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2007년 5월 22일 이정용씨
ⓒ 신영주

Artist Record

'어른이 된 나는 어느 순간부터 늘 가슴이 아파왔다.
어느 날 누군가 이야기했다.
어린 시절 네가 꾸었던 꿈 세상에 물들지 않았을 시절의 꿈
그것은 곧 너 자신이 어린 시절 마음의 심장에 품었던 꿈이기에
그 꿈의 지문이 심장에 남아 심장이 뛸 때 같이 움직여 너를 아프게 한다고
다른 이는 모르지만 너 자신이 남긴 것이기에 너만은 알고 있을 거라고
심장이 멈춰 죽어버린다면 꿈이 없어지겠지만 심장이 뛰고 있기에
늘 아프게 될 것이라고.'


▲ 일러스트레이터 이정용씨 작품
ⓒ 이정용씨

일러스트레이터??

처음 기자는 그의 그림을 접했을 때 그가 일러스트레이터일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일러스트 작업을 할 뿐이다. 후에 그의 글을 접했을 땐 그가 작가일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글을 쓸 뿐이다. 그는 틈틈이 기타 연주도 하고 있다.

기자 "그럼 일러스트와 글은 취미인가요?"
이정용 "아닙니다."

기자 "그럼 기타가 취미인가요?"
이정용 "아닙니다."

그의 직업은 서류상에서 간단히 쓴다고 하면 일러스트레이터이다. 하지만 그에게 있어 일러스트라 함은 삶의 수단인 직업이기도 하지만 그의 표현 도구이기도 하다.

▲ 이정용씨 일러스트 작품
ⓒ 이정용씨
"현재 일러스트 작업과 글 작업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저의 직업을 단순하게 일러스트레이터라고 할 수도 있고 작가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저에게 있어서 글과 그림은 저의 생각의 표현 도구이지 저의 직업을 꼭 일러스트레이터라는 것으로 규정짓고 싶지는 않습니다."

너무나 멋진 글, 그림을 쓰고 그리는 그에겐 기타리스트라는 꿈이 하나 더 있다. 하지만 단순히 ‘벌이를 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서 꿈이 이뤄지고 이뤄지지 않은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똑같은 소재 속의 다른 주제

그의 글과 그림들을 보면 참 기발하다는 생각이 든다. 소재를 보는 생각이 무언가 다르다고 할까?

분명 각자가 갖는 색(色)이 있을 법도 한데 ‘그’에게만큼은 보이는 것이 색이 되지 않을까?

"딱히 누구보다 기발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저 똑같은 소재에서 다른 주제를 찾는 것뿐이죠. 문득 떠오르는 소재보다는 다양한 생각을 통해서 얻어집니다. 그것은 트레이닝의 결과이고 많은 생각에 따른 결과물이기도 합니다."

▲ 이정용씨 일러스트 작품
ⓒ 이정용씨

그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늘 메모를 하는데 그것이 그의 다양한 소재를 작업화하게 된다고 한다. 하지만 다양한 소재를 갖고 작업을 하지만 쉽지만은 않은 듯하다.

"너무 완벽을 추구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그 장단점이 말 그대로 양날의 검이죠. 완벽하게 하고자 하면 분명 꼼꼼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제 작품에 소심해지기도 하고 그러다 보면 스트레스가 쌓이고 이미 했던 작업에 만족하지 못해 수정하고 또 수정하다 보면 새로이 작업하는 것만도 못한 결과물이 나올 때도 있고 시간적인 손해 역시 만만치 않죠"

▲ 이정용씨 일러스트 작품
ⓒ 이정용씨

현실을 생각하는 이상을 찾는 아티스트

좋은 직장에서 좋은 대우를 받으며 일러스트레이터, 그래픽 디자이너이기도 했던 그는 안정적이지만 프리랜서로서 독립을 하기로 했단다. 비록 어느 정도 리스크가 있는 위치지만 그는 현재 외주 작업을 통해 생활의 안정을 유지하고 프리랜서라는 시간 안배의 자유로움 속에서 자신에게 투자하는 생활하고 있다.

"회사의 소속이라면 안정을 보장하며 살아갈 수 있겠죠, 하지만 단순한 비즈니스적인 업무와 그에 따른 인맥이 대부분이고 누구나 일을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라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일의 완성도가 떨어졌습니다. 매일 똑같은 작업으로 매너리즘에 빠지기도 했습니다. 또 회사라는 곳은 회사원을 찾는 곳이죠 회사 일을 하는……. 그리고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것보다는 하고 싶은 일을 해야 현실에 휩쓸리지 않겠죠."

▲ 이정용씨 일러스트 작품
ⓒ 이정용씨
하지만 그는 절대적으로 프리랜서만을 예찬하지는 않는다고 한다.

“프리랜서로서의 장점은 무엇보다도 작업 시간을 자유로이 안배하고 외부와 단절되긴 하지만 그만큼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죠. 단순하게 생각하면 자기 멋대로 생활할 것이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집중할 수 있는 시간 그 시간을 기준으로 취침, 기상시간을 정확히 계획하고 그 안에서 활동하죠.

하지만 분명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외부와의 단절이 집중과 연관 지을 수도 있겠지만 외골수가 되기도 하고 온갖 집안 대소사 일을 하고 또 피폐해진다는 것이죠. 하하하^^.”

▲ 이정용씨 일러스트 작품
ⓒ 이정용씨

그리고 그는 그가 생각하는 돈이라는 것에 대한 가치에 대해서는……

“돈에 너무 연연하는 것은 분명 좋지 않을 일입니다. 하지만 분명 그 사람은 능력에 맞는 일을 하였고 그에 따른 가치를 받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닐까요? 저 역시 하고픈 일을 하면서 행복하게 살았으면 하는 바람일 뿐입니다.”

그는 지금 그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하여 자신의 가치는 자신이 지켜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분명 어느 분야의 경쟁이 심해질수록 그 일에 대한 가치와 금전적인 절하가 되게 마련일 것이지만 단순하게 눈앞의 것만을 바라보고 일을 한다면 결과적으로 그 자신은 물론 모두에게 피해가 갈 것이고 그 문화 자체가 발전이 없는 정체기에 올 것이란 것이다.

물론 그 가치를 돈으로 나타내는 것이 아쉬운 일이지만 그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는 더욱 창조적인 작업과 그것을 위한 트레이닝이 필요하다고 말이다.

▲ 이정용씨 일러스트 작품
ⓒ 이정용씨

책 이야기

그는 한창 자신의 책 발간 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정해진 시간을 두고 작업하지는 않고 틈틈이 외주 작업을 하기도 한다고 한다.

“책을 준비하는 중간에 외주 작업을 하는 이유는 책 발간 준비가 그 작업보다 우선순위가 낮기 때문이 아닙니다. 외주 작업은 정해진 콘셉트가 있고 짜여진 틀이 있기 때문에 크레이티브한 점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때문에 가끔 생각의 전환에 도움이 되기도 한답니다.

물론 외주 작업을 쉽게 본다는 의미는 절대로 아닙니다. 제가 하는 모든 일에 경중을 두고 있지 않습니다. 단지 책을 준비하는 것을 마감에 쫓겨 발매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차근차근 더 알차고 완성도 있는 내용으로 꾸미기 위해서 시간을 정해놓지 않았기 때문이죠.”

▲ 이정용씨 일러스트 작품
ⓒ 이정용씨

Epilogue

기사의 서두와 말미에 쓰인 글들은 그의 책 내용에서 일부를 변형한 내용이다. 기자가 문학적 표현이 서툴러 다소 어색하고 의미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도 있었겠다. 공개하길 원치 않아 아쉽지만 그의 책에 실리게 될 이야기를 들어보니 이야기를 참 재미있게 풀어나간다는 생각이 들었다. 부디 진정한 아티스트가 되고자 하는 그에게 현실적으로 좋은 환경에 제공되었으면 한다. 아울러 젊은 작가들의 신선한 작품이 ‘판매’라는 발목에 잡히질 않길 바랄 뿐이다.

▲ 이정용씨 일러스트 작품
ⓒ 이정용씨


'세상 모든 것을 신선하게 유지하는 냉장고가 있다. 어릴 적 보았던 책의 감동은 어른이 되어서는 어릴 적 느꼈던 책의 감동은 찾을 수 없지만 그 냉장고에 보관한 책을 다시 보게 되면 10년이 지나도 20년이 지나도 다시 어릴 적 그때의 감동을 느낄 수 있다. 그때의 순간을, 감동을 간직할 수 있는……

그 냉장고는 어른이 된 이들이 현실에 휩쓸리고 부딪혀 꿈을 잃었을 때 다시 그 꿈을 찾아갈 수 있기 위하여 존재하고 있었다. 그 속에는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꿈을 넣어 두었다. 어린 시절 간직했던 순수했던 꿈들을……

사람들은 잊고 있던 냉장고의 존재를 알게 되지만 그 의미와 존재는 크게 와 닿지 않는다. 순수했던 어릴 적 자신의 꿈을 갖고 있는 냉장고이지만 지금 현실을 살아가는 자신에게 그 것이 무슨 필요가 있을까라는 생각을 한다.

그런 사람들이 어떻게 자신의 가슴속에 생긴 지문을 어떻게 꺼낼 수 있을까?

어떻게 심장의 아픔을 치유할 수 있을까?'


▲ 이정용씨 일러스트 작품
ⓒ 이정용씨

주요 약력

이정용

1977년 3월 23일 출생
TEL 011-9008-9449
EMAIL jochaps@naver.com
네오위즈 상품 디자인팀
좋은 이미지 디자인팀 과장
(現)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
방송 삽화작업 다수

▲ 이정용씨 일러스트 작품
ⓒ 이정용씨

덧붙이는 글 | <프로통>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이정용, #일러스트, #아티스트, #일러스트레이터, #그래픽디자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