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타 를 연기하는 공효진

▲ 리타 를 연기하는 공효진 ⓒ 수현재컴퍼니


공연의 인기를 확인하는 손쉬운 방법 가운데 하나는 현장에서 얼마나 관객이 문전성시를 이루는지 관찰하는 것이다. 연극 <리타>를 공연하는 DCF 대명문화공장에 무슨 줄이 이렇게 길게 늘어섰는지, 한여름 김준수와 류정한의 <드라큐라>를 관람하기 위해 늘어선 긴 줄의 재현인 줄 착각할 정도였다.

관객이 표를 구매하기 위해 긴 줄을 선다는 건 그만큼 호기심을 발동하게 만든다는 이야기인데, <리타>는 올해 마지막으로 보는 긴 줄이 아닌가 싶다. 그만큼 공효진의 무대 데뷔작이 궁금하고 기대감을 모으기에 충분했다는 이야기다.

자의식 강하면서도 사랑스러운 리타 소화해 낸 공효진

주인공 리타는 정신적인 '갈망'을 원한다. 배우지 못한 콤플렉스에 기인한 배움의 갈망도 크지만, 정서적인 교감을 함께 할 줄 모르는 남편에 대한 보상심리로 인한 갈망도 큰 새내기 주부다. 프랭크 교수는 리타의 지적 호기심을 충족하면서 정서적인 교감을 나눌 수 있는 소울메이트가 된다.

알코올로 더 이상 죽을 뇌세포조차 없다고 자학하던 리타의 언어는 시간이 흐를수록 세련되어지고 지적으로 진화해 간다. 이를 보는 건 <리타>의 매력 가운데 하나다. 프랭크가 제시한 세 줄의 질문에 단 한 줄로 답변할 줄만 알던 리타는 프랭크에게 개인 교습을 받으면서 나중에는 그와 지적 경연을 벌일 정도로 성장한다.

리타의 성장을 뒷받침해 주는 프랭크는 '아낌없이 주는 나무'와 같은 존재일까. 프랭크는 리타와는 대비되는 인물로, 처음에는 리타를 윽박지르고 주눅 들게 만든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둘의 관계는 서서히 역전된다. 리타는 대학이라는 상아탑에서 지적 목마름을 해결하지만, 프랭크는 리타와는 반대로 시인이라는 꿈을 이루지 못한 콤플렉스를 드러내기 시작한다.

'리타' 공효진은 배움에 대한 콤플렉스는 있지만 프랭크에게 할 말은 다 하는, 주체성 있고 당당한 여성으로서의 리타를 보여주었다. 자의식이 강한 리타를 보여줌과 동시에, 공효진 특유의 눈웃음으로 프랭크를 무장해제 시킬 줄도 아는 사랑스러운 리타도 잊지 않고 있었다.

▲ '리타' 공효진은 배움에 대한 콤플렉스는 있지만 프랭크에게 할 말은 다 하는, 주체성 있고 당당한 여성으로서의 리타를 보여주었다. 자의식이 강한 리타를 보여줌과 동시에, 공효진 특유의 눈웃음으로 프랭크를 무장해제 시킬 줄도 아는 사랑스러운 리타도 잊지 않고 있었다. ⓒ 매니지먼트 숲


<리타>는 당대 최고의 여배우들이 거쳐 간 공연이다. 최화정과 전도연은 물론이고, 이태란에 이어 이번에는 공효진과 강혜정이 출사표를 던졌다.

무대에 처음 데뷔하는 배우에게, 캐릭터가 많은 공연에 서는 것은 자신이 연기해야 할 분량과 대사가 그만큼 줄어들기에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공효진은 2인극인 <리타>를 무대 데뷔작으로 선택하는 과감함을 보였다. 그만큼 암기해야 할 대사와 동선이 많고, 따발총 같은 대사가 2시간을 훌쩍 넘는다. 전화번호부 책 반 권 이상의 대사를 외워야 한다.

공효진은 배움에 대한 콤플렉스는 있지만 프랭크에게 할 말은 다 하는, 주체성 있고 당당한 여성으로서의 리타를 보여주었다. 자의식이 강한 리타를 보여줌과 동시에, 공효진 특유의 눈웃음으로 프랭크를 무장해제 시킬 줄도 아는 사랑스러운 리타도 잊지 않고 있었다.

리타 역이 배우들에게 악명이 높은 이유는, 대사를 외우고 연기하는 것만 해도 힘이 벅찬데, 시간의 경과를 보여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리타가 프랭크의 방을 드나들 때 리타의 옷은 매번 바뀌어야만 한다. 프랭크와 만날 때마다 바뀌는 리타를 소화하기 위해서다. 때문에 공효진은 1분이 채 안 되는 짧은 시간에 원피스, 바지 등 매번 다른 의상을 입고 나와야 했다.

공효진은 살인적인 대사와 퀵 체인지에 가까운 의상 갈아입기 등을 소화하며 성공적인 무대 데뷔를 했다. 첫 공연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는 감격 때문일까. 커튼콜 때 객석에서 우레와 같은 박수와 환호를 받을 때 공효진은 울먹이고 있었다. 공연의 회차가 지나면 지날수록 나날이 발전하는 연기로 관객의 사랑을 듬뿍 받을 공효진을 기대해 본다.

리타 공효진 강혜정 전도연 최화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