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 발인 모습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 발인 모습
ⓒ 신문웅

관련사진보기


'성완종 리스트' 파문이 금융권으로도 번졌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금융당국 전·현직 고위 간부에게 금품 로비를 한 정황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특히 성 전 회장은 경남기업이 부실화된 상황에서 금융당국 수장과 은행장 등 금융권 고위급 인사들을 집중적으로 만났다.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당시 은행들에게 무리한 대출을 요구하며 불법 로비를 했는지 의혹이 커지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성 전 회장은 지난 2013년 10월 경남기업의 3차 워크아웃을 전후해 금융당국과 금융권 고위급 인사들을 접촉했다. 성 전 회장은 자신의 다이어리에 당시 워크아웃을 앞두고 신제윤 전 금융위원장과 최수현 전 금융감독원장을 만났다고 기록했다. 그해에만 신 전 위원장과 4차례, 최 전 원장과 6차례에 걸쳐 만났다.

최 전 원장의 경우 3차 워크아웃 직전 성 전 회장이 주관하는 충청포럼 행사에도 참석했다. 2013년 8월 26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서산장학재단 주관 세미나에는 최 전 원장과 당시 조영제 금감원 부원장도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바로 다음달 성 전 회장은 담당 금감원 기업금융개선국장이었던 김진수 전 금감원 부원장보를 국회 의원회관으로 불러 따로 만나기도 했다. 감사원은 김 전 부원장보가 경남기업에 유리한 결정을 내리도록 신한은행 등 채권단에게 압력을 행사한 정황을 포착, 검찰에 관련 자료를 제출한 상태다.

<조선일보>는 이날 검찰이 성 전 회장이 금융위와 금감원, 국세청 등 소속 전·현직 고위 간부 4, 5명에게 거액의 금품을 제공한 내용을 담은 로비 자료를 확보했다고 보도했다.

금융위 "경남기업 워크아웃에 직접 개입 안 해"

금융당국은 성완종 리스트 불똥이 튈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금융위 고위관계자는 이날 "이번 사안과 관련해 일체 발언하지 말라는 얘기가 나왔다"며 조심스러워 했다. 이 관계자는 "지금으로선 (금품 수수에 관한) 사실 관계를 정확히 모른다"며 "다만 경남기업 워크아웃은 채권단과 금감원이 하는 일이고 금융위가 직접 개입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은행들도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채권단이 경남기업에 빌려준 돈은 모두 1조3000억 원에 이른다. 수출입은행이 5207억 원으로 가장 많고, 신한은행 1761억 원, 산업은행 600억 원, 농협은행 522억 원, 수협중앙회 455억 원, 국민은행 421억 원, 우리은행 256억 원 순이다. 특히 신한은행은 3차 워크아웃 직전 900억 원을 대출해줬다. 사실상 자기자본 잠식에 빠진 경남기업에 이해하기 어려운 대출, 특혜성 지원을 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워크아웃 과정에서 채권단은 1000억 원을 출자 전환하면서 주식을 할인 없이 당시 액면가인 5000원으로 매겼다. 워크아웃 기업엔 당연히 따라야 할 대주주 주식의 지분 축소(감자)도 없었다. 게다가 경영이 정상화될 경우 성 전 회장이 주식을 우선으로 살 수 있는 우선매수청구권까지 줬다.

이에 신한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에서 검사하고 있기 때문에 따로 내놓을 공식 입장은 없다"며 말을 아꼈다.

금감원은 "경남기업은 특수한 경우가 아니다"라고 단언했다. 금감원 한 관계자는 "과거 동부메탈도 자본 잠식 상태였고 출자 전환을 하면서 감자를 하지 않았다"며 "지배구조가 무너지면 구조조정이 힘들어서 여러 이유로 감자를 안 하는 사례가 많다"고 설명했다.

한편 성 전 회장은 워크아웃을 전후해 경남기업의 주채권 은행 수장들과도 집중적으로 접촉했다. 당시 NH농협지주 회장이었던 임종룡 금융위원장을 비롯해 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김용환 전 수출입은행장, 홍기택 산업은행지주 회장 등이다.

한 시중은행 전직 행장은 "우리는 경남기업에 당시 신규 대출을 하지 않았는데, (경남기업에게) 간접적인 압박을 받았다"며 "당시 사업 상태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은행장들에게도 이런저런 요청을 강하게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 편집ㅣ손병관 기자



태그:#성완종, #경남기업, #신한은행, #신제윤, #최수현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