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중심인 종로는 수많은 예술인들이 600여 년 동안 문화의 역사를 일궈온 유서 깊은 도시입니다. '종로의 기록, 우리동네 예술가'는 종로에서 나고 자라며 예술을 펼쳐왔거나, 종로를 중심으로 활발히 활동하는 이 시대의 예술인들을 인터뷰합니다.[편집자말]
 
유년기에 작가를 꿈꾸며 시를 짓고, 이야기를 써 내려가던 소녀는 바라던 그대로의 꿈을 이뤘다. 2005년 <녹차정원>으로 옥랑희곡상을 수상하며 극작가로서 두각을 드러냈고, 2010년에는 서울신문 신춘문예 희곡 부문에 <변신>이 당선되면서 활동에 날개를 달았다. 이후 꾸준히 작품을 발표해왔을 뿐만 아니라, 극작가 겸 연출 동료이자 인생의 동반자인 최원종 극단 명작옥수수밭 대표와 극단을 이끌면서 예술로 삶을 풍요롭게 채우고 있는 이시원 극작가 겸 연출과 만났다.

극작가로서의 소중한 한 걸음을 내딛다

"어렸을 때부터 소설가나 작가를 꿈꿨죠. 아버지가 가장 든든한 지원군이셨어요. 제가 지은 시, 상상으로 만들어낸 이야기에 언제나 귀 기울여 주셨거든요. 한동안 잊고 있던 기억이었는데 작가가 되어 희곡집을 내려고 하니 문득 아버지 생각이 나더라고요. 옥랑희곡상을 수상하고, 작품집이 나왔을 때도 아버지께서 제일 기뻐해 주셨고,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당선되었을 때도 제가 가져다드린 신문을 보고 더없이 행복해 하셨죠."

지금처럼 책을 쉬이 구할 수도 없는 시대였지만, 그녀의 아버지는 구한 책을 여러 번 읽을 정도로 글을 마음에 품고 삼던 사람이었다. 그런 아버지의 영향 덕분에 소설가라는 구체적인 꿈의 지표를 세울 수 있었다. 서울예대 문예창작과에 진학해서도 '소설 스터디'를 이어가면서 정진하고, 또 정진했다. 인생의 동반자인 최원종 극단 명작옥수수밭 대표와 만난 것도 그때였다. 20대에 만나 30대가 되고 나서도 스터디 모임은 계속됐고, 극작가로서의 재능을 일찌감치 알아본 최 대표는 희곡을 써보라고 권유했다. 

마침 이 작가에게도 졸업 후 회사에 다니면서 이어가던 무미건조한 삶에 변화가 필요하던 차였다. 

"뭔가 새로운 자극이 간절히 필요했어요. 이전에 썼던 단편소설을 각색하듯이 희곡으로 써봤죠. 과연 내가 자질이 있기는 한지, 제대로 쓰고 있는 게 맞긴 한 건지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면서요. 그런데 그 작품이 옥랑희곡상을 받게 되면서 극작가로서의 한 걸음을 내딛게 된 거죠. 그만큼 <녹차정원>은 저에게 남다른 의미를 지닌 작품입니다."

 
 연극 <녹차정원> 포스터
연극 <녹차정원> 포스터극단 배우세상
  
이후 그녀는 <천국에서의 마지막 계절>, <변신>, <시계가 머물던 자리> 등을 집필하면서 작품을 통해 꾸준히 관객과 만났다. 활자들이 무대에서 사람 냄새 나는 옷을 입는 것을 보면서 연극에 대한 사랑도 점차 깊어졌다. 

"2010년에 '신춘문예 단막전'에서 최용훈 연출가가 연출한 <변신>이 공연됐었어요. '내가 썼던 작품을 이렇게 연극으로 잘 구현해낼 수도 있구나!' 생각하면서 감탄했죠. 이 작품은 청소년극으로 각색해서 새롭게 올려보려고요."

극작가로 시작해 연출가로서 활동반경을 넓혀가면서 작품을 바라보는 그녀의 시야도 한층 확장됐다. 2017년 최 대표가 작·연출을 맡은 <블루하츠(The Blue Hearts)>에 협력연출로 참여하면서 연출의 세계에 입문한 데 이어, 극단 명작옥수수밭 단원들과 거리극 작업을 하면서 연출가로서의 길을 닦았다. 지난해 개최된 '제1회 종로문화다양성연극제'에 참여한 연극 <외톨이들>에서도 연출을 맡아 작품을 진두지휘했다. 

"아직은 배울 게 많은 단계에요. 그렇지만 연출은 계속 할 생각이에요. 작가 생활만 할 때는 '이 작품이 문학적으로 살아남아서 잘 올라갔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더 컸어요. 그런데 점차 따뜻한 작품으로 관객들과 만나고 싶다는 쪽으로 생각이 기울더라고요. 결혼을 하고 아이를 가지면서 예술이 제 삶 안에 굉장히 깊숙이 들어와 있다는 깨달음을 얻었어요. 우리 인생을 풍요롭게 하는 예술과 인생이 조화롭게 흘러가려면 예술을 하는 과정도 즐거워야 하고, 함께 하는 단원도, 제 가족도, 그 작품을 보는 관객도 모두 행복해야 하잖아요."

좋은 작품을 만들며 누리는 환희의 순간

2014년에 극단 명작옥수수밭 단원 중, 뜻을 함께하는 이들과 '더썸머프로젝트(The Summer Project)'라는 극단을 별도로 만든 것은 좋은 아동극이나 청소년극을 만들어보자는 취지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매 순간 나의 여름날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다는 생각으로 작업해보자는 뜻을 담았어요. 먼 훗날 돌아봤을 때, 인생에서 가장 찬란하고 아름다웠던 순간들로 기억될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그런 바람을 가지고 젊은 단원들과 함께 워크숍을 꾸준히 하고 있죠."

지난해 'D.FESTA 2018'에서 선보인 <환희의 순간>은 그러한 워크숍을 통해 얻은 귀중한 결과물이다. "배우가 되기 위해서 나의 어린 시절은 어땠고, 또 나는 어떤 배우로 지금 이 무대에 서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작품이에요. 내가 살면서 가장 기뻤던 순간이 언제인지 나열해보면서 어떤 순간이 나를 키웠는지를 돌아보게 하는 워크숍이었어요. 이 작품을 만드는 과정을 거치면, 내가 진정으로 하고 싶은 연극과 내가 되고 싶은 배우가 어떤 모습인지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죠."


 
 더썸머프로젝트가 진행한 희곡스터디 및 낭독회
더썸머프로젝트가 진행한 희곡스터디 및 낭독회더썸머프로젝트
 
5살이 된 딸은 좋은 아동극을 만들어보겠다는 그녀의 목표에 직접적인 불씨를 댕겨준 존재이자, 작품에 영감을 주는 뮤즈이기도 하다. 

"전에 공연했던 극장을 지나갈 때면, '그때 여기서 이모, 삼촌들이 공연했었지?' 라고 꼭 기억해내더라고요. 아이가 아직 어릴 때, 더 많은 것들을 시도해보고 싶어요. 아이가 커갈수록 아동극에 관심이 덜해질 수도 있으니까요. 연습할 때 딸을 데려와서 의견을 물어보고, 많이 참고하기도 해요. 

2009년에 예술의전당에서 공연됐던 <마술피리>에 각색으로 참여한 적이 있었는데 정통오페라다 보니까 모차르트가 할 역할이 별로 없는 거예요. 그래서 모차르트가 직접 등장해서 이끌어가는 음악극으로 바꿔보려고 해요. 말년에 그가 오두막에서 지내며 이 작품을 집필했듯이 '사랑하는 아내와 아들들에게 모험담을 선물한다면, 이렇게 이야기를 이끌어가지 않을까?'라는 시각으로 풀어보려고요. 

또 편곡자를 기용해서 정통아리아가 아니라 아이들이 쉽게 따라부를 수 있는 곡으로 채워보려고 해요. 타미노 왕자가 밤의 여왕 부탁을 받고, 파미나 공주를 구하는 줄거리인 만큼, 모차르트와 관객들이 함께 모험을 떠나는 구성으로 만들어보려고 해요. 아이들이 많이 참여할 수 있는 체험 극으로 완성해보고 싶어요. 처음에는 야외극으로 시작을 하고, 이후에 실내극으로 적용해보려고 생각 중이에요."


 
 스터디를 통해 만들어진 공연 <환희의 순간> 중
스터디를 통해 만들어진 공연 <환희의 순간> 중 극단 명작옥수수밭
 
그녀는 소규모 아동극을 통해 아이들과 가까이에서 만나고자 하는 바람이 있다. 그런 그녀의 가장 든든한 지원군은 극작가이자, 연출가로 같은 길을 걸어온 최원종 대표다. 예술가라는 공통분모가 있는 부부인만큼, 어려운 순간을 맞이했을 때도 서로 위로하면서 버텨낼 수 있었다. 

"개인적인 이유로 싸워본 적은 손에 꼽아요. 항상 작품이나 제작 여건 같은 이슈에 대해 이야기하다 논쟁이 붙어요. 예전에는 개인적으로 경제활동을 해서 번 돈을 연극에 모두 쏟아부었었는데 아이가 생기니까 그만큼 돈이 들어갈 곳이 더 많아지더라고요. 연극과 생계, 아이에게 들어가는 돈이 공정하게 잘 분배가 안 돼요. 그게 가장 힘든 부분인 것 같아요. 

물바가지 하나를 들고 살아온 느낌이랄까요? 불이 붙은 곳에 불 끄기 바쁘게 임기응변식으로 대처하면서 사니까요. 그런데 점점 불길은 커지고, 제가 가지고 있는 바가지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잖아요. 소방호스가 하나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렇지만 이건 저희 부부만의 고민은 아니고, 예술 하는 모든 사람에게 다 똑같이 해당하는 고민이니까요. 지금까지 서로 잘 끌고, 밀면서 온 것처럼 계속 힘을 내서 가보려고요."

 
 
 연극 <천국에서의 마지막 계절> 중
연극 <천국에서의 마지막 계절> 중 극단 작은 신화
 
 
우리동네예술가 이시원극작가 종로예술가 극단명작옥수수밭 종로문화재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화예술 프로그램 및 문화예술인에 관련된 글을 기고합니다. 취재, 인터뷰, 리뷰기사 관련해서는 koreatheatre@naver.com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