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인천평화복지연대 등 시민단체 16개로 구성한 인천참여예산네트워크는 지난해 3월 31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단 4조원 퓨처시티 투자 유치의 의혹을 밝히라'고 요구했다. 퓨처시티는 나중에 스마트시티로 바뀌었다.
▲ 검단스마트시티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인천평화복지연대 등 시민단체 16개로 구성한 인천참여예산네트워크는 지난해 3월 31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단 4조원 퓨처시티 투자 유치의 의혹을 밝히라'고 요구했다. 퓨처시티는 나중에 스마트시티로 바뀌었다.
ⓒ 김갑봉

관련사진보기


인천 야권이 검단스마트시티 사업 무산을 비판하고 나섰다. 검단스마트시티 사업은 지난해 4월 치러진 서구강화군(을) 국회의원 재선거의 최대 쟁점이었기 때문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이 지난해 3월 초 두바이 출장을 다녀온 뒤, 인천시는 두바이자본을 유치해 답보 상태인 검단신도시 사업을 해결하고, 직접고용인원 5만 명을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검단 내 신규 입주기업의 매출액도 1조 원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그 때 검단신도시가 속한 서구강화군(을) 재선거가 시작됐고, 검단스마트시티 사업 유치 건은 이 지역 최대 쟁점으로 부각했다.

당시 안상수(새누리당) 후보는 이 검단스마트시티 유치를 이어받아 검단경제자유구역 지정을 공약으로 내세웠고, 당선됐다. 이 때문에 선거 과정에서 '관권 선거'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

검단스마트시티 사업이 무산됐다는 소식이 전해진 3일, 더불어민주당 인천시당은 논평을 통해 "검단스마트시티는 지난해 4월 재선거용으로 급조된 측면이 강했다. 반면, 두바이투자청의 진정성과 투자능력은 의문이 많았고, 게다가 국내 다른 도시에 제안했다 취소된 사업이란 점도 경고했다"며 "이런 염려를 다 해결할 수 있을 것처럼 밀어붙이더니 결국 무산되고 말았다"고 주장했다.

더민주 인천시당은 "사업 무산으로 검단 개발을 학수고대했던 주민들의 분노가 상당할 전망이다. 유 시장이 책임져야한다"며 "유 시장은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 과정을 공개하고 결과적으로 시민을 속인 것에 대해 즉각 사과한 뒤 관련자를 문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투자유치부서 아닌 비서실 추진, 시장이 해명해야"

정의당 인천시당 또한 논평을 발표해 "검단스마트시티 사업은 작년 재선거에 즈음해 선거용이라는 의혹이 강했다. 게다가 정상적 투자유치부서도 아니고 유정복 시장의 비서라인이 추진한 작품이었다"며 "협상 전 과정을 유정복 시장이 직접 해명해야 한다. 해명할 것은 해명하고, 책임질 부분은 책임져야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시는 지난해 4조 원 규모의 투자 유치를 추진하면서 시의 투자유치 전담 부서인 투자유치단을 가동하지 않았다. 이 투자유치단과 인천경제자유구역청 투자유치본부, 인천도시공사 투자유치처를 총괄하는 투자유치기획위원회도 가동하지 않았다.

이는 시가 2014년 인천경제자유구역 미단시티에 홍콩 주대복 그룹의 투자 유치를 이끌어낼 때 투자유치기획위를 가동했던 것과 대조를 이뤄 의혹을 낳았다.

시의 투자유치 과정에서 전담 부서인 투자유치단은 빠진 대신 시장 비서실이 진두지휘했다. 시는 이 같은 의혹에 대해 '내부 협의 중인 두바이투자청의 투자유치 행보가 이뤄지면 투자유치단이 나설 것'이라고 했고, 유 시장의 두바이 출장 후 3개월이 지나서 투자유치단으로 업무를 이양했다.

정의당 인천시당은 "유 시장은 검단스마트시티 사업 추진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결과적으로 시민을 속인 것을 사과한 뒤 관련자를 문책해야 한다"며 "검단스마트시티로 부동산시장이 들썩였던 만큼, 사업 무산으로 주민 피해가 상당할 전망이다. 스마트시티를 공언한 유 시장이 책임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시사인천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검단스마트시티, #유정복, #제2중동붐, #검단새빛도시, #스마트시티두바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