 속에 있는 인형을 찍었기 때문에 글자가 비춘 형태입니다)

주막집은 장시에서 가장 중요한 소통창구이다. 이 주막집에서 모든 일이 준비가 된다
▲ 주막집 주막집은 장시에서 가장 중요한 소통창구이다. 이 주막집에서 모든 일이 준비가 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주막집만큼 장에서 필요한 곳도 없다. 주막은 바로 민초들의 불만을 털어놓을 수 있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주막을 중심으로 토론이 되고, 이곳에서 사발통문이 나가기도 한다. 모든 집회 등이 바로 이 주막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장시에는 노천에 물건을 진열하기도 하지만, 정해진 점포를 갖고 있기도 하다.
▲ 지게상 장시에는 노천에 물건을 진열하기도 하지만, 정해진 점포를 갖고 있기도 하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장시에는 난장이 많다. 노천에 물건을 진열하고 파는 장사꾼들이 많지만, 정해진 점포를 이용해 물건을 진열하고 파는 사람들도 있다. 노천 난장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장돌뱅이'라고 부르는데, 이들은 각 장을 돌아다니면서 물건을 파는 사람들이다. 그런 것에 비해 점포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장돌뱅이들의 부러움을 사기도 했단다.

조선조말의 전라도에는 수많은 명창들이 있었다. 정읍과 가까운 고창에는 신재효라는 판소리를 정리한 중요한 인물이 살던 곳이다.
▲ 소리판 조선조말의 전라도에는 수많은 명창들이 있었다. 정읍과 가까운 고창에는 신재효라는 판소리를 정리한 중요한 인물이 살던 곳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장에서 소리를 하는 소릿광대
▲ 판소리 장에서 소리를 하는 소릿광대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장터에서 소리를 하는 모습이다. 조선조 말에는 우리나라 판소리사에 가장 많은 소리꾼들이 전국을 무대로 삼아 소리판을 형성한 시기이기도 하다. 소리꾼들은 동굴이나 폭포 등으로 가서 몇 년을 소리공부를 하다가, 득음을 하면 장터 등으로 나온다. 많은 사람이 모여있는 곳에서 소리 한 대목으로 명창반열에 들기도 했다.

장은 많은 이야기들이 전하는 곳이다. 그리고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이 모여 서로 공감대를 형성하는 곳이기도 하다. 그래서 장은 그냥 물건을 사고파는 곳이 아니라, 우리의 모든 정치, 경제, 사회, 문화가 집약되어 있는 작은 형태의 나라가 된다.      


태그:#장시, #조선조 말, #동학농민혁명기념관, #전시, #집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