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을 연출한 황동혁 감독.
넷플릭스
2007년 영화 <마이 파더> 이후 황동혁 감독의 마음은 줄곧 영화계에 있었다. 장애인 성폭력 사건을 극화한 <도가니>, 코미디 휴먼 장르 <수상한 그녀>로 소위 흥행한 상업 감독 대열에 합류했지만 정작 작품 활동은 활발하지 못했다. 그가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으로 복귀한 건 일종의 상징이다. 영화가 전부인 줄 알았던 창작자들에게 OTT 플랫폼은 또다른 출구로 기능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여러 인터뷰에 소개된 대로 <오징어 게임>은 2009년 영화용으로 완성된 시나리오에서 비롯됐다. 여러 제작사에서 거부한 당시 이야기가 10여 년이 지나 전 세계 시청자들이 열광할 드라마가 될 줄 누가 알았을까. 28일 온라인 인터뷰를 통해 황동혁 감독을 만나 그 뒷이야기를 더 들을 수 있었다.
개인 경험에서 끌어온 설정
공개된 이후 출연 배우들의 SNS 팔로워 수는 급증했고, 한국 어린이들의 놀이를 세계 곳곳에서 패러디하는 일도 보인다. 총상금 456억 원을 걸고, 인생 막장에 몰린 사람들이 외딴 섬에서 일생일대의 게임을 벌인다는 이 간단한 설정의 인기 이유는 대체 무엇이었을까. 시나리오를 쓰던 당시 생활고를 겪었던 감독 개인사와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2008년 무렵 준비하던 영화가 엎어지고 경제적으로 힘든 시기였다. 생활비도 떨어져서 어머니 명의의 마이너스 통장으로 살던 때였다. 너무 힘들어서 종종 바닷가에서 시간을 보냈는데, 그때 <배틀로얄> <도박 묵시록 카이지> <라이어 게임> 같은 일본 만화를 즐겨봤다. 서바이벌 장르에 대한 관심이 컸고, 제 현실과 맞아떨어진다는 생각에 <오징어 게임>을 기획하게 됐다. 당시엔 제작사들이 좋아하시질 않아 묵혀두게 됐는데 어느덧 넷플릭스라는 게 생겼더라. 영화 대본을 보여줬고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여서 드라마화로 만들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