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13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통계 기준 변경으로 당초 예상보다 높게 나타났다. 1인당 국민소득(GNI)은 2819만 원(2만 6205달러) 정도로 집계됐지만 실질적 '개인 돈'인 1인당 개인 총처분가능소득(PGDI)는 한국 돈으로 1580만 원 선에 그쳤다.

한국은행은 26일 '2013년 국민계정 잠정치'를 통해 지난해 실질 GDP가 2012년에 비해 3.0% 성장했다고 밝혔다. 한은이 1월 발표한 속보치보다 0.2%p 늘어난 수치다. 명목 GDP는 1428조 3000억 원으로 전년에 비해 3.7% 늘었다.

정영택 한은 경제통제국장은 "새 국제기준에 따라 연구개발(R&D)을 투자로 적용하면서 자산의 범위가 넓어졌다"면서 "미국, 호주, 캐나다 등의 국가들도 새 기준 적용으로 GDP 성장률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통계 작성방법' 국제 기준으로 바꾸면서 GDP·GNI 동반 증가

3.0% 성장은 지난 2012년 성장률에 비해 0.7%p 높은 수치다. 한은이 이날 공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을 견인한 것은 민간소비(2.0%)와 건설투자(6.7%), 투자 및 수출(4.3%) 등이었다. 설비투자는 지난 2012년보다 1.5% 감소했다.

이번부터 새롭게 적용된 국민계정 작성법도 GDP 통계 수치에 영향을 미쳤다. 한은은 국민계정 통계 기준년을 2005년에서 2010년으로 개편하고 새로운 국민계정체계(2008 SNA)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새 체계에서 가장 달라진 것은 자산 범위가 넓어졌다는 점이다. 이전에는 GDP에 포함되지 않던 R&D 비용과 오락·문화작품 등의 지식재산 생산물, 무기시스템이 모두 자산으로 처리됐다.

이전에는 가공무역 부문의 수입과 수출 구분이 국경선을 기준으로 정해졌었지만 바뀐 체계에서는 소유권이 기준이다. 외국에서 생산된 한국 업체의 완제품을 국내로 들여오더라도 수입으로 잡히지 않는다.

GDP는 총투자와 총소비, 총수출을 더한 것에서 총수입을 빼서 집계하기 때문에 통상 자산이 늘고 수입이 줄어들게 되면 GDP는 자연스럽게 늘어나게 된다. 특히 한국의 경우 GDP 대비 R&D 비중이 세계 3위 수준이라 바뀐 기준이 GDP 증가에 상당히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정 국장은 "R&D가 부가가치 항목으로 처리되면서 명목 GDP가 7.8% 늘었다"면서 "R&D 부문 기여도 3.6%p를 포함, 2008년 SNA 이행이 5.1%p 영향을 미쳤고 센서스 등 기초 자료 확충이 2.7%p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새 통계방식으로 계산한 결과 지난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실질 GDP가 0.3%p 올랐다고 밝혔다.

국민계정체계 개편과 환율의 영향으로 1인당 GNI도 전년보다 4.0% 증가한 2만 6205달러로 집계됐다. 정 국장은 "1인당 GNI가 올라간 것은 명목 GDP 증가 때문인데 이는 국제기준 이행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1인당 GNI는 일반 가계는 물론 기업, 정부기관 등이 모두 합쳐진 통계다. 가계 호주머니 사정에 가까운 1인당 PGDI는 1인당 GNI의 52% 수준인 1만 4690 달러로 집계됐다. PGDI에도 종교단체, 보육원 등 민간 비영리단체가 포함돼 있어 정확한 '개인 호주머니 돈'이라고 보기는 부정확하다.

총 저축률은 34.4%로 전년대비 0.2%p 올랐다. 민간 총저축률이 전년보다 1.1%p 상승한 27.7%로 나타난 반면, 정부 총저축률은 0.8%p 하락한 6.8%로 나타났다.


태그:#GDP, #GNI, #한국은행, #PGDI, #국민계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