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종려나무 숲>의 포스터.

영화 <종려나무 숲>의 포스터. ⓒ 롯데엔터테인먼트


"거제도에 가 봤나? 저번에 어디서 봤는데, 어떤 노부부가 황무지를 일궈서 수선화 밭을 만든 곳이 있대. 그냥 조그만 밭이 아니라, 온 사방이 다 수선화 천지라 봄이면 아주 장관이래."

석양을 바라보던 친구가 거제도 이야기를 했다. 바닷가 비탈진 돌밭을 수선화 꽃밭으로 만들었다니, 생각만으로도 대단하다 싶었다. 도대체 그 분들은 무슨 생각으로 그 많은 꽃 모종을 심었던 걸까. 수선화를 심는다고 당장 돈이 될 것도 아닐 텐데 그렇게 꽃을 심었다니, 그 사연이 궁금하면서도 신비스럽기조차 했다.

해변가 돌밭에 수선화를 심다

하지만 그뿐, 내게 거제도는 머나먼 곳이었다. 거제도를 떠올리자면 포로 수용소나 배를 만드는 곳으로나 다가왔지 노란 수선화가 온 천지를 다 덮고 있는 그런 감성적인 곳으로는 느껴지지 않았다. 그렇게 회색빛으로 삭막한 느낌이었던 거제도였는데 이제는 옥빛 바닷물과 노란 수선화 그리고 종려나무로 기억이 된다. 한 편의 영화 덕분에 얻은 기억이다.

작년 이맘 때였다. <종려나무 숲>이라는 색다른 제목의 영화를 상영한다는 말을 듣고 동검도에 있는 예술영화관으로 갔다. 종려나무라니, 이름만으로도 뭔가 이국적이지 않은가. 더운 남국의 하얀 백사장이 떠올랐고 줄지어 서있는 키 큰 야자나무와 비키니 차림의 멋진 사람들도 떠올랐다. 낭만과 열정이 이어서 따라왔다.

세 여인의 인생 유전

 영화 <종려나무 숲>의 스틸 컷.

영화 <종려나무 숲>의 스틸 컷. ⓒ 롯데엔터테인먼트


영화 <종려나무 숲>은 2004년, 영화진흥위원회가 실시한 공모전의 당선작으로 만든 저예산 영화다. 실연의 고통을 잊기 위해 거제도를 찾았던 작가는 공곶이 해변의 종려나무 숲을 보고 크게 위안을 얻는다. 그리고 긴 고통의 터널을 빠져나와 <종려나무 숲>의 시나리오를 썼다.

영화는 액자식 구성을 띠고 있다. 주인공인 화연(김유미 분)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그녀의 할머니와 엄마의 이야기를 풀어놓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영화는 거제도를 배경으로 삼대에 걸친 세 여인의 인생유전을 담고 있다. 그녀들을 옭아맸던 인습의 굴레는 고통스럽기만 하다. 그러나 그녀들은 그 고통을 인생의 승리로 만든다. 어찌 보면 이 영화는 인습의 굴레 속에 허덕였던 옛 여인들에 대한 헌사이기도 하다. 

가난한 집 딸인 '봉애(조은숙 분)'는 팔려가다시피 시집을 간다. 상대는 나이가 많은 홀아비였다, 그 집에는 다 큰 딸이 있었는데 새엄마로 들어온 어린 신부와는 세 살밖에 나이 차이가 나지 않았다. 어린 신부는 나이 많은 남편이 무서웠고, 두고온 고향도 늘 그리웠다. 그럴 때마다 전처 딸이 친구이자 의지가 되어 주었다.

그렇게 둘은 쓸쓸한 바닷가 마을에서 서로를 의지하고 살았다. 그러던 어느 날 전처의 딸인 '정순'이 시집을 가버린다. 마치 자신이 당했던 것처럼 딸 역시 팔려간 것이다. 딸에게 주려고 예쁜 고무신도 샀는데, 엄마도 모르게 팔려간 것이다.

새 엄마와 세 살 차이 전처 딸 사이의 우정

봉애는 물어 물어 딸이 사는 집에 찾아갔다. 딸에게 줄 꽃신을 꼭 품고서 찾아간 그곳에서 봉애는 못 볼 것을 보고 만다. 무당인 시어머니는 며느리인 정순을 쥐 잡듯이 대했고 사위는 엄마 말만 듣는 줏대없는 사람이었다. 정순은 그곳에서 사람 대접도 옳게 못 받고, 마치 가뭄에 말라 시들어가는 식물처럼 생기가 하나도 없이 살고 있었다.

그 모습을 본 새엄마는 눈이 돌아갔다. 내 배 앓아 낳은 딸도 아니건만 딸을 위해 목숨까지 내놓을 태세로 맞선다. 결국 정순을 구출해서 집으로 데리고 왔고, 이후 모녀는 서로 의지한 채 한스러운 세월을 살아간다.  

영화는 거제도의 아름다운 풍광을 가감 없이 담고 있다. 밀려왔다 쓸려가는 바닷물에 조약돌들은 자그락댔고, 바다를 바라보는 그녀들의 눈에는 알 수 없는 그리움이 담겨 있는 듯했다. 바닷가 외딴 곳의 오막살이집에서 그녀들은 그렇게 전설처럼 살았다.

바다 저 멀리에는 큰 배들이 오갔다. 그 배들을 볼 때마다 정순은 꿈을 꾸었다. 언젠가 비바람이 불고 폭풍우가 몰아치는 날, 배가 이 섬에 휩쓸려 올 것이라는 상상을 한다. 정순의 소망은 이루어진다. 푹풍이 몰아치던 어느 날 큰 배 한 척이 떠밀려 와서 며칠 머물게 된 것이다.

헛된 믿음을 주고 떠난 남자

 영화 <종려나무 숲>의 스틸 컷.

영화 <종려나무 숲>의 스틸 컷. ⓒ 롯데엔터테인먼트


배의 선장은 엄마에게 선물을 하나 주고 떠난다. 종려나무 모종이었다. 그리고 엄마의 배 속에도 새싹이 하나 자랐다. 바로 '화연'이었다.

종려나무를 주고 떠난 남자를 엄마는 평생 기다린다. 그 나무가 자라 숲을 이루면 남자가 다시 찾아오기라도 할 양 엄마는 주변에 온통 종려나무를 심는다. 부질없는 약속을 부여잡고 생을 살아간다. 가망없는 기다림에 기대어 삶을 이어가는 엄마, 그런 엄마를 보며 '화연'은 자신은 결코 그렇게 살지 않으리라 작심한다. 그녀는 혼자의 힘으로 생을 개척해 나간다. 

그런 화연에게 사랑이 찾아온다. 조선소의 법률담당 변호사로 부임해온 '인서(김민종)'였다. 화연은 인서에게 사랑을 느꼈지만 미련을 두지 않고 떠난다. 가망없는 기다림이 얼마나 힘들고 아픈지를 할머니와 엄마를 통해 이미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녀는 부질없는 기다림에 자신을 가두지 않았다. 남자의 약속에 평생을 바쳤던 엄마와 달리 화연은 스스로의 의지대로 삶을 가꾸어 간다.

영화를 보고 찾아간 거제도

영화를 본 그날 밤 우리는 거제도를 향해 달렸다. 영화 속에서 화연의 엄마와 할머니가 하염없이 바라보던 그 바다가 보고 싶었다. 밤을 밝혀 달려간 거제도에는 봄이 오고 있었다. 동백나무 터널을 지나니 다른 세상이 펼쳐졌다. 옥빛 바다를 바라보는 비탈에는 온통 수선화 밭이었다. 친구가 말했던 그 수선화 밭이었다. 아직은 때가 일러 푸른 줄기가 도열해 있었지만 뾰족하게 올라오는 꽃대에는 이미 노란 수선화가 숨어 있는 것 같았다. 봄은 거제도의 공곶이 해변부터 먼저 찾아오는 듯했다.

수선화 밭이 끝나는 지점에 색다른 나무들이 도열해 있었다. 영화 속에서 기약없는 약속의 상징처럼 보였던 종려나무가 진짜로 있었다. 그러나 사람들은 종려나무보다는 수선화에 더 관심을 두었다.

기약없는 약속, 사랑의 승리로...

끝없는 사막에서 종려나무가 있는 곳은 물이 솟는 오아시스이다. 종려나무는 사막을 여행하는 나그네들에게는 구원의 표상이자 희망을 뜻한다. 나그네는 그곳에서 지친 발걸음을 멈추고 휴식을 취한다. 목마른 생명들이 물을 마시고 기운을 얻어 생생해진다.

그래서 그런 걸까. 종려나무의 꽃말은 '부활'이며 '승리'다. 그것은 또한 번영을 뜻하기도 한다. 영화 속의 두 주인공인 화연과 인서는 오랜 세월의 강을 건너 마침내 사랑을 확인한다. 할머니와 어머니를 거쳐 화연에게서 이루어진 사랑의 승리였다. 종려나무의 꽃말처럼 진정한 '승리'였다. 거제도 공곶이 해변의 종려나무는 사랑의 확신이었고 또한 승리였다. 그 사랑은 할머니와 엄마를 거쳐 화연에게서 완성되었다. 종려나무의 예언은 틀리지 않았다.

종려나무숲 유상욱감독 동검도예술극장 거제도 수선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일을 '놀이'처럼 합니다. 신명나게 살다보면 내 삶의 키도 따라서 클 것이라는 생각을 하며 오늘도 뭐 재미있는 일이 없나 살핍니다. 이웃과 함께 재미있게 사는 게 목표입니다. 아침이 반갑고 저녁은 평온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